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ICT기업 해외진출 방식 비교 및 시사점

  • 김준연산업정책연구실 수석연구원
날짜2016.01.25
조회수10001
글자크기
요약문 상세
    • 한중 ICT기업 해외진출 방식 비교 및 시사점
    • * KISDI(정보통신정책연구원) [기본연구15-05] 연구 참여
    • 1. 연구의 배경과 필요성
    • 중국 ICT산업의 부상과 약진은 이미 익숙한 화두가 되어버렸다. 불과 1~2년 전까지만 해도 낯설었던 샤오미, 화웨이, ZTE, 알리바바, 텐센트 등 중국 ICT기업의 이름은 이미 한국에서도 익숙해져 버렸고, 중국의 영향력 증대는 삼성 어닝쇼크 발발, 한국 ICT 산업의 성장 한계론 대두 등 우리의 위기로 이어지고 있다.
    • 이런 상황에서 발생하는 관심사는 대략 두 가지로 볼 수 있다. 첫째, 중국 ICT기업의 성장 동력 및 글로벌 경쟁력 강화 요인은 무엇인가? 둘째, 중국 기업들은 글로벌 시장에서 우리에게 어떤 위협이 될 것이며, 우리는 이에 대해 어떻게 대응해야하는가? 이 질문에 대답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중 ICT 주요기업 현황, 양국 정부의 해외진출 지원정책 비교, 한중 ICT기업의 해외진출 현황과 방식을 비교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중국 ICT산업의 급부상에 대해 우리가 어떻게 대응해야 할 것인가라는 문제는 시의적절하고 반드시 고민이 필요한 문제이나, 그 메커니즘과 구조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심도깊게 연구가 진행된 바가 없다. 상대방의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 없이는 효과적인 대응도 협력도 구상할 수 없을 것이 자명하며, 따라서 본 연구는 중국 ICT산업의 발전 메커니즘과 그 수단으로서의 해외진출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그리고 우리 메커니즘과의 차이는 무엇인지를 고찰해야 할 필요가 있다.
    • 2. 연구내용
    • 본 연구의 수행을 위해 매출액 규모가 1억 달러 이상, 3년 평균 매출증가율이 각각 30%, 50%, 100% 이상인 고성장기업을 선택하여 이들의 해외진출 방식을 비교하려고 시도하였다. 그러나 이 기준 하에서, 즉 일정 매출규모와 높은 성장률을 보이고 있는 기업 중에서 한국기업은 의미있는 해외진출을 진행하고 있는 기업 자체를 찾기가 어려웠다. 중국은 글로벌 공급사슬로 적극적인 편입을 시도하는 부품업체들, 해외점유율을 급속히 확대해가는 단말기업체들, 왕성한 글로벌 M&A를 통해 글로벌 시장과 선진 기술력을 빠른 속도로 흡수하며 도약하는 인터넷서비스 및 소프트웨어 업체들이 각 분야에서 다양한 방식의 해외진출을 시도하고 있었다.
    • 중국 기업들의 해외진출은 인터넷기업과 부품업체들이 고르게 나타나고 있는 반면, 한국 기업들의 해외진출은 부품업체에 집중되어 있다. 또한, 중국 기업들은 해외상장, 기술투자, 기술자산 구매 등의 형태가 다수 나타나는 반면, 한국 기업들은 해외 생산법인과 판매법인 설립, 수출이 주로 이루어진다.
    • 아직까지 한국 기업들의 M&A 실적은 상당히 저조한 편이다. 상기한 것처럼, 삼성전자의 경우 루프페이 인수 등 새로운 성장동력을 창출할 수 있는 굵직굵직한 글로벌 M&A를 감행하고 있고, 네이버도 고고룩 인수 등을 통해 새로운 영역에서의 성장기회를 만들어가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으나, 기타 기업들의 M&A 실적은 거의 눈에 띄지 않는다. M&A 뿐만이 아니라 해외기업과의 기술투자나 기타 협업 등 전략적 제휴 내역도 중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조하다. 중국은 기술수준이 비교적 낮았던 부품업체들도 글로벌 기업에 대한 기술투자 등을 적극적으로 진행하고 있는 반면, 한국 기업에 대해서는 이에 상당하는 내용을 찾기 쉽지 않았다.
    • 즉, 중국 기업의 해외진출과 글로벌화의 성과는 기술도약과 글로벌 네트워크의 확장이라는 결과로 나타났으며, 한국은 수직적인 제조생태계로부터 배태된 ICT 발전경로의 특징이 해외진출 방식에도 반영되어, 대기업 의존도가 높고, 해외진출을 도약판으로 활용하여 빠른 추격을 달성하는 성장경로는 발견하기가 힘들었다.
    • 3. 연구결과
    • 분석내용을 종합하자면, 중국은 전반적으로 해외진출 방식의 다원화와, 이를 지지하는 과감한 글로벌화 정책에 힘입어 대대적인 글로벌 M&A와 글로벌 R&D를 감행하고, 정부 지원 산업에서의 고속성장을 이끌어내고 있다. 자체 혁신을 이룬 기업들의 경우에도 기술제휴, 글로벌 R&D, 각종 전략적 제휴와 인수합병을 통해 빠른 속도로 혁신 강자로 거듭나고 있는 중이다.
    • [그림 1] 중국기업 해외진출에 대한 기본적인 대응 방향
      중국기업 해외진출에 대한 기본적인 대응 방향
    • 자료: 저자 작성
    • 이에 비해, 우리는 수출, 직접진출 위주의 해외진출을 선호하고, 글로벌 협업구도가 유연하게 갖추어져 있지 못하며, 높은 대기업 의존도로 인해 자체 혁신형 기업이 탄생하기에 유리한 구조는 아니다. 글로벌 시장에서 중국의 빠른 약진과 글로벌 네트워크 확대를 통한 영향력 강화에 대응할 수 있는 방안 구축은 매우 시급한 과제임이 분명하다. 현재 시점에서, 한국이 중국보다 활용할 수 있는 기회의 창은 협소하고, 한국이 제도적으로 창출할 수 있는 기회의 창 또한 적다. 변화하는 ICT 패러다
    • 임에 부합하는 적극적이고 발빠른 혁신을 이루고, 적합한 방식의 해외진출을 독려하여 글로벌 시장에서의 지위를 공고히 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지속적으로 제고할 수 있는 전략과 제도의 수립과 실행이 중국의 글로벌 부상에 대응하기 위해 우리가 선택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이고 현실적인 방법일 것이다. 이런 결론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해외진출의 개념에 대한 접근방식을 바꾸어 해외진출을 빠르게 발전하는 신흥업종의 도약판으로 활용하여 혁신을 추진하고, 수출이나 해외매출액 중심의 해외진출 중심에서 기업의 독립성과 질적 도약을 담보할 수 있는 다원화된 방식의 해외진출 방식 독려, 이를 위한 기존 해외진출 지원 정책의 개선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고, 이에 대한 정책방안을 제시하였다.
목차 상세
    • 제 1 장 서 론
    • 제 2 장 글로벌 ICT 환경변화와 중국 기업의 약진
    • 제 3 장 한중 ICT기업 해외진출 현황
    • 제 4 장 한중 ICT기업의 해외진출 사례분석
    • 제 5 장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