ISSUE REPORT l 2025.09.12. IS-207
AI 분야 글로벌 협력 현황 분석:
VC 투자 유치를 중심으로
Analysis of global cooperation in AI: Focusing on attracting 
venture capital(VC) investment
장진철, 유재흥
이 보고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보통신진흥기금」에서 지원받아 제작한 것으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공식 의견과 다를 수 있습니다.
이 보고서의 내용은 연구진의 개인 견해이며, 본 보고서와 관련한 의문 사항 또는 수정·보완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아래 연락처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장진철 선임연구원 jincheul@spri.kr
SPRi 이슈리포트 IS-207AI 분야 글로벌 협력 현황 분석: VC 투자 유치를 중심으로
  CONTENT
 I. 서론
P.1
II. AI 분야 VC 투자 현황
P.4
1. AI 분야 VC 투자 규모
2. 국가별 VC 투자 유치·집행 현황
III. 요약 및 시사
P.20
SPRi 이슈리포트 IS-207AI 분야 글로벌 협력 현황 분석: VC 투자 유치를 중심으로
요 약 문
최근 세계 AI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AI 관련 제품과 서비스의 혁신이 활발하게 진행되는 가
운데, 주요 AI 기업 및 국가 간 기술 경쟁 역시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 한편 AI 분야에서 
가 간 협력 및 투자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으며, 기업 간 투자·협력 역시 Microsoft가 
OpenAI에 투자, Google이 Anthropic으로 투자한 사례와 같이 기업 간 투자 네트워크가 확대
되고 있다. 
보고서는 국가 간 벤처캐피탈(VC) 투자 흐름을 분석함으로써, 글로벌 협력을 활발히 진행하는 
국가들의 특성을 도출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미국은 AI 분야 VC 투자에
서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미국과 중국은 VC 투자에 있어 자국 중심적이다. 한편, 영
국, 캐나다, 이스라엘은 미국으로부터의 자본 유치와 해외 투자 비중이 높으며, 영국 및 EU 국
가는 AI 분야 해외 투자 비중이 높아 상호 협력 중심의 구조를 보이고 있다. 또한, 공통적으로 
우수한 AI 인재에 의해 창업된 AI 기업이 적극적으로 VC 투자 유치에 성공하면서, 국가의 대표
적인 소버린 AI 기업으로 성장하는 사례가 등장하고 있다.
상대적으로 한국의 해외 투자 유치 비중은 다른 국가에 비해 낮은 상황이다. 그러나 트웰브랩
스, 업스테이지, 노타AI 등 국내 유망 스타트업의 해외 투자 유치와 협력 사례가 등장하기 시작
했다. 2025년 정부는 글로벌 AI 3대 강국 도약을 위해 민관의 적극적인 투자를 강조하고 있으
며, 특히 AI 등 첨단산업을 위한 국민성장펀드 조성 계획을 발표함에 따라 우리나라의 AI 산업
의 성장이 기대되고 있다.
결론적으로, 글로벌 협력을 통한 투자 자본 확보를 통한 기업 생태계 활성화는 AI 강국 도약
의 선결 과제다. 이를 위해 AI 기업 육성을 위한 투자금 확대, 규제 혁신 인센티브, 해외 진출 
및 공동 연구 지원 등이 병행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AI 3대 강국 공약 달성은 물론 우리나라
의 AI 기술 경쟁력을 글로벌 수준으로 제고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SPRi 이슈리포트 IS-207AI 분야 글로벌 협력 현황 분석: VC 투자 유치를 중심으로
Executive Summary 
As the global AI market rapidly grows and innovation in AI-related products and services 
continues, technological competition among major AI companies and countries is also 
intensifying. Meanwhile, the importance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investment in the 
AI field is increasing, and inter-company investment and collaboration is expanding through 
corporate investment networks.
This report analyzes cross-border venture capital (VC) investment flows, identifies the 
characteristics of countries actively pursuing global collaboration, and presents policy 
implications. The analysis reveals that the United States accounts for an overwhelming 
share of VC investment in the AI sector. The United States and China are both highly 
domestically focused on VC investment. Meanwhile, the United Kingdom, Canada, and Israel 
attract significant capital and foreign investment from the US, a leading AI country. The 
United Kingdom and EU countries also exhibit a high proportion of overseas investment in 
AI, demonstrating a structure centered on mutual cooperation. Furthermore, there are 
examples of AI startups founded by outstanding AI talent actively attracting VC investment 
and growing into leading national AI companies.
Currently, Korea's share of foreign investment is relatively low compared to other 
countries. However, promising domestic startups, such as Twelve Labs, Upstage, and Nota 
AI, are beginning to attract overseas investment and collaborate. Furthermore, with the 
government announcement of a plan to establish a national growth fund for cutting-edge 
industries such as AI, the growth of Korea's AI industry is expected.
In conclusion, securing investment capital through global collaboration and revitalizing the 
corporate ecosystem are prerequisites for Korea's leap to becoming an AI powerhouse. To 
achieve this, increased investment in fostering AI companies, regulatory innovation 
incentives, and support for overseas expansion and joint research should be implemented. 
Furthermore, efforts are needed to not only achieve the goal of becoming the third level of 
countries in AI, but also elevate AI technology competitiveness of Korea.
SPRi 이슈리포트 IS-207AI 분야 글로벌 협력 현황 분석: VC 투자 유치를 중심으로
1
1)
 https://www.statista.com/outlook/tmo/artificial-intelligence/worldwide
2)
 참고: Eze Vidra(2024), The Magnificent Seven Invest $400 Billion a year in Frontier Technologies. 
I. 서론
세계 AI 시장은 생성형 AI 등장 이후 꾸준히 성장하고 있으며, 최근 AI 기업
과 국가 간 경쟁이 미국과 중국을 넘어 전 세계로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는 중
Statista에 따르면 세계 AI 시장은 2025년 2,442억 달러에서 2031년 1조 
100억 달러로 연평균 26.6% 성장할 전망으로 발표1)
OpenAI, DeepSeek 등의 주요 글로벌 AI 기업은 진보된 기술력과 성능 개
선은 물론, AI 에이전트를 비롯한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여 신규 AI 제품과 
서비스를 출시 중 
2025년 1월 DeepSeek-R1이 중국에서 출시된 이후, OpenAI와 
Anthropic은 각각 o3-pro, Opus 4 등의 추론 특화 모델을 발표하였으
며, 주요 AI 기업에 의해 발표되는 AI 모델의 성능은 지속적으로 증가
글로벌 AI 기업은 인간의 개입을 최소화하여 자율적으로 작업을 계획하고 실
행할 수 있는 AI 에이전트와 관련된 제품과 기술 발표도 증가
대표적으로, Anthropic은 사용자 PC의 화면 커서를 조작하는 Computer 
Use를, OpenAI 역시 사용자를 대신하여 웹 브라우저를 제어하는 오퍼레
이터(Operator)를 출시
글로벌 기업과 국가는 AI 신기술 및 제품·서비스 경쟁과 함께, 상호 투자 및 
협력을 진행하면서 네트워크를 형성
Microsoft의 OpenAI에 대한 투자, Google의 Anthropic으로의 투자를 비
롯하여, 각국의 대기업과 스타트업은 투자 및 공동 연구를 통해 진보된 AI 
기술 개발을 위한 협력을 진행
주요 AI 빅테크의 투자는 자사의 제품·서비스에 우수한 AI 모델을 적용하
여 기술력을 강화하는 데에 기여함과 동시에, 투자받은 AI 스타트업은 빅
테크의 인프라와 데이터 지원을 받는 협력에 기여2)
SPRi 이슈리포트 IS-207AI 분야 글로벌 협력 현황 분석: VC 투자 유치를 중심으로
2
https://vccafe.com/2024/05/30/the-magnificent-seven-invest-400-billion-a-year-in-frontier-tec
hnologies/
3)
 참고: Dealroom.co(2024), The Magnificent 7: The Venture Capital frontier & the new AI wild west
투자자
투자액(2023~2024)
투자받은 기업
Microsoft
168억 달러
OpenAI에 100억 달러 이상, Inflection AI, Wayve에 
2억 달러 이상 투자
Google(Alphabet)
102억 달러
AI21(이스라엘), Anthropic, Hugging Face 등 4억 
달러 이상 투자
NVIDIA
64억 달러
Cohere(캐나다), Aleph Alpha(독일), RunwayML 등 
4억 달러 이상 투자
Amazon
60억 달러
Anthropic, Inflection AI, Hugging Face, 
RunwayML 등에 투자 
Apple
6.14억 달러
최근 Perplexity AI 인수 검토(2025)
Meta
0.49억 달러
Scale AI에 지분 투자(2025)
[표 
1
] 빅테크의 주요 스타트업 투자 사례*
*
출처: 기업 보도자료 및 웹 자료, 저자 재구성
즉, 클라우드 플랫폼, 컴퓨팅 인프라, 기업 SW 및 모바일 서비스에 강점이 
있는 빅테크가 AI 파운데이션 모델 및 애플리케이션 기업에 투자함으로써 AI 
생태계 전반을 구성3)
[그림 
1
] AI 빅테크에 의한 스타트업 투자 생태계*
*
출처: Dealroom.co 및 저자 재구성
우리나라의 AI 기업은 투자 유치의 어려움을 겪고 있어, 향후 적극적인 투자 
유치 및 해외 성과 확대가 필요
SPRi 이슈리포트 IS-207AI 분야 글로벌 협력 현황 분석: VC 투자 유치를 중심으로
3
4)
 출처: SPRi(2025). 2024년 인공지능산업실태조사.
