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shttps://spri.kr/2025년 7월호https://spri.kr/posts/view/23892?code=https://spri.kr/posts/view/23892?code= 목차 Table of Contents 정책·법제 ▹ OECD, AI와 인간의 능력을 비교한 AI 역량 지표 공개 ▹ 일본 정부, 「AI 관련 기술의 연구개발 및 활용 추진에 관한 법률」 공포 ▹ 일본 방위성, AI를 활용한 무기의 연구개발 지침 발표 ▹ 미국 상무부, AI안전연구소를 AI표준혁신센터로 개편 ▹ EU 집행위원회 공동연구센터, 생성 AI 전망 보고서 발간 기업·산업 ▹ 앤스로픽, 차세대 AI 모델 ‘클로드 오푸스 4’와 ‘클로드 소네트 4’ 출시 ▹ 애플, WWDC 2025에서 ‘애플 인텔리전스’ 신기능 공개 ▹ 미스트랄 AI, 추론 AI 모델과 기업용 AI 코딩 도구…Wed, 09 Jul 2025 09:01:00 +0900[입찰공고]2026년 SW산업 전망 컨퍼런스 행사 운영 용역https://spri.kr/posts/view/23890?code=https://spri.kr/posts/view/23890?code=주소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대왕판교로 712번길22 글로벌R&amp;D센터 연구동B 4층 홈페이지 : www.spri.kr 입찰공고 조달청 입찰공고번호 - R25BK00932555-000 입찰에 부치고자 다음과 같이 공고합니다. 1. 입찰개요 ------------------------------------------------------------------ - 수요기관 : 정보통신산업진흥원 부설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 입찰건명 : 2026년 SW산업 전망 컨퍼런스 행사 운영 용역 - 계약방법 : 제한경쟁입찰 - 사업예산 : 67,000,000원 (부가세 포함) - 입찰방법 : 제한(총액)협상에의한계약 - 계약기간 : 2025년 08월 18일 ~ 2025년 12월 15일 -…Mon, 30 Jun 2025 10:46:00 +09002024년 SW산업실태조사 보고서https://spri.kr/posts/view/23886?code=https://spri.kr/posts/view/23886?code= 제 1 장 조사개요 1. 조사 목적 2. 조사 개요 3. 표본 설계 4. 조사 완료 및 유효표본 5. 주요 조사 내용 제 2 장 조사 결과 1. 일반현황 2. 경영실적 3. 사업 현황 4. 인력 현황 5. 기술 개발 환경 6. 신소프트웨어 7. 해외진출 현황 제 3 장 부록 1. 용어해설 2. 결과표 3. 조사표 4. 소프트웨어산업 품목 분류체계 Mon, 30 Jun 2025 10:18:00 +09002024년 SW산업실태조사https://spri.kr/posts/view/23887?code=https://spri.kr/posts/view/23887?code= 제 1 장 조사개요 1. 조사 목적 2. 조사 개요 3. 표본 설계 4. 조사 완료 및 유효표본 5. 주요 조사 내용 제 2 장 조사 결과 1. 일반현황 2. 경영실적 3. 사업 현황 4. 인력 현황 5. 기술 개발 환경 6. 신소프트웨어 7. 해외진출 현황 제 3 장 부록 1. 용어해설 2. 결과표 3. 조사표 4. 소프트웨어산업 품목 분류체계 Mon, 30 Jun 2025 09:00:00 +09002024 SW융합 실태조사https://spri.kr/posts/view/23888?code=https://spri.kr/posts/view/23888?code= 제 1 장 조사 개요 01. 조사 배경 및 목적 02. 조사 개요 03. 표본 설계 04. 주요 조사 내용 05. 조사 추진 및 운영 제 2 장 조사 결과 01. 재무 현황 02. 조직 및 인력 현황 03. SW 기술 현황 04. 디지털 전환 현황 05. 산업별 디지털 성숙도 현황 부록 01. 용어 해설 02. 결과표 03. 주요 항목 상태표준오차 04. 조사표 …Mon, 30 Jun 2025 09:00:00 +09002024 SW융합 실태조사 보고서https://spri.kr/posts/view/23889?code=https://spri.kr/posts/view/23889?code= 제 1 장 조사 개요 01. 조사 배경 및 목적 02. 조사 개요 03. 표본 설계 04. 주요 조사 내용 05. 조사 추진 및 운영 제 2 장 조사 결과 01. 재무 현황 02. 