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shttps://spri.kr/2025년 10월호https://spri.kr/posts/view/23919?code=https://spri.kr/posts/view/23919?code= e-book 보기 포럼 FORUM 2025년 제62회 SPRi 포럼 – AI, ON! : 인재로 여는 미래 포토에세이 PHOTO ESSAY 중간-이호준 포커스 FOCUS AI가 바꾸는 창업, 디지털 기업가정신의 미래 유통 진화 이론으로 본 미래 커머스 전망: 산업혁명과 혁신에 따른 유통 트렌드 독자 AI 생태계를 어떻게 마련할 것인가?: 이재명 정부의 인공지능 정책에 대한 제언 Wed, 29 Oct 2025 09:37:00 +0900[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넥스트 메타버스 : AI 혁신과 새로운 기회https://spri.kr/posts/view/23918?code=https://spri.kr/posts/view/23918?code= Wed, 15 Oct 2025 15:56:00 +0900산업경쟁력 강화의 원동력, 산업특화 소프트웨어의 성장 동인과 주요 사례https://spri.kr/posts/view/23916?code=https://spri.kr/posts/view/23916?code= 최근 산업의 고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인 산업특화 소프트웨어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2011년부터 2020년까지 10년 간 1.4배 성장하는데 그쳤으나, 2021년 이후 5년 사이 2.3배나 성장했다. 산업특화 소프트웨어의 시장 성장 동인을 (1)공급, (2)수요, (3)기술로 구분하여 2020년을 기점으로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장 공급 관점에서 과거의 산업특화 소프트웨어 기업은 산업별로 명확히 구분되어 소프트웨어 기업의 타산업 진출 및 성장을 제한했다. 하지만 빅테크 기업을 중심으로 산업특화 클라우드 플랫폼(Vertical PaaS)을 제공하면서 클라우드 기반의 산업특화 소프트웨어(Vertic…Wed, 15 Oct 2025 12:48:00 +09002025년 10월호https://spri.kr/posts/view/23915?code=https://spri.kr/posts/view/23915?code= 목차 Table of Contents 정책·법제 ▹ 중국 국무원, ‘AI 플러스’ 심화 추진을 위한 정책 로드맵 발표 ▹ 대만 행정원, AI 기본법 통과 후 입법원에 제출 ▹ 영국 과학혁신기술부, 2024년 영국 AI 산업 현황 분석 보고서 발간 ▹ 미국 캘리포니아주 의회, 미국 최초로 미성년자 보호를 위한 AI 챗봇 규제 통과 ▹ 중국 국가인터넷정보판공실, AI 안전 거버넌스 프레임워크 2.0 버전 발표 기업·산업 ▹ 구글, 이미지 편집 모델 ‘제미나이 2.5 플래시 이미지’ 공개 ▹ xAI, 에이전트 코딩 특화 AI 모델 ‘그록 코드 패스트 1’ 공개 ▹ 청소년 자살로 피소된 …Thu, 02 Oct 2025 14:10:00 +0900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AI, ON! : 인재로 여는 미래(결과)https://spri.kr/posts/view/23914?code=https://spri.kr/posts/view/23914?code= AI, ON! : 인재로 여는 미래 AI, ON! : 인재로 여는 미래 발표자료 1. (사람인 김정실 실장) 인공지능 인재 생태계, 채용시장의 수요와 공급의 변화 …Mon, 29 Sep 2025 17:37:00 +09002025년 9월호https://spri.kr/posts/view/23913?code=https://spri.kr/posts/view/23913?code= e-book 보기 이슈 ISSUE 국내 기업 · 대학의 디지털 해외 인재 고용 및 취업 현황 분석 피지컬 AI의 현황과 시사점 포토에세이 PHOTO ESSAY 중간-이호준 포커스 FOCUS 클라우드와 엣지 시대의 AI 반도체 혁신과 지속가능성 디지털에서 AI로, 다시 살펴볼 보완점 Thu, 25 Sep 2025 15:44:00 +0900DX 성공 전략의 재조명 : 왜 ‘SW 인력’이 핵심인가?https://spri.kr/posts/view/23912?code=https://spri.kr/posts/view/23912?code= 디지털 전환(DX)은 4차 산업혁명의 가속화, 글로벌 공급망 불안, 시장 불확실성 심화 속에서 기업 생존과 성장의 필수 전략으로 자리매김하였다. 