5)
 https://www.cbinsights.com/research/report/artificial-intelligence-top-startups-2025/
6)
 OECD.ai는 영국의 민간 분석 기관인 Preqin의 사모펀드 거래, 펀딩에 대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전 세계 AI 
기업에 대한 벤처 캐피털(VC) 금융 투자를 추정
7)
 추출 기준일: 2025년 6월 30일
2024년 인공지능산업실태조사4)에 따르면, 인공지능 기업은 투자 유치의 어
려움을 인공지능 사업 운영 상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언급
지난 2020~2023년 4년간 인공지능 기업은 AI 인력 부족 문제를, 2024
년에는 투자 유치의 어려움을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언급
한편, CB Insights에서 발표한 2025년 세계 100대 AI 기업5)에 우리나라
의 스타트업 중 4개社*가 포함되어 있으며, 향후 더 많은 우리나라 기업이 
해외에서 비즈니스 성과를 창출하고 인정받을 수 있는 환경 조성이 필요
*
트웰브랩스(콘텐츠 생성), 업스테이지(파운데이션 모델), 디노티시아(벡터 DB), 
노타AI(엣지 디바이스 인프라)
본 보고서에서는 AI 분야에서 글로벌 투자 생태계가 활발한 국가를 탐색하고 
그들의 특징을 분석함으로써 정책적 시사점을 파악하는 데에 목적을 둠
글로벌 AI 지표를 제공하는 OECD.ai6)에서 2023년까지의 국가별 AI 스타
트업* 대상의 VC 투자 흐름 데이터를 추출하여 투자 협력 관계를 분석7)
*
OECD.ai에서는 AI 스타트업을 선별할 때, "인공지능" 및 "머신러닝" 등 일반적인 
AI 키워드, "신경망", "딥러닝", "강화학습"과 같은 AI 기술 키워드, "컴퓨터 비전", "
자연어 처리", "자율 주행"과 같은 AI 응용 분야 등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스타트업
을 대상으로 VC 투자 현황 분석
글로벌 주요 국가를 중심으로 국가간 투자(VC) 현황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우리나라 AI 산업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 모색
SPRi 이슈리포트 IS-207AI 분야 글로벌 협력 현황 분석: VC 투자 유치를 중심으로
4
8)
 OECD.AI (2025), data from Preqin, last updated 2025-06-25, accessed on 2025-06-30, 
https://oecd.ai/
II. AI 분야 글로벌 VC 투자 협력 현황
본 장에서는 AI 분야의 VC 투자 규모를 투자 유치(받은) 규모와 투자 집행 
규모로 구분하여 분석
투자 유치는 스타트업이 자국 또는 해외 국가의 VC로부터 투자 받은 총액, 
투자 집행은 투자자가 자국 또는 해외 스타트업들에 투자하는 총액
투자 유치 규모 = 한 국가 내 AI 스타트업들이 국내외 VC들로부터 받은 투자금의 총액
투자 집행 규모 = 한 국가의 VC들이 국내외 투자한 총액
1. AI 분야 VC 투자 규모
(세계 AI 분야 VC 투자 유치 규모) OECD.ai(2025)에 따르면, 전 세계 AI 
분야에서 VC의 투자를 받은 규모8)는 2024년 기준 1,476억 달러 규모로, 
2021년 최고치 (2,259억 달러) 이후 2023년까지 감소하다가 2024년 반등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총 투자액
87,561
88,447
106,077
225,919
138,809
113,570
147,636
[표 
2
] AI 분야 글로벌 VC 투자 유치 규모 (단위: 백만 달러, 출처: OECD.ai)
[그림 
2
] AI 분야 글로벌 VC 투자 유치 추이 (단위: 백만 달러)
SPRi 이슈리포트 IS-207AI 분야 글로벌 협력 현황 분석: VC 투자 유치를 중심으로
5
9)
 참고: 산업연구원(2023), 2023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
(국가별 VC 투자 유치 규모) 세계 AI 분야의 투자는 미국이 주도하는 가운데, 
2021년부터 2023년 전체 투자 규모가 감소하는 모습에서 2024년에는 반등
이는 2020년대 코로나19,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글로벌 금융 위기 문
제, 고용 불안정 등의 불확실성으로 인한 경기 둔화 영향9)이 있었으나, 생성
형 AI 붐과 함께 2024년 이후 점차 반등한 것으로 해석
국가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총합계
미국
38,796
44,738
55,223
117,347
62,634
65,123
95,038
478,899
중국
37,383
25,230
31,279
52,864
24,496
25,996
16,967
214,215
영국
2,016
3,659
3,151
8,467
7,905
3,761
5,143
34,102
독일
706
2,264
1,521
6,038
4,411
3,028
4,146
22,114
인도
635
1,324
1,797
5,127
4,883
2,140
2,243
18,149
캐나다
1,248
1,683
1,506
4,799
2,872
2,068
3,311
17,487
이스라엘
973
1,411
2,144
4,308
4,220
1,871
1,855
16,782
한국
700
894
1,107
4,311
3,982
2,312
2,584
15,890
프랑스
654
899
1,201
2,651
2,572
2,024
2,522
12,523
싱가포르
693
607
586
2,753
1,759
2,795
3,471
12,664
일본
1,230 
1,371 
1,198 
1,410 
1,842 
1,771 
1,631 
10,453 
[표 
3
] 세계 AI 분야 VC 투자 유치 규모 (단위: 백만 달러, 출처: OECD.ai)
(투자 유치 규모 중 해외 투자 유치 비중) 국가별 투자 유치 규모 중 해외로
부터 투자를 유치한 비중은 싱가포르(76.4%), 독일(71.5%), 캐나다
(70.3%), 이스라엘(70.0%), 영국(68.4%) 순으로 나타남
해외 투자 비중이 높은 국가는 미국으로부터 투자가 가장 높은 특성을 보임
*
국가별 해외 VC 투자 유치 중 미국의 투자 비중: 이스라엘(31.8%), 영국
(25.2%), 캐나다(24.3%), 싱가포르(21.5%), 독일(19.2%) 등
반면, 한국과 일본은 해외 투자 유치 비중이 각각 20.4%, 35.3% 수준으로 
미국, 중국 등 선도국을 제외하면 낮게 나타남
SPRi 이슈리포트 IS-207AI 분야 글로벌 협력 현황 분석: VC 투자 유치를 중심으로
6
10)
 (3개년 평균) = (3개년 간 해외로부터의 투자 유치액 합계)/(3개년 총 투자 유치액 합계)
국가
2021
2022
2023
3개년 평균10)
미국
43.6%
34.8%
37.6%
39.8%