조직 및 인력 현황 03. SW 기술 현황 04. 디지털 전환 현황 05. 산업별 디지털 성숙도 현황 부록 01. 용어 해설 02. 결과표 03. 주요 항목 상대표준오차 04. 조사표 …Mon, 30 Jun 2025 09:00:00 +09002025년 6월호https://spri.kr/posts/view/23885?code=https://spri.kr/posts/view/23885?code= e-book 보기 이슈 ISSUE AI 인프라에서 AI 서비스로: SW 기업의 AI 도입 모델과 신서비스 모델의 탐색 포토에세이 PHOTO ESSAY 중간-이호준 포커스 FOCUS 글로벌 AI 정책의 흐름과 비교: OECD AI Policy Observatory 데이터 기반 분석 ChatGPT의 개인정보 이슈와 딥시크(Deepseek)의 보안 이슈, 그 의미와 시사점 AI와 빅데이터에 기반한 지방정부 재난관리의 혁신 Mon, 23 Jun 2025 10:57:00 +09002025년 6월호https://spri.kr/posts/view/23884?code=https://spri.kr/posts/view/23884?code= 목차 Table of Contents 정책·법제 ▹ EU 집행위원회, 「AI 법」의 AI 정의 및 금지된 활용 사례 피드백 분석 결과 발표 ▹ 미국 상무부, 바이든 전 행정부의 AI 칩 수출 규제 철회 ▹ 미국 트럼프 대통령, 청소년 AI 교육 강화를 위한 행정명령 발표 ▹ 영국 과학혁신기술부, AI 2030 시나리오 보고서 발표 ▹ 미국과 UAE 정부, 아부다비에 초대형 AI 데이터센터 구축 협의 기업·산업 ▹ 메타, AI 개발자 컨퍼런스 ‘라마콘’에서 라마 API와 메타 AI 앱 공개 ▹ 아마존, 촉각 기능을 갖춘 물류 로봇 ‘벌컨’ 공개 ▹ 오픈AI, 글로벌 AI 인프라 지원…Mon, 09 Jun 2025 15:19:00 +0900[입찰공고]주요산업 SW 융합혁신 현황조사 용역https://spri.kr/posts/view/23883?code=https://spri.kr/posts/view/23883?code=주소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대왕판교로 712번길22 글로벌R&amp;D센터 연구동B 4층 홈페이지 : www.spri.kr 입찰공고 조달청 입찰공고번호 - R25BK00887132-000 입찰에 부치고자 다음과 같이 공고합니다. 1. 입찰개요 ------------------------------------------------------------------ - 수요기관: 정보통신산업진흥원 부설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 입찰건명: 주요산업 SW 융합혁신 현황조사 용역 - 계약방법: 제한경쟁입찰 - 사업예산: 70,000,000원 (부가세 포함) - 입찰방법: 제한(총액)협상에의한계약 - 납품기한: 계약 후 120일 이내 - 공동계약: 허용(공동이행 방식) 2. 입찰마감 …Thu, 05 Jun 2025 10:54:00 +0900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2025년 정규직(연구직) 채용 공고https://spri.kr/posts/view/23882?code=https://spri.kr/posts/view/23882?code= Wed, 04 Jun 2025 10:05:00 +0900GovTech 확산의 두 가지 엔진 : 정당성(Legitimacy)과 역능적 행위자성(Empowered Actorhood)https://spri.kr/posts/view/23879?code=https://spri.kr/posts/view/23879?code= 현대사회에서 디지털 기술은 정치, 경제, 사회 전반을 관통하는 핵심 동력이 되었다. 정부 또한 디지털 기술이 촉진시키는 변화에서 예외일 수 없으며, 행정 효율화, 공공 서비스 개선, 국민과의 소통 등에서 디지털 전환에 따른 혁신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이처럼 디지털 기술이 공공 부문 전반에 깊숙이 침투함에 따라 새롭게 부상한 개념이 바로 GovTech(Government Technology)이다. GovTech는 정부 (Government)와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로 공공 서비스 개선과 정부 운영의 효율성 향상 등 민간의 기술을 통한 혁신 주도를 의미하는 개념이다. FinTech가 금융 분야의 기술 혁신을, AgriTech가 농업 분야의 기술 혁신을 의미하는 …Fri, 30 May 2025 13:43:00 +09002024년 이러닝산업 실태조사https://spri.kr/posts/view/23880?code=https://spri.kr/posts/view/23880?code= 제 1 장 조사개요 1.1. 