이에 따라 기업들은 SW 투자 확대, AI·클라우드 등 SW 신기술 도입, 전문 SW 인력 확보에 집중하고 있으나, 단순한 자원 투입만으로 기대 성과를 달성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DX 성과가 개별 요인의 효과뿐만 아니라, SW 투자, SW 신기술, SW인력의 상호작용 속에서 확대됨을 시사한다. 「2024년 SW융합실태조사」를 활용해 국내 1,126개 기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모형(SEM)을 적용한 실증 분석 결과, DX 성과의 핵심 요인은 SW 투자, SW 신기술, SW 인력으로 확인되었다. 세 요인은 각각…Tue, 23 Sep 2025 09:06:00 +0900과학을 위한 AI(AI4Science) 연구의 패러다임을 바꾸다https://spri.kr/posts/view/23910?code=https://spri.kr/posts/view/23910?code= 이 보고서에서는 인공지능(AI)이 과학 연구의 전 과정에 가져온 혁신적 변화를 분석하여, AI 기반 연구 패러다임의 특성과 각 연구 단계별 활용 사례,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AI는 경험, 이론, 계산, 데이터 주도에 이은 제5의 과학혁명의 핵심 동력으로, 인간 연구자의 인지적 한계를 보완하고 지식 창출 과정 자체를 재정의하고 있다. 특히 AI는 방대한 데이터에서 패턴을 발견하고, 학제 간 경계를 넘나드는 지식 연결을 수행하며, 가설 생성부터 실험 수행, 데이터 분석에 이르는 연구 전 주기를 통합적으로 지원하는 지능형 연구 동반자로 진화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연구의 속도와 규모를 기하급수적으로 확장시켰을 뿐만 아니라, 연구 접근성을 높여 고가…Fri, 12 Sep 2025 15:30:00 +0900AI 분야 글로벌 협력 현황 분석 - VC 투자 유치를 중심으로https://spri.kr/posts/view/23909?code=https://spri.kr/posts/view/23909?code= 최근 세계 AI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AI 관련 제품과 서비스의 혁신이 활발하게 진행되는 가운데, 주요 AI 기업 및 국가 간 기술 경쟁 역시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 한편 AI 분야에서 국가 간 협력 및 투자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으며, 기업 간 투자·협력 역시 Microsoft가 OpenAI에 투자, Google이 Anthropic으로 투자한 사례와 같이 기업 간 투자 네트워크가 확대되고 있다. 보고서는 국가 간 벤처캐피탈(VC) 투자 흐름을 분석함으로써, 글로벌 협력을 활발히 진행하는 국가들의 특성을 도출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미국은 AI 분야 VC 투자에서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미국과 중국은 VC 투자에 있어 자국…Fri, 12 Sep 2025 07:59:00 +09002025년 9월호https://spri.kr/posts/view/23908?code=https://spri.kr/posts/view/23908?code= 목차 Table of Contents 정책·법제 ▹ 영국 과학혁신기술부, 영국 컴퓨트 로드맵 발표 ▹ 중국 정부, 글로벌 거버넌스를 위한 세계 AI 협력기구 창설 제안 ▹ 미국 연방법원, 오토파일럿 사망사건에서 테슬라의 책임 인정 ▹ 미국 연방조달청, AI 플랫폼 ‘USAi’ 공개 및 주요 AI 기업과 제품 제공 계약 체결 ▹ OECD, AI 개방성의 개념을 탐색한 보고서 발간 기업·산업 ▹ 즈푸 AI, 추론과 에이전트 성능 강화한 ‘GLM-4.5’ 공개 ▹ 구글, 제미나이 앱에서 ‘제미나이 2.5 딥씽크’ 제공 ▹ 앤스로픽, 코딩과 에이전트 성능 강화한 ‘클로드 오푸스 4.1’ …Tue, 09 Sep 2025 17:19:00 +0900[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AI, ON! : 인재로 여는 미래https://spri.kr/posts/view/23907?code=https://spri.kr/posts/view/23907?code= Tue, 09 Sep 2025 10:59:00 +0900"2025 내정보지킴이 캠페인" 안내https://spri.kr/posts/view/23906?code=https://spri.kr/posts/view/23906?code= Mon, 01 Sep 2025 13:12:00 +0900메타버스-AI 공진화 전망과 시사점https://spri.kr/posts/view/23905?code=https://spri.kr/posts/view/23905?code= 메타버스는 가상공간, 또는 현실과 가상이 융합된 공간으로서 다양한 산업에서 실증적 성과를 보이고 있으며, 생성형 인공지능을 중심으로 한 AI 기술은 사회 전반에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이 두 기술은 서로의 발전을 촉진하며 공진화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새로운 가치와 서비스 창출의 혁신이 기대된다. AI는 텍스트로도 실시간 콘텐츠 창작을 지원하며, 메타버스 내에서 사용자의 행동 패턴을 학습하여 개인화된 콘텐츠와 추천 시스템 구현 등에 핵심적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메타버스는 각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맞춤형 경험을 제공하고 산업적 활용 측면에서도 향상된 성과 달성에 기여할 수 있다. 메타버스는 AI 학습에 필요한 데이터와 시뮬레이션 환경을 제공함으…Wed, 20 Aug 2025 15:25:00 +09002025년 8월호https://spri.kr/posts/view/23904?code=https://spri.kr/posts/view/23904?code= e-book 보기 이슈 ISSUE 소프트웨어중심자동차(SDV) 시대를 여는 길 : 소프트웨어와 생태계 협력 포토에세이 PHOTO ESSAY 중간-이호준 포커스 FOCUS AI 시대, 정부의 공공가치 실현 전략 항공우주산업의 경쟁력 제고 : 소프트웨어 기반의 전산유체역학(CFD)과 항공기 안전 보장 Mon, 18 Aug 2025 14:44:00 +0900[입찰공고]통계페이지 기능개선 개발 용역https://spri.kr/posts/view/23903?code=https://spri.kr/posts/view/23903?code=주소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대왕판교로 712번길22 글로벌R&D센터 연구동B 4층 홈페이지 : www.spri.kr 입찰공고 조달청 입찰공고번호 - R25BK00998080-000 입찰에 부치고자 다음과 같이 공고합니다. 1. 입찰개요 ------------------------------------------------------------------ - 수요기관 : 정보통신산업진흥원 부설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 입찰건명 : 통계페이지 기능개선 개발 용역 - 계약방법 : 제한경쟁입찰 - 사업예산 : 80,000,000원 (부가세 포함) - 입찰방법 : 제한(총액)협상에의한계약 - 계약기간 : 계약 후 90일 이내 - 공동계약 : 불가(단독이행 방식) 2. 입찰마…Thu, 07 Aug 2025 09:13:00 +09002025년 8월호https://spri.kr/posts/view/23902?code=https://spri.kr/posts/view/23902?code= 목차 Table of Contents 정책·법제 ▹ 대만 디지털발전부, 의회에서 AI 산업 발전 정책 현황 보고 ▹ OECD, 범용 기술로서 생성 AI의 생산성과 정책적 함의 분석 ▹ 미국 상원, 예산안에서 주 정부의 AI 규제를 10년간 금지하는 조항 삭제 ▹ 미국 트럼프 대통령, 미국 AI 행동계획과 행정명령 발표 ▹ EU 집행위원회, 「AI 법」의 범용 AI 관련 실천 강령과 지침 발표 기업·산업 ▹ 미드저니, 첫 번째 비디오 생성 AI 모델 ‘V1’ 출시 ▹ 바이두, 