중국
31.2%
21.6%
50.9%
33.8%
영국
64.9%
69.1%
75.0%
68.4%
독일
74.3%
68.1%
70.9%
71.5%
이스라엘
70.8%
68.3%
71.8%
70.0%
한국
24.3%
21.2%
11.7%
20.4%
캐나다
71.3%
69.8%
68.8%
70.3%
프랑스
62.7%
62.9% 
69.0%
64.6%
싱가포르
73.6%
67.1%
87.5%
76.4%
일본
36.0%
28.2% 
42.1%
35.3%
[표 
4
] VC 투자 규모 중 해외 투자 유치 비중 (출처: OECD.ai) 
아래 [그림 3]과 같이, 3년(2021~2023년) 간 영국, 독일 등의 유럽 국가
와 캐나다, 이스라엘 등이 해외유치 비중이 높은 국가에 속하며, 특히, 싱가
포르는 절대적인 투자액 대비 해외 투자 유치의 비중(76.4%)이 매우 높음
[그림 
3
] 2021~2023년 국가별 해외 VC 투자 유치 비중 (단위: 백만 달러)
SPRi 이슈리포트 IS-207AI 분야 글로벌 협력 현황 분석: VC 투자 유치를 중심으로
7
11)
 https://brunch.co.kr/@ditaltrend/265
2. 국가별 VC 투자 유치·집행 현황
국가별 VC 투자 유치 및 집행 규모 현황은 [그림 3] 순서에 따라 미국·중국, 
영국·독일, 한국·이스라엘, 캐나다·프랑스, 싱가포르·일본 순으로 비교 
※ 각 [표]는 OECD.ai에서 수집한 주요 투자 유치 및 집행 대상국가를 표시한 것으
로, 일부 비공개 투자 사례 및 누락 가능성이 있음 즉, [표]에 표기되지 않은 국
가 간 투자 협력 관계가 있을 가능성이 존재함
1) 미국·중국
(미국·중국의 VC 투자 유치 비중) 미국은 자국 내 투자자로부터의 투자 유치 
비중이 62.4%로 높고, 중국 역시 자국 내 투자 유치 비중이 49.1%로 높음
(미국의 국내 투자 유치) 미국의 자국 내 투자 유치 비중이 높은 것은 빅테
크 기업이 우수한 기술 수준을 가진 스타트업에 대규모 투자를 단행한 영향
2023년 투자 사례로는 Microsoft의 OpenAI 투자(100억 달러), Google
의 Anthropic(20억 달러 이상), Hugging Face(2.35억 달러 이상) 투자
로, 이들은 현재 AI 모델 및 AI 모델 라이브러리 플랫폼의 선두 주자
즉, 미국은 자국 AI 스타트업의 우수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자국 중심 VC 
투자를 통한 글로벌 시장에서의 AI 생태계 입지 강화 
(미국의 해외 투자 유치) 한편, 미국에 투자하는 해외 VC 투자자는 영국
(6.3%), 싱가포르(5.7%), 일본(2.3%), 캐나다(2.1%), 중국(1.1%), 한국
(1.0%), 기타(중동 국가 등) 순으로 나타남
한국을 포함한 다양한 국가들이 미국에 투자하고 있으며, 사우디아라비아
(0.6%), UAE(0.3%), 카타르(0.1%) 등의 중동 국가들도 투자 진행
(중국의 국내 투자 유치) 중국은 국가 정책 자금과 중국의 빅테크(알리바바, 
텐센트, 바이두 등) 자금을 통한 자국 AI 기업에 대한 투자 비중이 높음
중국 국내 VC와 대표 빅테크들은 주요 AI 스타트업에 적극적 투자
*
중국 내 여섯 마리의 작은 용(六小龙)11)으로 불리는 문샷(Moonshot AI), 지푸
SPRi 이슈리포트 IS-207AI 분야 글로벌 협력 현황 분석: VC 투자 유치를 중심으로
8
(Zhipu AI), 바이추안(Baichuan AI), 01.AI, 스텝펀(StepFun), 미니맥스
(MiniMax)에 대한 텐센트, 알리바이 등 중국 빅테크의 대규모 투자가 이뤄짐
투자자
투자액(~2025)
투자받은 기업
Qiming Venture Partners
8억 달러
Zhipu AI, StepFun
LightSpeed China Partners
4억 달러
Zhipu Ai
Monolith Management
2.65억 달러
Moonshot AI
Tencent Holdings
3억 달러+
Moonshot AI
[표 
5
] 중국 빅테크의 중국내 AI 스타트업 투자*
*
 출처: Bloomberg, 저자 재구성
중국 스타트업에 의해 개발된 AI 모델*은 우수한 성능의 AI 모델을 오픈소
스로 제공하면서 뛰어난 기술력이 화제가 된 바 있음
*
2025년 공개된 문샷 AI의 Kimi K2는 MATH-500에서 97.4% 정답률을 보이며 
Gemini 2.5(95.2%), Claude 3.7 Sonnet(96.2%)보다 우수하였으며, 칭화대학
교에서 창업한 지푸 AI의 GLM-4.5는 MMLU-Pro, AIME 24 등 12개 주요 벤
치마크 평균 63.2점으로 o3(65점), Grok 4(63.6점)에 이은 세계 3위를 기록
미국의 투자 유치(65,123)
중국의 투자 유치(25,996)
미국(62.4%)
40,612
중국(49.1%)
12,776
불특정(9.4%)
6,129
불특정(12.5%)
3,256
영국(6.3%)
4,093
네덜란드(6.2%)
1,611
싱가포르(5.7%)
3,729
UAE(3.4%)
874
일본(2.3%)
1,525
미국(2.6%)
688
캐나다(2.1%)
1,336
싱가포르(0.8%)
204
중국(1.1%)
689
스위스(0.3%)
75
한국(1.0%)
629
영국(0.2%)
47
사우디아라비아(0.6%)
363
일본(0.1%)
15
네덜란드(0.3%)
225
한국(0.0%)
7
UAE(0.3%)
222
-
-
[표 
6
] 미국·중국의 AI 분야 VC 투자 유치(2023년 기준, 백만 달러)
(중국의 해외 투자 유치) 한편, AI 패권 경쟁을 향한 미국의 대중 견제가 강
화되고 있는 가운데 중국은 네덜란드(6.2%), UAE(3.4%)와 투자 관계를 
형성하고 미국(3.0%), 싱가포르(1.0%), 영국(0.4%)으로부터도 투자 유치
일본(0.1%, 15백만 달러) 및 우리나라(0.0%, 7백만 달러)와는 1% 미만
SPRi 이슈리포트 IS-207AI 분야 글로벌 협력 현황 분석: VC 투자 유치를 중심으로
9
의 미미한 수준으로 투자 유치 관계가 낮으며 네덜란드와 중동으로부터의 
투자 유치 비중이 두드러진 것이 특징
(미국·중국의 VC 투자 집행 비중) 미국과 중국은 자국의 혁신 우위 경쟁으로 
자국 중심의 투자 집행이 이뤄지고 있음
미국은 전체 VC 투자금의 약 84%를 미국 AI 기업에 투자하고 있으며 해외
에는 영국(2.0%), 중국(1.3%), 독일(1.2%), 이스라엘(1.2%), 캐나다
(1.0%), 싱가포르(0.9%), 프랑스(0.8%)에 투자
미국 기반의 투자자가 북미 AI 기업에 집중적으로 투자하고 있으며, 이는 
AI 분야에서 미국의 혁신이 우위를 점하고 있으며 AI 투자가 상당한 수익
을 창출할 수 있다는 잠재력에 기인
해외에는 영국, 캐나다와 같은 영미권 국가와, 이스라엘, 싱가포르 등의 강
소국가, 그리고 독일, 프랑스 등 유럽 선진국에 1~2% 내외 수준으로 투자
중국 역시 투자 집행액의 75.6%를 자국 내로 집중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미
국(4.1%), 싱가포르(1.6%)에 투자
미·중 규제에도 불구하고 미국은 중국의 2대 해외 투자국이며 다음으로 싱
