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리포트] 유동적인 요구사항에 대응하는 공공SW 계약제도 개선방안 - 애자일 방법론 수용을 중심으로 -
날짜2019.01.22
조회수1749
글자크기

■ 발간예정일 : 2019년 2월 1일


■ 목 차

  1. 1. 연구 배경
  2. 2. 애자일은 왜 필요한가?
  3. 3. 기존 제도의 한계 및 해외 사례
  4. 4. 시사점개선 방안
  5. 참고 문헌

■ 요 약

  불확실성이 점점 증가하고 있는 현대 공공SW 사업 환경에서 요구사항 변경에 기민하게 대응하고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애자일 도입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현재의 획일화된 확정 계약 관행 속에서는 계약 체결 전부터 기능을 구체화하고 범위를 확정하는 데 많은 시간을 투자해야 하며, 변경 수용이 어렵다. 관련하여, 미국에서는 조달청 차원에서, 영국에서는 내각부에서 조달 가이드라인을 발표하고 애자일 방식의 SW조달을 변동 계약의 형태로 권고하고 있으나, 국내는 애자일 관련 조달 제도 및 가이드라인을 찾아볼 수 없었다. 특히, 국내에서는 시간 자재 계약과 같은 애자일에 적합한 변동계약 유형 자체가 존재하지 않고, 관련 SW전문가 확보도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이 보고서에서는 애자일의 특성을 파악하고 주요국 사례를 참고하여 애자일을 수용하기 위한 법제도 및 인력 확보 측면의 개선 방안을 도출하였다.

  In the contemporary software business environment in public sector, where uncertainty is increasing, it is necessary to consider agile introduction in order to respond promptly to changes in requirements and improve performance. However, in the current standardized fixed price contract practice, it is necessary to invest a lot of time in specifying the requirements and determining the scope from the beginning, and it is difficult to accommodate changes. In relation to this, in the US, agile procurement guidelines were issued by GSA, and in the United Kingdom, agile procurement guidelines were issued by the Cabinet Office. In these countries agile-style software procurement was recommended in the form of floating contracts. However, in Korea, no related system or guidelines could be found. Especially, in Korea, there is no flexible contract type suitable for agile such as time & material contract, and it is difficult to secure related software experts. Therefore, in this report, the characteristics of agile and the cases of major countries are reviewed, and improvement plans for the legal system and manpower securing method to accommodate agile are deri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