10년 만에 AI 기반으로 검색 서비스 대폭 개편 ▹ 문샷 AI, 에이전트 기능 지원하는 ‘키미 K2’ 오픈…Wed, 06 Aug 2025 11:00:00 +0900위기 혹은 기회 :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조치가 소프트웨어 산업에 미칠 영향과 대응방안https://spri.kr/posts/view/23900?code=https://spri.kr/posts/view/23900?code= 트럼프 2기 행정부는 출범 후 전략산업 보호와 무역적자 해소를 명분으로 전 품목에 10% 보편관세와 우리나라를 포함한 57개국에 상호관세를 예고했고, 유예기간을 거쳐 2025년 8월 7일부터 우리나라를 포함한 69개국에 상호관세를 부과할 예정이다. 이러한 조치는 제조업에 집중되어 있으나, 디지털 무역 질서 재편 속에 소프트웨어(SW) 산업도 그 유형에 따라 직·간접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에 본 보고서는 미국의 관세 정책이 SW 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여 분석하고 그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SW 유형별로 국제협정 등 법적 근거를 살펴 관세 부과 가능성을 검토하고 소프트웨어 산업계에 미칠 간접 영향을 분석하였다. 소프트웨어(SW)…Fri, 01 Aug 2025 17:03:00 +0900[AI Brief 스페셜] AI 데이터센터 동향과 시사점https://spri.kr/posts/view/23896?code=https://spri.kr/posts/view/23896?code= 목차 Table of Contents 1. AI 데이터센터(AI Data center)의 도입과 확산 2. AI 데이터센터 관련 주요 기업 동향 3. AI 데이터센터 관련 국가별 정책 동향 4. AI 데이터센터 관련 이슈 및 정책적 시사점 5. 참고 문헌 Wed, 30 Jul 2025 10:39:00 +0900위기 혹은 기회 :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조치가 소프트웨어 산업에 미칠 영향과 대응방안https://spri.kr/posts/view/23895?code=https://spri.kr/posts/view/23895?code= 트럼프 2기 행정부는 출범 후 전략산업 보호와 무역적자 해소를 명분으로 전 품목에 10% 보편관세와 우리나라를 포함한 57개국에 상호관세를 예고했고, 유예기간을 거쳐 2025년 8월 7일부터 우리나라를 포함한 69개국에 상호관세를 부과할 예정이다. 이러한 조치는 제조업에 집중되어 있으나, 디지털 무역 질서 재편 속에 소프트웨어(SW) 산업도 그 유형에 따라 직·간접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에 본 보고서는 미국의 관세 정책이 SW 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여 분석하고 그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SW 유형별로 국제협정 등 법적 근거를 살펴 관세 부과 가능성을 검토하고 소프트웨어 산업계에 미칠 간접 영향을 분석하였다. 소프트웨어(SW…Tue, 29 Jul 2025 17:12:00 +0900위기 혹은 기회 :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조치가 소프트웨어 산업에 미칠 영향과 대응방안https://spri.kr/posts/view/23899?code=https://spri.kr/posts/view/23899?code= 트럼프 2기 행정부는 출범 후 전략산업 보호와 무역적자 해소를 명분으로 전 품목에 10% 보편관세와 우리나라를 포함한 57개국에 상호관세를 예고했고, 유예기간을 거쳐 2025년 8월 7일부터 우리나라를 포함한 69개국에 상호관세를 부과할 예정이다. 이러한 조치는 제조업에 집중되어 있으나, 디지털 무역 질서 재편 속에 소프트웨어(SW) 산업도 그 유형에 따라 직·간접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에 본 보고서는 미국의 관세 정책이 SW 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여 분석하고 그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SW 유형별로 국제협정 등 법적 근거를 살펴 관세 부과 가능성을 검토하고 소프트웨어 산업계에 미칠 간접 영향을 분석하였다. 