가포르가 중국과의 협력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음
*
중국의 한국에 대한 투자는 0.2%(36백만 달러)로 독일, 프랑스, 캐나다, 이스라엘
과 비슷
미·중간의 수출 규제, 상호 견제 기조 속에 양 국가 간 VC 투자도 2021년
을 정점으로 지속으로 감소
한편, 중국의 해외 투자국의 비중을 살펴보면, 미국에 대한 투자 집행은 
2,478백만 달러(’21), 1,296백만 달러(’22), 685백만 달러(’23)로 감소
미국의 대중국 투자 유치는 7,191백만 달러(‘21), 2,165백만 달러(‘22), 
688백만 달러(‘23)로, 마찬가지로 ’21년도 이후 감소세
SPRi 이슈리포트 IS-207AI 분야 글로벌 협력 현황 분석: VC 투자 유치를 중심으로
10
미국의 투자 집행(48,432)
중국의 투자 집행(16,901)
미국(83.9%)
40,612
중국(75.6%)
12,776
영국(2.0%)
947
미국(4.1%)
685
중국(1.3%)
615
싱가포르(1.6%)
269
이스라엘(1.2%)
595
영국(0.4%)
61
독일(1.2%)
581
일본(0.3%)
50
캐나다(1.0%)
502
UAE(0.3%)
46
싱가포르(0.9%)
420
한국(0.2%)
36
프랑스(0.8%)
367
인도(0.2%)
36
[표 
7
] 미국·중국의 AI 분야 VC 투자 집행(2023년 기준, 백만 달러)
2) 영국·독일
(영국·독일의 VC 투자 유치 비중) 두 국가 모두 전체적인 VC 투자 유치 규
모는 30억 달러(2023년) 수준
영국은 유럽 내 AI 분야 VC 투자액에서 1위를 기록
케임브리지, 옥스퍼드,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CL) 등 세계 최고 수준의 
대학을 비롯한 우수한 연구 환경과 런던 중심의 글로벌 금융 네트워크에 
힘입은 스타트업 인프라가 잘 갖춰진 영향
이러한 환경에서 구글 딥마인드*를 비롯한, 베네볼런트 AI(제약), 
Isomorphic Labs(신약 개발), Encord(AI 데이터), PolyAI(대화형 AI플
랫폼) 등이 영국을 대표하는 AI 유니콘으로 성장
*
딥마인드는 2010년 데미스 허사비스(캠브리지 학사, UCL 박사), 무스타파 슐레이
만(옥스퍼드大 중퇴), 셰인 레그(UCL 박사후 연구원)가 영국에서 공동 설립한 AI 
기업으로 2014년 구글에 인수
영국에 투자하는 해외 VC의 비중은 미국(25.2%), 아시아(싱가포르(4.6%), 
중국(1.6%)), 유럽(네덜란드(3.5%), 독일(1.9%)), 그리고 중동(카타르
(2.2%))외 불특정 국가(12.7%) 순서로 다수의 국가로부터 투자 유치
영국의 AI 기반 게임 기업인 Scriptic이 미국 Amazon, Sony 등으로부터
총 600만 달러 규모의 투자를 유치한 바 있으며, Sky Engine, PolyAI 
등의 AI 기업도 유럽, 미국 등 해외로부터 투자 유치에 성공한 바 있음
SPRi 이슈리포트 IS-207AI 분야 글로벌 협력 현황 분석: VC 투자 유치를 중심으로
11
12)
 https://huggingface.co/Aleph-Alpha/Pharia-1-LLM-7B-control
13)
 https://www.ai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154989
영국의 투자 유치(3,761)
독일의 투자 유치(3,025)
미국(25.2%)
947
독일(29.0%)
878
영국(25.0%)
939
미국(19.2%)
581
불특정(12.7%)
476
영국(6.7%)
203
싱가포르(4.6%)
174
싱가포르(6.2%)
188
네덜란드(3.5%)
132
불특정(5.5%)
166
카타르(2.2%)
83
스웨덴(2.9%)
88
독일(1.9%)
71
오스트리아(2.0%)
60
중국(1.6%)
62
네덜란드(1.6%)
49
[표 
8
] 영국·독일의 AI 분야 VC 투자 유치(2023년 기준, 백만 달러)
독일의 대표 AI 기업인 알레프 알파(Aleph Alpha)가 2024년 출시한 
Pharia-1-LLM는 독일어, 스페인어 등 유럽어에 특화되어 있으며, EU의 안
전 가드레일 규제를 준수한 특징이 있음
Pharia-1-LLM-7B는 Llama 3.1-8B, Mistral-7B 등 비슷한 파라미터 
크기의 모델 대비 독일어 벤치마크 테스트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임12)
알레프 알파는 보쉬, SAP, 슈와츠 등 세계적인 독일 기업과 미국의 HPE 
등으로부터 5억 달러의 다국적 투자를 2023년에 유치13)했던 바 있음
또한, 독일은 디지털 인프라의 자립을 추진하면서, 오픈소스 언어모델 개발 
그룹 '오픈GPT-엑스'와 'LEAM' 등 독일어 특화 모델을 통해 비영어 언어인 
독일어만의 AI 모델 구축을 적극적으로 지원
한편, 독일에 투자하는 해외 VC의 비중은 미국(29.0%), 영국(6.7%), 싱
가포르(6.2%) 순이며 스웨덴, 오스트리아, 네덜란드 등 다양한 유럽 국가
들로부터 투자 유치
(영국·독일의 VC 투자 집행 비중) 영국은 미국으로의 투자 집행 비중이 절반 
이상이며, 비영어권 국가인 독일의 경우 미국보다는 자국 투자 비중이 높음
영국은 미국 AI 기업에 대한 집행 비중이 약 53%로 절반을 넘는 반면 자국 
내 투자 집행 비중은 약 12.2%로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
SPRi 이슈리포트 IS-207AI 분야 글로벌 협력 현황 분석: VC 투자 유치를 중심으로
12
영국 소재의 벤처 캐피탈이 2023년에 Anthropic(미국), Mistral AI(프랑
스), Cohere(캐나다), AI21(이스라엘) 등에 투자
한편, 미국과 자국 외 인도, 캐나다, 스웨덴, 프랑스, 독일, 등 영미권 국가
들과 유럽 국가들에 투자하고 있으며, 전체 투자 집행의 1% 내외 수준으
로 이스라엘, 싱가포르 등 테크 스타트업 강소국가와 중국에 투자
영국의 투자 집행(7,670)
독일의 투자 집행(2,156)
미국(53.1%)
4,076
독일(40.7%)
878
영국(12.2%)
939
미국(21.9%)
473
인도(8.9%)
681
스웨덴(10.6%)
229
캐나다(4.3%)
332
프랑스(6.0%)
130
스웨덴(3.4%)
262
영국(3.5%)
76
프랑스(2.3%)
178
캐나다(2.6%)
55
독일(2.3%)
173
싱가포르(2.5%)
53
이스라엘(1.3%)
103
오스트리아(1.2%)
25
싱가포르(1.2%)
93
이스라엘(0.8%)
17
중국(1.0%)
73
스위스(0.5%)
11
[표 
9
] 영국·독일의 AI 분야 VC 투자 집행(2023년 기준, 백만 달러)
독일은 독일 자국 내 투자 집행 비중이 비중이 40% 이상이며, 미국과 다른 
유럽 내 국가인 스웨덴, 프랑스 등의 투자 집행에서 10억 달러 이상을 기록
한편, 독일은 우리나라를 포함한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 국가에 대한 투자
집행 규모 비중이 0.5%(10백만 달러) 수준으로 낮음
3) 한국·이스라엘
(한국·이스라엘의 VC 투자 유치 비중) 이스라엘은 다른 국가 대비 미국 등 
