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S-097

코로나19 불안지수:감성분석과 의미

날짜2020.06.11
조회수13728
글자크기
요약문 상세
    • 코로나19의 사회·경제적 파급효과가 기존의 외부 충격보다 매우 커서, 이에 따른 불확실성이 장기 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IMF는 코로나19의 불확실성을 에볼라 바이러스의 20배 수준으로 분석하 였다. 불확실성 증대와 함께, 개인의 불안 심리 관리가 매우 중요한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코로나19 확 산이 지속되면서 심리적 피로도가 깊어지고, 확진자수의 증가와 함께 불안감도 가중되기 때문이다. 이 에 본고에서는 코로나19로 인해 개인이 느끼는 감성을 분석하고, 불안 지수를 측정하여 시사점을 도출 하였다.
    • 감성분석 결과, 세계적으로 코로나19 언급량이 급속히 증가 후, 점차 완만해 지는 추세이며 남성의 언급량이 여성보다 약간 상회하고 있다. 코로나19는 정치, 가족 관련 이슈와 연계되어 언급되었고, 문 화, 경영, 교육 직군들의 언급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노의 감정은 3월에 집중적으로 나타났으며 안전, 경제적 위기, 수업중단, 부실한 정책 대응 등과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두려움의 감정 도 3월 중순에 가장 높게 나타났는데, 주로 코로나19 테스트 결과와 연관되어 있었다. 슬픔의 감정은 3 월 초 사망자의 증가와 함께 급증했으며, 분노, 두려움의 감정 대비 언급량이 많고 감소폭이 상대적으 로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혐오의 감정은 다른 감정 대비 조기에 발생하였고, 급증 이후 감소하다 최 근 다시 증가 추세이다. 즐거움도 3월 초부터 급증하다 감소하였으며, 나눔과 대체 경험 등이 연관되어 있었다.
    • 또한, 코로나19 언급량, 부정 및 긍정 인식 자료를 기반으로 코로나19 불안지수를 개발하고 측정하 였다. 코로나19 불안지수를 코로나19로 인해 느끼는 분노, 두려움, 슬픔 등 부정적인 인식을 계량화한 지수로 정의하였으며, 코로나19 관련 언급량을 일(Day)별로 구분하고, 일별 총 언급량 중 긍정 및 부정 언급을 세분화하였다. 측정 결과, 코로나19 불안지수는 3월 중순 최고치를 기록한 후 점차 감소하다 최 근 소폭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먼저, 코로나19로 인한 감정변화에 시차·강도의 차이가 존재한다는 점에 주 목할 필요가 있다. 초기 혐오에서 슬픔, 두려움, 불안, 즐거움이 복합적으로 전개되는 양상이며, 슬픔이 타 감정 대비 상대적으로 비중이 높고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있었다. 둘째, 코로나19 불안지수가 급등 후 감소하고 있는 점은 긍정적이나, 다시 증가할 가능성에 대한 경계는 필요하다. 일별 언급량이 많고, 그 중 긍정 언급 비중이 높은 상황이 가장 바람직하나, 최근 일별 부정 언급량의 비중이 다시 높아지고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셋째, 코로나19 불안지수 감소를 위한 정부와 기업의 다양한 노력이 요구 되는 시점이다. 정부는 코로나19 스트레스 위험 군 지원, 문화·예술 대체 경험 확대 등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고 XR(ExtendedReality) 등 신기술을 적극활용 할 필요가 있다. 기업은 확진, 격리 경험 직원의 정신건강 관리를 강화하고, 일반 직원 심리관리 체계도 별도로 운영 등 코로나19 정신건강 관리(Mental Health Management)를 강화해야 한다. 넷째, 코로나19 장기화에 대비하여 불안지수를 지속 측정하고 관측해야 한다. 코로나19 불안지수는 국가, 지역별로 상이하게 나타날 것으로 예측되는바, 향후 지수 를 세분화하고 고도화하는 방안도 검토될 필요가 있다.
  • Executive Summary
    • The socio-economic effect of COVID-19 is much larger than the existing external shock, and uncertainty is expected to persist for a long time. The IMF analyzed the uncertainty of COVID-19 at 20 times the level of the Ebola virus. Along with the increase in unfaithfulness, individual anxiety and psychological management are emerging as very important factors. This is because as the spread of COVID-19 continues, psychological fatigue deepens, and anxiety increases as the number of confirmed patients increases. Therefore, this paper analyzed the emotions felt by individuals due to COVID-19 and measured the anxiety index to draw implications
    • As a result of sentiment analysis, the amount of COVID-19 mentioned in the world increases rapidly and then gradually becomes slower, and the amount of men mentioned is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women. COVID-19 was mentioned in connection with issues related to politics and family, and the citations of cultural, management, and education occupations were high. The feelings of anger appeared intensively in March, and were analyzed to be related to safety, economic crisis, interruption of class, and poor policy responses. Fear emotions were also highest in mid-March, mostly related to COVID-19 test results. The feeling of sadness surged with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deaths in early March, and it was analyzed that the amount of mention was high and the decrease was relatively low compared to the feeling of anger and fear. The feelings of hate occurred earlier than other feelings, and after a sharp increase, it has recently increased again. Pleasure also increased and decreased from the beginning of March, and sharing and alternative experiences were related.
    • In addition, COVID-19 anxiety index was developed and measured based on the amount of COVID-19 mention, negative and positive recognition data. The COVID-19 anxiety index was defined as an index that quantified negative perceptions such as anger, fear, and sadness caused by COVID-19 Subdivided. As a result of the measurement, the COVID-19 anxiety index declined gradually after peaking in mid-March, and it was analyzed that it increased recently.
    •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it is worth noting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parallax/intensity in emotional changes caused by COVID-19. From the initial disgust, sadness, fear, anxiety, and joy are a complex development, and sadness has a relatively high weight compared to other emotions and has been maintained continuously. Second, it is positive that the COVID-19 anxiety index has declined after a surge, but it is necessary to be wary of the possibility of an increase again. It is most desirable to have a large amount of daily mentions and a high percentage of positive mentions, but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roportion of negative mentions has increased again in recent years. Third, it is time for various efforts of the government and companies to reduce the COVID-19 anxiety index. The government needs to explore various options, such as supporting the COVID-19 stress-risk military and expanding the experience of cultural and artistic substitution, and actively utilize new technologies such as XR(Extended Reality). Companies should strengthen the mental health management of employees with confirmed and quarantined experiences, and strengthen the COVID-19 Mental Health Management by operating a separate employee psychological management system. Fourth, anxiety index should be continuously measured and observed in preparation for long-term corona. COVID-19 anxiety index is predicted to vary by country and region, so it is necessary to consider measures to further refine and refine the index in the future.
목차 상세
    • 1. 장기·상시화 되는 코로나19
    • 2. 코로나19 감성 분석 및 불안지수 측정
    • 3. 시사점
    • 참고문헌
  • CONTENT
    • 1. Growing COVID-19 Uncertainty
    • 2. COVID-19 Sentiment Analysis and Patterns
    • (1) Discussion on the use of AI·Big Data in statistics
    • 3. Implication
    • Refer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