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과 미래 일자리 (2016. 6.28 | 24회)
  • 이동현SW기반정책·인재연구실 선임연구원
날짜2016.06.28
조회수10609
글자크기
  • 포럼 목적
    •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수많은 기존 일자리가 사라질 것이라는 우려와 새로운 일자리에 대한 기대 공존
    • 세계경제포럼에 따르면 4차산업혁명에 의해 향후 5년 내에 700만개의 일자리가 소멸할 전망
    • 하지만 인공지능 등 지능정보기술에 의해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가 등장하고 신산업이 태동하면서 이전에는 상상하지 못했던 새로운 일자리가 등장할 것이라는 주장도 제기
    • 따라서 4차 산업혁명에 의해 사라지는 직업과 새롭게 만들어 지는 직업을 파악하고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의를 위해 포럼 개최
  • 기술진보에 따른 노동시장 변화와 대응 (노동연구원 김세움 부연구위원)
    • 한국의 일자리 구조는 미국 등에 비해 기술진보에 취약
    • 선진국에 비해 기술에 의한 대체가 용이한 영업 및 판매직 종사자는 많은 반면, 교육, 법률, 의료분야의 고숙련 전문서비스 종사자는 부족
    • 대학의 전공별 정원을 결정하는 경우에도 전공자가 갖는 직업이 기술에 의해 대체될 가능성을 고려할 필요
  • 미래 일자리와 유망 신산업 그리고 대응방안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이동현 선임연구원)
    • 미래 유망분야에서 단기간에 대규모의 고부가 일자리가 창출될 전망
    • 자율주행차, 가상현실, 3D 프린팅 등의 분야에서 소프트웨어 전문가 등 고부가 전문 직업이 대거 등장
    • 분야별 글로벌 패권을 갖는 국가에서 가장 큰 일자리 창출 효과 발생
    • 신산업에 필요한 인재를 양성하는 체제를 마련하고 지능정보기술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국가차원의 노력이 필요
  • 직업 세계의 변화와 창직의 필요성 (한국창직협회 이정원 회장)
    • 새로운 직업을 주체적으로 만들어 내는 창직(創職)의 시대가 도래
    • 어떤 일자리가 사라질지 모르는 불확실한 상황에서 이미 존재하는 직업을 가지려는 계획은 무의미
    • 미래에 필요한 산업과 직업을 선제적으로 제시하고 충분한 규모로 육성하는 창직 활동이 필요
    • 패널 토론 (한국고용정보원 김중진 직업연구팀 팀장)
    • 인공지능 분야 등 파급력이 높은 일자리를 우선 만들어야 할 필요
    • 100명의 인공지능전문가가 인공지능기술을 고도화하면 이를 활용하는 다양한 산업에서 수만 개의 새로운 일자리가 만들어 질 수 있음
  • 프로그램
    • 프로그램
      제목 발표자 시간
      기술진보에 따른 노동시장 변화와 대응 김세움 (한국노동연구원 부연구위원) 20분
      미래일자리와 유망산업 그리고 대응방안 이동현(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선임연구원) 20분
      직업세계의 미래와 창직의 필요성 이정원(한국창직협회 회장) 20분
      Q&A 및 패널토론
      (패널: 고용정보원 김중진 팀장 및 발표자)
      40분
    • 관련뉴스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는 “AI 오용 사례가 급증하고 있으며 생성 AI 등장 등으로 AI 윤리에 대한 관심도... 때문에 정책 입안자와 업계 전문가가 일자리 감소, 개인정보보호, 보안 등 우려를 해결해 대중 신뢰와...

      경제적인 측면에서 AI는 일자리 수요가 많으며, 한국은 AI 분야의 고용 성장이 세계 11번째 수준, 근로자의... <끝> ◈저자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SPRi) AI정책연구실 ▲ 안성원 실장 ▲ 임영모 책임연구원 ▲ 유재흥...

      삼성전자는 인재 전쟁 중… '귀한 몸' SW 개발자, 어떻게 키우나

      SSAFY는 지난 2018년 삼성전자가 발표한 '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 방안'의 일환으로, SW 직무를 희망하는... 절실해졌다.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SPRi)는 지난해 7월 발표한 '2021년 SW산업실태조사보고서'에서 향후 5년...

      7800명이 일자리를 잃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AI로 인한 일자리 대체 가능성이 현실화된 가운데, 관련...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가 발간한 '기업 성과를 높이는 인공지능'에 따르면 AI를 도입한 기업이 그렇지 않은...

      실제로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에 따르면 2020년 글로벌 실감형 콘텐츠 시장은 2016년 대비 300% 이상... 인천대학교는 고용노동부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 거점형 프로그램' 사업에 선정돼, 재학생 및 졸업생 뿐 아니라 지역...

      김형철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소장 등이 참여했다. 2. 이날 김진형 전 인공진흥연구원 원장은 주제발표를... 이런 기술이 일상화되면 내 일자리는 어떻게 될까? 글 쓰고 그림 그리고, 기획 문서를 만드는 작업이...

      생성형 인공지능(AI), 노동시장에도 긍정적 영향 끼칠까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는 Chat(챗) GPT와 같은 대규모언어모델(Large Language Model, LLM)이 광범위한 산업에서 활용될 것으로 전망함에 따라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주목했다. 우선, LLM이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을...

      국내 일자리 변화 분석 등의 후속 연구가 필요함을 제안​ 1. 들어가며 ▢ ChatGPT 확산으로... 날짜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SPRi)가 발간한 [AI Brief 특집호](2023.4.6.)에 실린 것으로 연구소의 동의를 얻어...

      23만 코딩 수강생은 다 어디로 갔나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산하 연구기관인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자료를 보면 2020~2021년 현직 소프트웨어... 가장 큰 문제는 코딩 교육을 받은 이들이 결국 마주할 일자리의 질이다. 2월6일 서울 합정동 한 카페에서...

      23만 코딩 수강생은 어디로 갔나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산하 연구기관인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자료를 보면 2020~2021년 현직 소프트웨어... 가장 큰 문제는 코딩 교육을 받은 이들이 결국 마주할 일자리의 질이다. 2월6일 서울 합정동 한 카페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