해외로부터 투자 유치 비중이 약 72%로 높은 반면, 한국은 국내 투자가 
88%의 비중 차지
이스라엘의 대표 AI 스타트업 AI21은 우수한 기업용 트랜스포머 모델 개발 
기술을 인정받아 Google을 비롯하여 미국, 영국, 호주 등 해외 투자자로부터 
투자금을 유치 
우리나라는 투자 유치액 중 자국 비중(88.3%)이 다른 국가 대비 상대적으
로 높으며, 카카오, 네이버 등의 대기업 자본이 국내 AI 스타트업에 투자한 
사례가 다수
SPRi 이슈리포트 IS-207AI 분야 글로벌 협력 현황 분석: VC 투자 유치를 중심으로
13
한편 해외 VC가 국내 AI 기업에 투자한 주요 사례로는 미국 VC Applied 
Ventures의 마키나락스 투자, Duke Angel Networks의 슈퍼브에이아이 
투자를 비롯하여, 일본 소프트뱅크벤처스가 한국의 크래프트테크놀로지, 업
스테이지, 뤼이드 등에 투자한 바 있음
이스라엘의 투자 유치(1,871)
한국의 투자 유치(2,312)
미국(31.8%)
595
한국(88.3%)
2,042
이스라엘(28.2%)
527
미국(2.5%)
57
불특정(6.0%)
112
중국(1.6%)
36
영국(5.3%)
100
불특정(1.0%)
24
스위스(3.2%)
60
일본(0.8%)
19
태국(3.2%)
60
UAE(0.5%)
11
일본(2.6%)
49
싱가포르(0.4%)
10
스웨덴(1.8%)
34
이스라엘(0.0%)
1
중국(1.6%)
30
호주(1.4%)
27
[표 
10
] 이스라엘·한국의 AI 분야 VC 투자 유치(2023년 기준, 백만 달러)
(이스라엘·한국의 VC 투자 집행 비중) 비영어 국가인 두 나라는 자국 중심의 
VC 투자 집행 형태를 보임
이스라엘의 투자 집행(1,055)
한국의 투자 집행(3,071)
이스라엘(50.0%)
527
한국(66.5%)
2,042
미국(43.3%)
457
미국(22.3%)
685
프랑스(0.8%)
8
캐나다(1.8%)
56
독일(0.5%)
5
싱가포르(1.7%)
53
호주(0.4%)
4
중국(0.2%)
7
캐나다(0.4%)
4
인도(0.1%)
4
오스트리아(0.4%)
4
이스라엘(0.1%)
3
인도(0.1%)
1
독일(0.1%)
3
영국(0.1%)
1
-
-
싱가포르(0.1%)
1
-
-
[표 
11
] 이스라엘·한국의 AI 분야 VC 투자 집행(2023년 기준, 백만 달러)
이스라엘은 해외 국가 중 미국에 대한 투자가 43.3%로 절대적 비중을 차지
자국과 미국내 기업 투자가 전체 93.%, 기타 해외 국가에 대한 투자 집행 
SPRi 이슈리포트 IS-207AI 분야 글로벌 협력 현황 분석: VC 투자 유치를 중심으로
14
규모는 7% 미만으로 강력한 미국과의 투자 협력 관계를 보여줌
우리나라 역시 해외 국가 중 미국의 비중이 22.3%로 가장 높음
우리나라는 자국 투자가 66.5%로 높고, 미국 외 해외 국가 투자 비중은 
약 11% 수준으로 그 중 캐나다, 싱가포르 등이 각각 1.8%, 1.7%로 상
대적 투자 비중이 높은 편 
4) 캐나다·프랑스
(캐나다·프랑스의 VC 투자 유치 비중) 두 국가 모두 자국과 미국, 영국으로부
터의 투자 유치 비중이 높은 국가
캐나다의 투자 유치(2,068)
프랑스의 투자 유치(2,024)
캐나다(31.0%)
645
프랑스(31.0%)
627
미국(24.3%)
503
미국(18.1%)
367
영국(15.7%)
325
영국(10.4%)
211
싱가포르(4.6%)
96
불특정(7.9%)
160
독일(2.8%)
57
벨기에(7.4%)
150
한국(2.7%)
56
독일(6.4%)
130
불특정(2.1%)
44
호주(3.4%)
69
일본(1.7%)
36
네덜란드(3.0%)
60
스위스(1.6%)
34
사우디아라비아(1.6%)
33
스웨덴(1.4%)
29
룩셈부르크(1.6%)
32
[표 
12
] 캐나다·프랑스의 AI 분야 VC 투자 유치(2023년 기준, 백만 달러)
캐나다 AI 스타트업 Cohere가 캐나다는 물론 영국, 미국 등으로부터 2억 
달러 이상의 투자 유치를 받은 바 있음
구글 브레인 출신의 에이단 고메즈, 아이반 장, 닉 프로스트에 의해 창업되
었으며, 특히 에이단 고메즈는 트랜스포머 구조를 제안한 ‘Attention Is 
All You Need’ 논문의 공저자 중 한 명
Cohere의 투자에는 토론토大 제프리 힌튼 교수, 스탠퍼드大 페이페이 리 
교수 등 AI 업계 전문가들이 대거 투자에 참여했던 바 있음
프랑스에서는 자국 대표 AI 기업인 Mistral AI가 미국을 비롯한 영국 등 유
럽 국가의 VC로부터 대규모 투자를 받으며 유니콘 기업에 등극한 바 있음
2024년 Microsoft와 계약을 체결하여 Azure 플랫폼을 사용할 예정이며, 
SPRi 이슈리포트 IS-207AI 분야 글로벌 협력 현황 분석: VC 투자 유치를 중심으로
15
14)
 Reuters. Mistral in talks with VC firms, MGX to raise funds at $10 billion valuation, FT 
reports. 2025-08-02. 
https://www.reuters.com/technology/mistral-talks-with-vc-firms-mgx-raise-funds-10-billion-va
luation-ft-reports-2025-08-01/
IBM, Databricks 등과 플랫폼 협업을 추진
최근 Mistral AI는 UAE의 국부 펀드 MGX로부터 10억 달러 규모의 투자 
유치를 위한 협상에 착수14)
(캐나다·프랑스의 VC 투자 집행 비중) 영어권 국가인 캐나다는 미국 투자 집
행 비중이 높은 반면, 비영어 국가인 프랑스는 자국 중심으로 투자를 집행하는 
특징을 보임
캐나다는 미국(61.8%)과 자국(19.1%)에 대한 투자 비중이 약 91%로 거의 
대부분을 북미에 투자하고 있으며 이외 영국, 인도, 독일, 프랑스, 이스라엘, 
싱가포르 등 유럽, 아시아 주요국에 일부 투자
캐나다의 투자 집행(2,217)
프랑스의 투자 집행(1,456)
미국(61.8%)
1,369
프랑스(43.1%)
627
캐나다(29.1%)
645
미국(17.7%)
258
영국(1.9%)
42
스웨덴(16.6%)
241
인도(1.5%)
33
영국(4.8%)
70
이스라엘(0.5%)
10
인도네시아(3.2%)
47
프랑스(0.4%)
8
독일(2.4%)
35
독일(0.3%)
6
중국(1.5%)
22
싱가포르(0.2%)
4
덴마크(1.4%)
21
일본(0.1%)
3
이스라엘(1.2%)
17
스위스(0.1%)
3
스위스(0.9%)
13
[표 
13
] 캐나다·프랑스의 AI 분야 VC 투자 집행(2023년 기준, 백만 달러)
투자자
투자액(백만USD)
투자받은 기업
Lightspeed Commerce 
비공개
Mistral AI(프랑스)
Investment Management 
Corporation of Ontario
80
CoreWeave(미국)
Radical Ventures
0.7
Twelve labs(미국)
Georgian Partners
8
PolyAI(영국)
[표 
14
] 캐나다의 해외 AI 스타트업 투자 사례*
*
출처: Dealroom.co, 저자 재구성
SPRi 이슈리포트 IS-207AI 분야 글로벌 협력 현황 분석: VC 투자 유치를 중심으로