조사 목적 1.2. 조사 연혁 1.3. 이러닝 산업 및 공급자 정의 1.4. 이러닝 산업 및 공급자 조사 설계 1.5. 수요자 조사 범위 및 조사 설계 제 2 장 이러닝 공급시장 현황 2.1. 이러닝 사업체 수 2.2. 이러닝 공급시장 규모 2.3. 이러닝 인력 현황 2.4. 이러닝 해외진출 현황 2.5. 이러닝 교육대상별 매출 비중 2.6. 기술표준 적용현황 2.7. 이러닝 관련 지적재산권 보유 현황 2.8. 이러닝 소비자의 개…Fri, 30 May 2025 00:00:00 +0900주요국 AI 인재 양성 및 유치 정책 : 현황 및 시사점https://spri.kr/posts/view/23877?code=https://spri.kr/posts/view/23877?code= AI 기술은 국가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 요소이다. AI가 경제 성장과 노동시장 변화, 국가안보 등 다양한 분야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 만큼 각국 정부는 대규모 인재 양성 정책과 해외 전문인력 유치 제도를 활발히 추진하며 고급 AI 인재 확보를 위해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디지털 전환과 초거대 AI 시대에 대응하기 위해 다각도의 인력양성 및 해외 인재 유치 정책을 펼치고 있으나, AI 패권 경쟁 속에서 AI 인력 부족과 채용 난, 해외로의 AI 인재 순 유출이라는 난관에 직면해 있다. 이에 본 고는 한국과 미국, 중국, 영국, 일본의 AI 인재 양성·유치 정책 현황을 비교·분석함으로써 국내 정책 개선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Mon, 26 May 2025 16:16:00 +0900<2024년 이러닝산업 실태조사> 공표 일정 사전공지https://spri.kr/posts/view/23876?code=https://spri.kr/posts/view/23876?code= 보고서가 2025년 5월 31일에 공표될 예정임을 알려드립니다. Mon, 19 May 2025 17:02:00 +0900모빌리티 혁신을 위한 오픈소스 활성화 방안 연구https://spri.kr/posts/view/23875?code=https://spri.kr/posts/view/23875?code= 요약문 1. 제 목 : 모빌리티 혁신을 위한 오픈소스 활성화 방안 2. 연구 목적 및 필요성 오픈소스 생태계는 소프트웨어(SW) 기술 혁신을 넘어 통신, 금융, 모빌리티, 에너지, 미디어 같은 다양한 산업 디지털 혁신의 동력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자동차, 조선, UAM/드론 등의 모빌리티 분야에서 자율주행, 스마트 선박, 무인 비행 등의 SW 기반 기술 혁신을 위한 오픈소스 협업이 활발해지고 있다. 대표적으로 GENIVI, AGL(Automotive Grade Linux), 아폴로(Apollo), 오토웨어(Autoware) 등이 있으며 이들은 모빌리티 기업 중심의 오픈소스 협업 프로젝트로 모빌리티 기술 혁신을 위해 오픈소스 개발을 하며 혁신 확산에 기여…Fri, 16 May 2025 10:41:00 +09002025년 5월호https://spri.kr/posts/view/23874?code=https://spri.kr/posts/view/23874?code= e-book 보기 이슈 ISSUE 소프트웨어는 어떻게 세상을 혁신하는가? 컬럼 COLUMN 취향이 알고리즘을 만드는가, 알고리즘이 취향을 지배하는가 GovTech 확산의 두 가지 엔진-정당성(Legitimacy)과 역능적 행위자성(Empowered Actorhood) 포토에세이 PHOTO ESSAY 중간-이호준 포커스 FOCUS AI 에이전트(Agent)의 도래, 기업과 정부는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AI 시대, K-반도체의 새로운 도전과 지자체의 역…Tue, 13 May 2025 14:20:00 +0900피지컬 AI의 현황과 시사점https://spri.kr/posts/view/23873?code=https://spri.kr/posts/view/23873?code= 본 연구에서는 최근 부상하고 있는 피지컬 AI의 기술적·산업적 확산에 주목하여, 피지컬 AI의 정의와 특성, 유형 그리고 주요 사례 및 관련 이슈를 살펴보고 정책적 시사점을 제언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피지컬 AI는 AI 기반모델(두뇌), 컴퓨터 비전·센서(감각), 엣지 컴퓨팅 및 네트워크 인프라(연결), 제어 및 액추에이터(행동) 등의 첨단기술 융합을 통해 인간처럼 현실 세계를 인식하고, 자율적으로 판단·행동함으로써 환경과 유기적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정의된다. 