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글은 동국대학교 박진호 교수님의 기고를 받아 작성되었습니다.
Gov Tech와 공공 생태계 혁신을 이끌기 위한 ‘성장 사다리 사업’을 통해 많은 기업이 큰 힘을 얻고 있지만, 이제 이 사업의 지원을 받는 스타트업 및 중소기업이 낮은 성공률을 기록하는 경우를 주목해야 한다. 그 속에서 가장 큰 문제로 분석되는 마케팅 역량과 자금조달의 어려움이 바로 우리가 해결해야 할 첫 번째 과제인 셈이다.
미숙한 마케팅 전략의 경우 자체 역량 강화로 해결하길 기다리기보다 전문회사의 조력을 받아 성장 타이밍을 놓치지 않도록 하는 게 더욱 중요하다. 과거 성과가 좋았던 모 자산개발 사업의 예를 들면 개발사와 중소기업, 유통 및 마케팅 전문회사 등 3자를 하나로 연결한 것이 주효했는데, 마케팅 전문회사의 전폭적인 지원이 수시로 변하는 해외 시장에 더욱 발 빠르게 대응할 힘을 갖게 했기 때문이었다. 만일 멘토링의 관점에만 갇혀 마케팅 역량이 스스로 성장하기만을 마냥 기다렸다면, 그와 같은 큰 성공은 이룰 수 없었을 것이다.
이처럼 마케팅 전문회사 연계가 해외 영업 활성화 및 사업 성공에 큰 발판이 될 수 있었던 까닭은 훈련을 통해 배우는 것보다 직접 실무를 보고 배우며 얻게 되는 것이 월등히 우수하고, 아울러 운영 중인 사업에 즉각 반영해 시시각각 결과를 알 수 있었기 때문이다.
또 기술 아이디어 제출만으로 개발, 마케팅, 자금 지원이 원스톱으로 지원될 수 있도록 아이디어 게시판 서비스를 운영하여, 사업 초기 다양한 영역에서 애로를 겪고 있는 스타트업과 중소기업 오너 및 임직원의 갈증을 해소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앞서든 사례와 같이 과거 성공한 사업들의 노하우를 신규 아이템에 알맞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전담 지원센터 설립 및 운영도 적극적으로 제안한다. 전담 지원센터 운영으로 협회와 민간의 다양한 의견 수렴을 통해 개선점을 모색하는 것도 요구된다.
스타트업 및 중소기업은 공공사업 참여를 준비할 때 사업 레퍼런스가 적거나 거의 없어 진입장벽이 높음을 자주 경험한다. 사업체가 보유한 업력만 볼 것이 아니라 사업 책임자와 참여 인력에 대한 평가를 더 넓게 보는 등 스타트업과 중소기업이 더 적극적으로 공공사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별도의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PMO(Project Management Office) 자격도 국가공인자격의 영역으로 가져오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같은 민간자격증을 공공 자격증으로 만드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따라서 PMO 관련 협회를 구성해 협회 차원에서 국가공인자격으로 추진하는 노력을 기울여주길 기대한다.
PMO, QMO(Quality Management Office), TMO(Transformation Management Office) 등 각 자격의 육성 구조는 대략 잡혀있지만, 아직 크게 활성화되어 있거나 전문화되어 있지는 않은 상황이다. 특히 감리와 PMO의 경우 운영 방식을 다르게 봐야 하며, IT산업의 규모가 급속도로 확장되면서 프로젝트 개발 범위가 넓어지고 기술 심화도가 강해지고 있기 때문에 더욱 체계적인 내용을 가질 수 있도록 두루 정비가 필요하다.
안정적이고 성공적인 프로젝트 구축을 위해 PMO의 역할이 점차 필수적이고 의무적으로 부각되고 있다. 반면 PMO 예산 반영을 위한 법제화는 크게 부족한 상황인데, 기재부에서 PMO 예산 반영에 대한 관련 근거 항목을 만들어 빠른 개선이 이루어지길 기대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