16
15)
 https://ai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161182
2023년 캐나다 소재 벤처 캐피탈이 Mistral AI(프랑스), CoreWeave(미
국) 등의 해외 스타트업에 투자를 집행
프랑스는 자국내 투자 비중이 약 43%으로 높고, 다음으로 미국(17.7%), 
유럽 국가 중 스웨덴에 상대적으로 높은 비중으로(16.6%) 투자
2025년 프랑스는 정부의 AI 투자를 확대(총 1,090억 유로)하고, 대부분
을 AI 데이터 센터 건립에 투입해 국가 차원의 AI 생태계 강화를 추진
5) 싱가포르·일본
(싱가포르·일본의 VC 투자 유치 비중) 두 국가 모두 투자 유치 규모 대비 투
자 집행액 규모가 크며, 자국 외에는 미국으로부터의 투자 유치가 많음
싱가포르의 투자 유치(2,795)
일본의 투자 유치(1,771)
미국(15.0%)
420
일본(57.9%)
1,026
싱가포르(12.5%)
349
미국(17.4%)
309
중국(9.6%)
269
불특정(5.9%)
104
일본(4.9%)
137
싱가포르(4.0%)
71
말레이시아(4.0%)
113
대만(3.2%)
56
영국(3.3%)
93
중국(2.8%)
50
불특정(2.2%)
62
영국(2.0%)
35
독일(1.9%)
53
룩셈부르크(0.7%)
12
인도네시아(1.9%)
53
독일(0.6%)
10
[표 
15
] 싱가포르·일본의 AI 분야 VC 투자 유치(2023년 기준, 백만 달러)
싱가포르 AI 스타트업 Alethea, Locofy 등이 미국을 비롯한 여러 국가로부
터 투자를 받았던 사례가 있음
*
싱가포르 경제개발청에 따르면 1,100개 이상의 AI 스타트업이 존재(’23년 말)15)
일본의 사카나 AI는 NVIDIA와의 공동 연구 추진, 미국의 유명 VC 및 AI 분
야 저명한 인사*의 투자를 받아 AI 유니콘 기업으로 성장
사카나 AI는 구글 브레인 출신의 데이비드 하(David Ha)와  ‘Attention 
SPRi 이슈리포트 IS-207AI 분야 글로벌 협력 현황 분석: VC 투자 유치를 중심으로
17
16)
 https://reuters.com/technology/singapores-temasek-talks-invest-openai-ft-reports-2024-03-05
Is All You Need’ 논문의 공저자인 라이언 존스가 공동 창업
*
럭스캐피털, 코슬라벤처스 등의 VC, 제프 딘 Google 수석 과학자, 클레망 델랑지 
Hugging Face 창업자 등 
(싱가포르·일본의 VC 투자 집행 비중) 싱가포르와 일본의 벤처 캐피탈이 미국
의 기술력 높은 스타트업에 적극 투자
싱가포르 역시 미국에 대한 투자 비중이 가장 높으나, 유럽, 아시아 주요국
에 대한 투자 병행
대표적으로, 싱가포르 재무부 산하 투자 지주회사인 Temasek이 미국의 
AI 칩 스타트업 d-Matrix(1억 달러, 2023년)를 비롯한 여러 스타트업에 
투자를 집행한 바 있으며, OpenAI에 투자 집행도 검토16)했던 바 있음
2025년 미국 Anthropic은 130억 달러(약 18조 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
하였으며, 투자에는 미국 VC인 아이코닉 캐피털을 중심으로 싱가포르 국부
펀드(GIC), 카타르 국부펀드(QIA) 등이 참여
싱가포르의 투자 집행(5,105)
일본의 투자 집행(3,052)
미국(73.0%)
3,729
미국(50.0%)
1,525
싱가포르(6.8%)
349
일본(33.6%)
1,026
스웨덴(4.5%)
230
싱가포르(4.5%)
137
중국(4.0%)
204
인도(1.7%)
52
독일(3.7%)
188
이스라엘(1.6%)
49
영국(3.4%)
174
인도네시아(1.4%)
43
캐나다(1.9%)
96
캐나다(1.2%)
36
일본(1.4%)
71
한국(0.6%)
19
인도(1.3%)
64
중국(0.5%)
16
[표 
16
] 싱가포르·일본의 AI 분야 VC 투자 집행(2023년 기준, 백만 달러)
일본의 해외 투자는 미국이 50%, 그 외 국가 중에는 싱가포르가 높음
일본 소프트뱅크는 미국 AI 스타트업인 PicsArt, Labelbox 등에 각각 1억 
달러 이상 투자(2021~2022년)했던 바 있음
SPRi 이슈리포트 IS-207AI 분야 글로벌 협력 현황 분석: VC 투자 유치를 중심으로
18
17)
 출처: Bain & Company(2025). Global Venture Capital Outlook: The Latest Trends.
일본의 싱가포르에 대한 투자액(137백만 달러)은 우리나라(19백만 달러)
와 중국(18백만 달러)의 7배 수준
일례로 싱가포르 AI 기업인 Locofy에 일본 Aviondor Group 
Investments가 투자한 사례(2021년)가 있음
6) 소결
세계 AI 분야 VC 투자는 2021년 이후 감소하다가 2024년에 성장세를 기록
하였으며, 국가 간 VC 투자와 협력은 미국으로 집중되는 경향
Bain & Company의 보고에 따르면 2025년 2분기 기준으로 전 세계 VC 
투자액 중 미국이 64%를 차지하며 여전히 글로벌 VC 투자를 주도17)
VC 자금의 45%가 SW와 AI에 집중되고 있으며 특히, 원천 기술인 파운
데이션 및 대규모 언어 모델에 대한 투자 유치 비중이 높음
미국이 AI 분야 VC 투자 유치 규모에서 1위를 유지하고 있는 가운데 우리
나라는 미국, 중국, 영국, 독일, 인도, 캐나다 등에 이은 투자 규모로써, 이
는 일본, 프랑스보다는 높은 수준
자국 내 VC 투자 유치 비중이 높은 국가는 미국과 중국이며 해외 간 투자 
비중이 높은 국가는 캐나다, 싱가포르 등
비영어권 국가인 프랑스, 독일, 중국, 이스라엘, 한국은 자국의 VC 투자 
집행 비중이 높고, 자국 언어 중심의 AI 기술력 및 주권 확보(소버린 AI)
를 추진하는 특징이 있음
각국의 투자 사례*에 따르면, 실력있는 AI 인재가 창업하여 뛰어난 AI 기술을 
보유한 기업이 국내는 물론 해외 기업으로부터 투자 유치에 성공함으로써, 
국의 대표 AI 기업으로 성장
*
프랑스 Mistral AI, 독일 Aleph Alpha, 일본 사카나 AI, 캐나다 Cohere 등
투자 유치액이 투자 집행액보다 큰 국가는 미국(+166.9억 달러), 중국(+91.0
SPRi 이슈리포트 IS-207AI 분야 글로벌 협력 현황 분석: VC 투자 유치를 중심으로
19
억 달러), 이스라엘(+8.7억 달러), 독일(+8.7억 달러), 프랑스(+5.7억 달러) 
등으로, 상대적으로 국내·외 VC 투자 유치에 적극적인 국가로 볼 수 있음
한국, 일본 등은 아직 해외 VC 투자 유치 비중과 규모가 상대적으로 작아, 
향후 적극적인 투자 유치의 필요성이 있음
SPRi 이슈리포트 IS-207AI 분야 글로벌 협력 현황 분석: VC 투자 유치를 중심으로
20
18)
 https://www.ai.gov/action-plan
19)
 KOSTEC 정책동향(2025.8.29.), 중국 ‘AI+ 행동’ 개시, 지능사회 3단계 로드맵 공개
20)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72711090002879
III. 요약 및 시사
1.