주요 기술 수준과 형태에 따라 △ 휴머노이드형 △ 자율주행차형 △ 드론형 △ AGV &amp; AMR형으로 분류되어 다양한 산업 환경에 특화된 형태로 활용되며, 산업 전반의 자동화·지능화 수요를 중…Tue, 13 May 2025 13:47:00 +0900국내 기업·대학의 디지털 해외 인재 고용 및 취업 현황 분석https://spri.kr/posts/view/23872?code=https://spri.kr/posts/view/23872?code= 디지털 전환과 AI 기술 발전의 가속화로 발생하는 AI 인력 부족 현상을 완화하기 위해 기업과 디 지털 인재의 목소리를 반영한 실효성 있는 해외 디지털 인력 확보 방안 마련이 요구된다. 본 고에서 는 해외 디지털 인재 고용과 취업에 대한 기업과 대학 대상 설문조사와 해외 디지털 인재 대상 심층 인터뷰를 수행하여 해외 인재 유치 관련 현황 및 애로사항을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기업은 채용할 수 있는 국내 인재가 부족하며 해외 디지털 인재 채용을 원하며, 중 견·중소기업에서 중급 이상의 해외 디지털 인재 수요가 많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기업과 대학은 해외 인재 정보 획득, 의사소통, 비자 취득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 문제 해결을 위한 …Tue, 13 May 2025 13:22:00 +09002025년 5월호https://spri.kr/posts/view/23871?code=https://spri.kr/posts/view/23871?code= 목차 Table of Contents 정책·법제 ▹ 미국 백악관 예산관리국, 연방정부의 AI 활용 및 조달 관련 지침 2종 공개 ▹ EU 집행위원회, EU의 AI 리더십을 위한 AI 대륙 행동계획 발표 ▹ 아프리카 AI 정상회의, AI 아프리카 선언 발표 ▹ 미국 하원 중국특별위원회, 딥시크에 의한 국가안보 위협 제기 ▹ 중국 정부, AI 중심의 디지털 교육 활성화 정책 지침 발표 기업·산업 ▹ 마이크로소프트·오픈AI·AWS 등 주요 기업, 앤스로픽의 MCP 프로토콜 채택 ▹ 구글, AI 에이전트 간 통신 프로토콜 ‘A2A’ 공개 및 MCP 지원 발표 ▹ 메타, 멀티모달 AI 모델…Fri, 09 May 2025 11:19:00 +0900 SW개발자 채용 변화 전망과 생성형 AIhttps://spri.kr/posts/view/23870?code=https://spri.kr/posts/view/23870?code= 요약문 1. 제 목 : SW개발자 채용 변화 전망과 생성형 AI 2. 연구 배경 및 목적 코로나19 이후 채용 수요가 급증하였던 SW개발자 채용은 최근 경기침체와 투자위축, 생성형 AI 확산 등으로 인해 채용 수요, 채용 방식, 채용 시 요구 역량 등 채용 전반에 변화가 초래될 것으로 논의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생성형 AI의 등장에 따른 SW개발 업계의 채용 변화와 전망을 중점적으로 다룬 연구는 부재하며 이에 대한 연구의 공백이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 공백을 해소하고, 생성형 AI 확산과 함께 부각되는 SW개발자 채용 이슈에 대응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SW개발자 채용시장의 동 향과 관련 논의를 분석하고, 생성형 …Wed, 30 Apr 2025 20:07:00 +0900미래형 자동차 산업의 소프트웨어 인력 양성 정책 연구https://spri.kr/posts/view/23869?code=https://spri.kr/posts/view/23869?code= 요약문 1. 제 목 : 미래형 자동차 산업의 소프트웨어 인력양성 정책 연구 2. 