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 Brain
이해수
AI정책연구실
이해수선임연구원
031-739-7333
학력
- 한양대학교 언론학 박사 (2024.2)
활동
-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선임연구원 (2024.6 ~ 현재)
- 한양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강사 (2024.3 ~ 2024.6)
수상
- 박사학위 우수논문상 (한양대학교, 2024.2)
- 학술논문 우수상 (한국언론진흥재단·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18.11)
- 우수논문상 (한국광고홍보학회, 2017.11)
연구
- 이해수·이모란 (2024). 누가 생성형 AI 를 이용하는가?: 인구사회학적 변인, 디지털 리터러시, 디지털 전환 인식을 중심으로. <경영정보학연구>, 26권 3호, 379-396. (KCI등재)
- 사지은·김수연·이해수 (2024). 무엇이 생성형 AI 이용을 지속하게 하는가?. <비즈니스융복합연구>, 9권 6호, 213-221. (KCI등재)
- Yi, M. R., & Lee, H. S. (2023). A study on the regulatory fit effects of influencer types and message types.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Computer Interaction, 1-13. https://doi.org/10.1080/10447318.2023.2232213 (SSCI)
- 주지혁·이해수 (2024). 엔데믹 시대 메타버스의 이용의도에 관한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상대적 이점지각, 적합성지각, 유희성지각 및 가치지각을 중심으로, , 25권 2호, 135-149. (KCI등재)
- 이해수·박만수·한동섭 (2023). 메타버스 게임의 재개념화를 통한 이용과 충족 연구. <미디어 경제와 문화>, 21권 3호, 51-95. (KCI등재)
- 이모란·이해수 (2023). 혁신성향, 즐거움, 몰입이 메타버스 이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광고홍보학보>, 25권 2호, 156-185. (KCI등재)
- 이해수·이모란 (2023). 인플루언서 유형에 따른 소비자 태도와 준사회적 상호작용의 매개 역할. <정보사회와 미디어>, 24권 1호, 55-83. (KCI등재)
- 이해수·이모란 (2023). 메타버스 이용거부자의 혁신저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방송학보>, 37권 2호, 154-190. (KCI우수등재)
- 이모란·이해수 (2023). 메타버스에서의 브랜드 체험이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학보>, 37권 1호, 73-108. (KCI우수등재)
- 이해수·이모란 (2022). 가상 인플루언서 게시물 메시지 유형에 따른 소비자 반응과 신뢰의 매개 역할.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22권 6호, 19-36. (KCI등재)
- 사지은·이해수·한동섭 (2022). 유료 OTT 서비스 이용자의 지속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유튜브 프리미엄 (YouTube Premium) 서비스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36권 5호, 122-155. (KCI우수등재)
- 이해수·박만수·한동섭 (2022). 소비자 개인적 특성에 따른 VR (Virtual Reality) 광고 효과에 대한 연구: 실재감 (Presence) 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미디어 경제와 문화>, 20권 3호, 83-125. (KCI등재)
- 이모란·이해수 (2022). 유튜브 브랜디드 콘텐츠의 커뮤니케이션 효과 연구: 기업 평판과 정보원 유형을 중심으로. <미디어 경제와 문화>, 20권 2호, 7-41. (KCI등재)
- 이해수·이모란 (2021). 지역브랜딩에 대한 수용자 인식 및 효과: 지방자치단체 옥외광고를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보>, 23권 4호, 161-200. (KCI등재)
- 이모란·이해수 (2021). 라이브커머스 이용 속성의 상대적 순위와 채널별 만족도 분석. <미디어 경제와 문화>, 19권 3호, 7-42. (KCI등재)
- 박희봉·이연수·이해수 (2021). 과학적 불확실성과 공영방송, 재난의 공론장: COVID-19 보도에 대한 프레임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35권 1호, 71-114. (KCI우수등재)
- 이모란·이해수·한동섭 (2020). 제품의 부정적 정보에 대한 공중의 커뮤니케이션 반응 행동 연구: 기업 명성과 접촉 매체 유형(포털 사이트, 페이스북)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64권 2호, 7-45. (KCI우수등재)
- 박희봉·이해수·한동섭 (2020). 넷플릭스(Netflix) 의 지각된 서비스 속성이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서비스 융합에 따른 핵심 가치사슬 변인 검증을 중심으로.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37권 1호, 5-46. (KCI등재)
- 이해수·곽은아 (2019). 범퍼애드(Bumper AD) 의 광고 효과에 관한 연구: 맥락 일치/불일치 집단 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보>, 21권 4호, 199-235. (KCI등재)
- 최진호·이해수·진은형 (2019). 4차산업혁명에 관한 뉴스 빅데이터 활용 토픽 분석: 언론사 유형 및 주요시기에 따른 비교를 중심으로.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36권 2호, 173-219. (KCI등재)
- 이해수·곽은아·한동섭 (2019). 빅데이터 기반 AI 리타겟팅 광고 (Retargeting Advertising) 회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광고연구>, 120호, 80-111. (KCI등재)
- 김하늘·이해수·박만수 (2018). 한국 MCN (Multi Channel Network) 기업들에 대한 연구: 자원기반이론과 SWOT 분석을 중심으로: 자원기반이론과 SWOT 분석을 중심으로.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35권 4호, 103-143. (KCI등재)
- 이희준·김지원·이해수·이욱진 (2018). 브랜드 웹툰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실증 연구: 내용 분석을 통한 선행 요인의 고찰: 내용 분석을 통한 선행 요인의 고찰. <한국광고홍보학보>, 20권 1호, 5-57. (KCI등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