요약
(미·중) AI 분야에서 글로벌 VC 투자 생태계 역시 미국과 중국의 경쟁 양상
최근 미국의 중국 AI 기술 견제 및 중국의 VC 투자 감소에 따라 미국의 영
향력 확대
미국은 자국의 풍부한 VC 생태계를 중심으로 자국 내 투자도 활발
한편, 글로벌 기술 및 인재 확보 차원에서 전방위적으로 VC 투자 강화
특히, 미국은 2025년 7월 발표한 AI 행동 계획18)을 통해 해외로 AI 모델을 
포함한 풀스택 AI 수출을 확대하면서 중국 견제를 강화해 갈 것으로 전망
중국 역시 ‘AI+ 행동’19)을 통해 자국의 AI 경험과 기술을 글로벌 사우스 
국가의 AI 능력을 높이는 데에 사용하면서 오픈소스 활성화 및 국제협력 
강화를 추진20)하면서 미국과 경쟁
이에, 미·중의 해외 AI 기업 투자도 AI 주도권 경쟁의 일환으로 볼 수 있음
(영미권) 캐나다, 영국 등 영미권 국가들과 미국의 협력 강화
미국은 캐나다, 영국, 호주 등의 영미권 국가들의 VC 투자 핵심 파트너
영국, 캐나다가 미국 VC로부터 투자를 유치하는 비중과 이들 국가에서 해
외 투자 대상으로 미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타국에 비해 절대적
*
(예) 해외 VC 투자 유치액 중 미국의 비중 : 영국(25.2%), 캐나다(24.3%) 
이들은 공통 언어를 사용함으로써 문화적, 인적, 기술 교류에 유리
*
미국의 빅테크 기업들은 캐나다 주요 AI 클러스터에 AI 연구 거점을 설치해 인재 
확보 및 연구 수행: 토론토(IBM, Google, NVIDIA), 몬트리올(Google, Meta, MS)
SPRi 이슈리포트 IS-207AI 분야 글로벌 협력 현황 분석: VC 투자 유치를 중심으로
21
21)
 https://www.chosun.com/economy/tech_it/2024/06/25/INPIXQ6CCFGMFO32VYDFKOEXI4/
22)
 집중도(Intensity)는 국가 인구 또는 경제 규모 대비 AI 역량으로써, 싱가포르, 이스라엘 등 소규모 
국가들이 높은 점수를 획득
(유럽) 독일과 프랑스는 유럽 연합의 리더 국가로서 AI 협력에서도 영향력
유럽연합(EU)은 미국 빅테크에 의한 유럽 디지털 시장의 보호 기조를 가지
고 있으며 이러한 기조는 소버린 AI 정책으로 나타나고 있음
이에, 독일과 프랑스의 자국 AI 산업, 나아가 EU 차원의 AI 산업 진흥과 
보호를 위한 기술력 확보를 위해 투자 협력 관계를 유지
한편, 독일, 프랑스는 AI 하드웨어 및 인프라 구축으로 소버린 AI를 강화해 
가는 전략을 취하면서 미국 기업인 NVIDIA와의 전략적 협력 추진 
*
NVIDIA는 도이치텔레콤과 협력하여 자체 AI 데이터센터 인프라를 구축, 
Microsoft와 Amazon은 프랑스에 첨단 데이터 센터를 구축하여 상대국과 협력
(강소 국가) 이스라엘과 싱가포르는 국가 규모에 비해 AI 분야에서 강세를 보
이며 미, 중을 비롯한 주요국의 투자 협력 파트너로 역할
특히, 이스라엘은 미국으로부터 상당한 투자를 받고 있으며 인력과 기술의 
주요 공급처로서 역할
실제, 이스라엘의 테크니온 출신의 고급 AI 인재들*의 미국 진출히 활발하
게 이뤄지고 있으며, 이스라엘 AI 기업들의 인수가 상당히 진행
*
NVIDIA 임직원 32,225명의 링크드인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스라엘 명문 공대 테
크니온 출신 1,119명, 텔아비브大 506명으로 스탠퍼드大 출신 671명에 비해 월
등히 많았는데 이는 NVIDIA가 이스라엘 스타트업을 인수하는 과정에 영입21)
싱가포르는 글로벌 금융 허브로서 다국적 기업들이 다수 진출해 있으면서도 
중국과의 협력 비중이 높음
싱가포르는 영국 Tortoise Intelligence에서 발표하는 Global AI Index에
서 AI 집중도(Intensity)22) 부문 1위를 보였으며, 이는 인구당 상대적인 
규모에서 우위를 보이며 아시아의 AI 기업 허브*로써 입지를 구축
SPRi 이슈리포트 IS-207AI 분야 글로벌 협력 현황 분석: VC 투자 유치를 중심으로
22
23)
 https://www.ft.com/content/31dc3980-ef69-4046-a255-f9d6b67a36a2
*
싱가포르는 우수한 인재, 간소한 행정, 낮은 법인세, 지식재산권(IP) 보호 체계 등 
강점으로 미국, 중국, 영국, 캐나다와 함께 ‘AI 선도국’으로 분류 (BCG, ‘24.11)
싱가포르는 그간 미·중 양국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해 왔으나, 최근 미국과 
중국의 무역 갈등과 경쟁으로 인해 복잡하고 민감한 상황에 직면23)
(우리의 현황) 우리는 세계 10위권의 AI 분야 VC 투자 생태계를 가지고 있으
나 국내 및 미국 중심의 협력관계에 머물고 있음
우리나라 AI 스타트업에 투자되는 규모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나 여전히 자
국내 투자 유치 비중이 높고 해외에서 유입되는 투자도 미국에 편중된 경향
중국, 싱가포르, 일본, 이스라엘, 유럽 등 다양한 국가들과 협력 관계는 형
성하고 있으나 규모면에서는 여전히 미미
2.
시사점
세계 각국의 활발한 투자로 기술과 인재, 미래 산업을 선점해 가고 있음
각국은 AI 인프라, 플랫폼, 모델, 애플리케이션 등 AI 가치사슬에서 입지 강
화를 위해 글로벌 국가들과 전략적인 협력을 추진 중
유럽, 중동 등 소버린 AI를 추진하기 위해 미국 AI 반도체 기업과의 전략
적 협력을 강화하고 있으며,
반대로 자국의 기술과 서비스를 미국을 비롯한 글로벌 시장에 진출시키기 
위한 노력하고 있음
각국의 AI 전문 스타트업들은 우수한 기술력과 인력을 바탕으로 국·내외 VC 
투자를 받음으로써 자국의 독자적 AI 생태계 구축 기반을 마련하는데 기여
대표적으로, 프랑스의 Mistral AI, 독일의 Aleph Alpha, 중국의 문샷 AI
일본의 사카나 AI는 우수한 기술력과 인력으로 대규모 자금 유치에 성공하
며 독자적 거대 AI 모델과 서비스 개발에 투자하는 선순환 달성
SPRi 이슈리포트 IS-207AI 분야 글로벌 협력 현황 분석: VC 투자 유치를 중심으로
23
24)
중국 AI 에이전트 ’마누스‘로 잘 알려진 버터플라이 이펙트 테크놀로지는 미국 투자사 벤치마크(Benchmark) 
주도로 7500만 달러(1조350억원) 규모 시리즈B 투자 유치를 계획했지만 미국의 '해외투자 안보 프로그램' 
규제로 인해 실행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25년 3월 본사를 싱가포르로 이전하였으며, 중국 내에서 틱톡
의 모기업 Bytedance, 쇼핑 플랫폼인 Tabcut, 쉬인 등 다른 기업도 싱가포르로 자산 이전을 진행
글로벌 VC 생태계의 확장을 위해 협력 다각화와 기술 및 자본 확보 필요
VC 투자 및 수출 형태에서 여전히 미국을 지향하는 협력 관계에만 집중하고 
있는 경향이 있으나 향후 중국, 중동/MENA, 유럽 시장 등 다양한 시장 진
출을 위해서는 이들 국가와의 협력 기반 강화가 필요
특히, 미국 빅테크의 독점력과 기술 종속을 우려한 국가들과의 인프라, 플
랫폼, 독자 AI 모델, 애플리케이션 등 개발에 상호 협력 기회 창출 가능*
*
최근 미국의 AI 규제를 우회하기 위해 싱가포르로 본사를 이전하는 중국 AI 스타
트업들이 늘고 있으며24), Grab, Carusell 등의 유니콘 AI 기업들도 글로벌 투자 
유치 환경이 우수한 싱가포르에 본사를 두고 있음
싱가포르는 미국과 서방 국가와의 우호적 관계 뿐만 아니라 중국, 동남아 국
가와의 투자 협력*을 강화함으로써 잠재적 시장 기반 확대
*
싱가포르의 투자 유치 비중: 중국(9.6%), 일본(4.9%), 말레이시아(4.0%), 인도
네시아(1.9%) 등
최근 우리나라에서 추진되는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사업에서 발굴될 
앞으로의 성과를 추후 해외 시장으로 확산시키는 노력이 필요
정부의 지원 하에 해외에서도 충분한 경쟁력을 갖춘 AI 모델을 개발하면서 
수출 레퍼런스를 구축함과 동시에, 적극적인 해외 VC 투자 유치를 통한 
시장 개척을 병행하여 국내 AI 기업의 해외 진출 시도가 필요
*
AI 제품 및 서비스의 수출 미진 이유로 ‘내수용으로 계획·개발하여 해외 시장에 경
쟁력 부족’(38.3%), ‘수출을 할 만한 레퍼런스 미구축’(38.0%), ‘해외 시장에 대
한 정보 부족’(31.7%) 등을 언급(2024년 인공지능산업실태조사)