연구 목적 및 필요성 최근 글로벌 자동차 산업은 소프트웨어 중심 차량(SDV, Software-Defined Vehicle)으로 빠르게 전 환되며, 차량 성능과 서비스의 경쟁력이 하드웨어가 아닌 소프트웨어 기술에 의해 결정되는 구조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국내 자동차 산업도 기존의 하드웨어 중심 구조에서 ICT 및 소프트웨어 중심 생태계로의 전환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SDV 관련 소프트웨어 인력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며, 기존 인력의 직무 전환과 재교육 체계도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자동 차 기업과 소프트웨어 기업 간 협력 생태계도 충분히 구축되지…Wed, 30 Apr 2025 19:58:00 +0900SW 융합 혁신의 개념과 실제 : 금융 및 헬스케어 산업을 중심으로https://spri.kr/posts/view/23868?code=https://spri.kr/posts/view/23868?code= 요약문 1. 제 목 : SW 융합 혁신의 개념과 실제 - 금융 및 헬스케어 산업을 중심으로 2. 연구 배경 및 목적 정부가 소프트웨어(이하 SW)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SW 중심사회’라는 캐치프레이 즈 하에 범부처 합동으로 《SW 중심사회 실현전략》(2014.7.)을 수립한지 10년이 지났 다. 그동안 정부는 SW중심대학, AI대학원 등의 인재양성 사업을 추진했고, SW진흥법 을 통해 SW산업육성의 법적 근거를 마련하였으며, SW 기본계획을 수립하여 정책의 체 계를 갖추는 등 나름의 성과를 거뒀다. 하지만, 전 산업과 사회로 뻗어나가는 SW의 영향력에 비해 현재의 SW 주요 정책은 여전히 공공 SW제도, SI 이슈 대응 등 국내의 고질적인 SW 현안…Wed, 30 Apr 2025 19:43:00 +09002024년 국내외 인공지능 산업 동향 연구https://spri.kr/posts/view/23867?code=https://spri.kr/posts/view/23867?code= 요약문 1. 제 목 : 2024년 국내외 인공지능 산업 동향 연구 2. 연구 배경 및 목적 ㅇ 생성AI 기술의 부상으로 인공지능 산업 생태계가 빠르게 변화 - 이와함께 AI 안전·신뢰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며 기업들은 자체 지침을 마련하고, 국제기구와 표준기구는 AI 윤리와 기준 정립에 주력 - 생성 AI 등의 기술적 발전으로 인공지능 산업 생태계가 급변하고 있는 가운데, 국내 인공지능 산업 경쟁력 강화와 활용 확산, 글로벌 수준의 인공지능 신뢰성 확보 정책 마련을 위한 국내외 인공지능 산업 동향 파악 및 분석 필요 ㅇ 이 연구는 급변하는 국내외 인공지능 산업 생태계를 분석하여, 국내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인공지능 활용의 확산…Wed, 30 Apr 2025 19:12:00 +09002024년 공공부문 AI 도입현황 연구https://spri.kr/posts/view/23866?code=https://spri.kr/posts/view/23866?code= 요약문 1. 제 목 : 공공부문 AI 도입현황 연구 2. 연구 배경 및 목적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에 따라 공공분야에서도 인공지능 도입 및 활용 범위의 확대가 업무 생산성 및 효율성 개선과 대민서비스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한다. 이러한 기대감 속에 현 정부는 다양한 인공지능 정책 추진을 통해 인공지능 도입과 활용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향후 정책 개선 요인을 도출하는 차원에서 공공부문의 인공지능 도입현황에 대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 것은 필수적인 요소이다. 본 연구는 지난 10년간 조달청의 입찰정보와 계약정보를 활용하여 공공부문 인공지능 도입 현황을 보다 객관적이고 사업 단위까지 세밀하게 조사를 수행한다. 또한…Wed, 30 Apr 2025 19:00:00 +09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