소프트웨어(SW)…Tue, 29 Jul 2025 17:00:00 +0900위기 혹은 기회 :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조치가 소프트웨어 산업에 미칠 영향과 대응방안https://spri.kr/posts/view/23901?code=https://spri.kr/posts/view/23901?code= 트럼프 2기 행정부는 출범 후 전략산업 보호와 무역적자 해소를 명분으로 전 품목에 10% 보편관세와 우리나라를 포함한 57개국에 상호관세를 예고했고, 유예기간을 거쳐 2025년 8월 7일부터 우리나라를 포함한 69개국에 상호관세를 부과할 예정이다. 이러한 조치는 제조업에 집중되어 있으나, 디지털 무역 질서 재편 속에 소프트웨어(SW) 산업도 그 유형에 따라 직·간접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에 본 보고서는 미국의 관세 정책이 SW 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여 분석하고 그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SW 유형별로 국제협정 등 법적 근거를 살펴 관세 부과 가능성을 검토하고 소프트웨어 산업계에 미칠 간접 영향을 분석하였다. 소프트웨어(SW)…Tue, 29 Jul 2025 00:00:00 +0900양자컴퓨팅과 AI 융합 발전 가능성과 시사점https://spri.kr/posts/view/23894?code=https://spri.kr/posts/view/23894?code= 인간이 개발하는 기술은 자연의 작동 방식과 매우 닮아있어, 자연으로부터 아이디어를 얻고 모방하며 기술 개발이 시작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현재 AI 기술의 기반이 되는 신경망 역시 인간의 뇌 구조와 작동 방식에 대한 모방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양자역학은 분명히 자연이 근본적으로 작동하는 방식이지만, 우리가 경험하는 일상의 현상과 다른 방식으로 기술된다. 인간이 실제로 보고 느끼는 것으로부터 생겨나는 일상적 직관과 감각적 경험과는 사뭇 이질적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대중에게 양자는 항상 어렵고 난해하게만 느껴지는 ‘과학’의 영역에만 머물러 있었다. 그러나 최근 양자컴퓨터를 개발하는 글로벌 기업 및 스타트업들이 보여준 놀라운 기술적 성과는 더 이상 양자…Mon, 21 Jul 2025 10:32:00 +09002025년 7월호https://spri.kr/posts/view/23893?code=https://spri.kr/posts/view/23893?code= e-book 보기 이슈 ISSUE 디지털 분야 해외 인재 유치를 위한 국내·외 비자 제도 : 현황 및 시사점 포토에세이 PHOTO ESSAY 중간-이호준 포커스 FOCUS 대한민국 ICT 서비스 무역의 도약과 과제 AI 시대의 표준과 오픈소스의 상생 전략 손에 잡히는 오픈소스, 기업 비즈니스와 전략 사례 Wed, 16 Jul 2025 14:24:00 +09002025년 7월호https://spri.kr/posts/view/23892?code=https://spri.kr/posts/view/23892?code= 목차 Table of Contents 정책·법제 ▹ OECD, AI와 인간의 능력을 비교한 AI 역량 지표 공개 ▹ 일본 정부, 「AI 관련 기술의 연구개발 및 활용 추진에 관한 법률」 공포 ▹ 일본 방위성, AI를 활용한 무기의 연구개발 지침 발표 ▹ 미국 상무부, AI안전연구소를 AI표준혁신센터로 개편 ▹ EU 집행위원회 공동연구센터, 생성 AI 전망 보고서 발간 기업·산업 ▹ 앤스로픽, 차세대 AI 모델 ‘클로드 오푸스 4’와 ‘클로드 소네트 4’ 출시 ▹ 애플, WWDC 2025에서 ‘애플 인텔리전스’ 신기능 공개 ▹ 미스트랄 AI, 추론 AI 모델과 기업용 AI 코딩 도구…Wed, 09 Jul 2025 09:01:00 +09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