SPRi 이슈리포트 IS-207AI 분야 글로벌 협력 현황 분석: VC 투자 유치를 중심으로
24
25)
 https://zdnet.co.kr/view/?no=20250523051008
26)
 https://cohere.com/blog/lg-cns-partnership
27)
 Startup Nation Central, Multinational Corporations in Israel: 434 R&D Centers Powering 
Global Innovation, 2025.3
글로벌 AI 개발 협력 사례
 ■ UAE의 G42와 프랑스 Mistral AI가 차세대 AI 플랫폼 구축을 위해 전략적 협력(‘25.5)25) 
  - G42의 AI 운영 및 역량 개발에 미스트랄AI의 LLM 기술, 솔루션, 제품과의 통합 협력, 아울러 미스트랄AI
는 협력의 일환으로 아부다비에 위치한 세계 최초의 AI 대학인 ' 모하메드 빈 자예드 인공지능 대학 
(MBZUAI)'과 차세대 AI 플랫폼 및 인프라 지원, 최첨단 기초 모델에 대한 연구개발 (R&D), 인재 양성, 
최신 연구 성과를 실제 AI 솔루션으로 전환이 모두 협력 검토
 ■ LG CNS와 캐나다 AI 유니콘 기업 Cohere와 추론형 LLM 모델 개발을 협력(2025)26)
  - LG CNS는 고객사가 측정 가능한 생산성 및 효율성 향상을 실현할 수 있도록 Cohere의 포괄적 보안 기업
용 AI 모델 및 애플리케이션 활용해 맞춤형 AI 솔루션 개발, LG CNS의 방대한 도메인 지식과 데이터가 모
델 훈련에 활용
 ■ SK텔레콤은 미국 AI스타트업에 다각적 투자
  - SKT는 미국 Anthropic(2023), Perplexity(2024), Together AI(2025) 등에 전략적인 투자를 진행하였
으며 SKT AI서비스인 에이닷에 Perplexity 검색엔진을 탑재하고, 글로벌 서비스 ‘에스터(A*,Aster)’ 개발
을 양사가 공동으로 진행하고 북미 시장 진출을 위한 테스트 진행
기술력을 가진 스타트업을 육성하기 위한 초기 인재 양성, 기술 연구(R&D)에 
대한 지속적인 중장기적 투자 강화 필요
이스라엘은 자원, 인적, 지리적 악조건에도 불구하고 세계 유수의 기술기업 
들이 R&D 센터를 개소해 협력할 만한 기술 인재 부국으로 성장
*
이스라엘은 NVIDIA의 해외 최대 R&D 센터를 비롯해, MS, Google, Intel 등 해
외 유수 기업들의 R&D 센터 434여 개를 유치 운영하고 있음(‘25.3월 기준27))
특히, 탈피오트와 같은 과학기술사관제도를 통해 IT 인재의 역량을 강화하
고 기술 창업으로 연결시켜 사실상 이스라엘 IT 인력의 산실로 역할
해외 투자를 받는 기업은 독자적이고 차별적인 기술을 확보한 기술 기업으로
서 이들의 기술 경쟁력을 지속적으로 고도화할 수 있는 R&D 강화 필요
기술력을 갖춘 기업가(entrepreneurs)가 디지털 AI 시대를 주도
대학, 대학원에서의 독자적 창의적 기술 연구를 할 수 있도록 연구 환경을 
구축하고 도전 과제를 추진하며, 글로벌 연구 협력 기회 확대 병행
SPRi 이슈리포트 IS-207AI 분야 글로벌 협력 현황 분석: VC 투자 유치를 중심으로
25
28)
 코리아 IT 펀드는 2002년 통신 3사(SK텔레콤, KT, LG U+)가 IT 산업 발전에 기여할 목적으로 3천억원을 
출자하여 조성하였으며, IT분야 유망 벤처·중소기업에 투자해 왔으며 최근(‘25.8) 존속기간을 2030년에서 
2040년으로 10년 연장하고 투자금액을 확대할 것을 발표
29)
 과기정통부(2025.8.12.), “정부-이통사가 함께 인공 지능 3대 강국 도약 위한투자 확대·협력 의지 다져”
30)
 한국경제신문(2025.9.10.), “AI 30조, 반도체 21조…李 "총성 없는 혁신전쟁, 역량 총동원"
경기 침체에도 불구하고 정부와 민간의 AI 분야 투자의 지속 확대 필요
최근 과기정통부와 국내 이동통신 3사는 AI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코
리아 IT 펀드(KIF)28)’를 통한 유망 AI 기업 육성에 투자를 확대할 방침29)
또한, 정부는 AI, 반도체, 바이오 등 첨단전략산업 투자 활성화를 위해 
150조 원 규모의 국민성장펀드*를 조성할 계획이며 이 중 AI에 30조 원을 
투자할 계획30)
*
국민성장펀드는 산업은행에 설치하는 첨단전략산업기금(75조 원)에 더해 금융회사, 
연기금, 일반 국민 등 민간 자금(75조 원)을 포함
국내 유망 기업의 육성과 해외 진출을 지원하고, 필요에 따라 해외 유망 
기술 기업의 인수와 인재 영입을 위해 정책 자금의 유연한 집행 필요
글로벌 투자 협력 생태계 강화는 AI 강국 도약을 위한 핵심 전략
선도국 대비 상대적으로 제한된 경제 규모와 자원을 가진 우리나라는 이스라
엘, 싱가포르와 같이 AI 기술과 인재에 기반한, 집중도(Intensity) 높은 AI 
강국으로서 포지셔닝이 현실적
우리나라의 독자 AI 기술이 빠르게 시장에 진출하고 산업으로 성장할 수 
있는 성장 체제 구축을 위해서 근간이 되는 VC 생태계가 필수적
국내 우수 AI 인재와 기업의 해외 진출을 지원하고, 동시에 해외의 인재, 
자본 유치를 통해 국내 산업 역량을 강화하는 ‘투웨이 전략’ 강화 필요
이를 위해, 미·중을 비롯한 유럽, 중동, 동남아 등 다양한 국가들과 협력 관
계를 구축하고 강화함으로써 잠재적 해외 시장 확보 뿐만 아니라, 글로벌 인
재와 기술력 확보를 통해 우리 AI 가치사슬 전반의 역량을 강화
SPRi 이슈리포트 IS-207AI 분야 글로벌 협력 현황 분석: VC 투자 유치를 중심으로
26
참고문헌
1. 국내문헌 
SPRi(2025). 2024년 인공지능산업실태조사.
NIA(2023). 인공지능(AI) 국제협력 현황 및 특징 분석.
산업연구원(2023), 2023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
SPRi(2024). 국외 AI 시장 및 창업지원 정책 동향 조사 연구보고서.
SPRi(2025). 2024년 국내외 인공지능 산업 동향 연구보고서.
IITP AI·ICT Brief (2025.8.8.). 싱가포르, 글로벌 기업들의 ‘풀스택 AI 허브’로 부상.
ETRI ICT정책 이슈&트렌드(2024). 소버린 AI 동향 및 R&D에 대한 시사점.
2. 국외문헌
Statista(2024). Artificial Intelligence : in-depth market analysis. 
CB Insights(2025). AI 100: The most promising artificial intelligence startups 
of 2025.
Boston Consulting Group(2024). The AI Maturity Matrix.
Tortoise Intelligence(2024). The Global Artificial Intelligence Index 2024.
Bloomberg(2025). 至少六家中國知名VC 數年來罕見募資浪潮 總額超20億美元
Bain & Company(2025). Global Venture Capital Outlook: The Latest Trends.
3. 기  타
OECD.AI (2025), data from Preqin, last updated 2025-06-25, accessed on 
2025-06-30, https://oecd.ai/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에 의해 작성된 [SPRI 보고서]는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주      의
이 보고서는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에서 수행한 연구보고서입니다. 
이 보고서의 내용을 발표할 때에는 반드시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에서 수행한 연구결과임을 밝혀야 합니다.
AI 분야 글로벌 협력 현황 분석: VC 투자 유치를 중심으로
Analysis of global cooperation in AI: Focusing on attracting VC investment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대왕판교로 712번길 22 글로벌 R&D 연구동(B)
Global R&D Center 4F 22 Daewangpangyo-ro 712beon-gil, Bundang-gu, Seongnam-si, Gyeonggi-do
 
www.spri.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