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122

SW시장평가 체계 구축 연구

날짜2022.05.24
조회수8168
글자크기
요약문 상세
    • 1. 제 목 : SW시장평가체계 연구
    • 2. 연구 배경 및 목적
    • 지난 2020년 12월 전부개정되어 공표된 SW진흥법의 후속조치로 산⋅학⋅연관이 참여하는 ‘SW시장평가위원회’를 설치하도록 했다. 해당 위원회가 공공SW시장 뿐 아니라 전체 SW 시장 성장효과, 중소기업 성장효과, 상생협력 수준을 모니터링 하여 시장을 평가하도록 명시한 바에 따라 전체SW시장을 포함하여 지표를 정의하고 측정할 필요가 있다.
    • 3. 연구의 범위 및 구성
    • SW시장평가위원회가 시작되게 된 배경을 1장에서 다루고 2장에서 시장구조 현황과 변화에 관련된 기존 연구를 개관하면서 증거기반정책의 관점에서 연구문제를 도출한다. 3장에서 시장 집중도, 생산성 지표, 역동성 지표를 제시하고 실제 수치의 추이를 계산하여 함의를 도출한다. 이와 함께 상용 SW품목별로 경쟁력을 측정한 결과를 공개한다. 4장에서 상기한 지표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수집, 적재, 처리, 분석, 보고할 수 있는 평가체계를 제시함으로서 마무리한다.
    • 4. 연구 내용 및 결과
    • 산업수준의 SW시장 집중도는 관찰 기간 동안 점차 낮아지고 있다. 공공SW시장 집중도를 살펴보았을 때에는 2008년에 집중도가 다소 높은 시장이었으나, 2017년까지 집중도가 지속 개선되어 SW산업평균의 수준으로 떨어졌다가 2020년 이후 다시 소폭 상승하는 추세다. 공공SW시장평가에 직접 활용할 첫 번째 지표인 공공SW사업의 점유율은 중견․중소기업의 2021.1분기~3분기까지 수주실적 만으로 2020년 연간 실적 이상을 달성하였다. 대기업의 경우 2018년과 2020년의 점유율이 평년보다 높았다. 공공SW시장의 입찰경쟁률을 지표를 정의하고 측정한 결과, 2018년 이후 입찰경쟁강도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공공SW사업 입찰에 참가하는 총 기업수는 많아졌으나, 공공SW사업 발주(입찰공고) 건수가 더 빨리 증가하여 입찰경쟁률이 낮아지고 있는 것이다. 2013년 대기업참여제한제도 시행 이후 중소SW기업이 공공시장 대거 진입하여 과당경쟁의 일어났다는 과거의 비판에도 불구하고, 2018년~2021년도의 입찰경쟁률은 유효경쟁 수준으로 수렴해가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 생산성 중 노동생산성을 나타내는 평균 인당매출액의 추이를 분석한 결과 중견기업이 중소기업이나 상출제대기업보다 평균 인당매출액이 높은 편임을 알 수 있다. 또한, 관찰 기간동안 평균 인당매출액은 소폭 증가추이를 보이고 있다. 생산성 중 자본집약도 측면에서는 상용SW분야의 생산성 증가세가 더 높으며, 대기업을 중심으로 한 자본집약도의 증가가 상용SW분야의 생산성 증가를 견인한 것으로 보인다.
    • 다음으로 역동성 지표를 분석한 결과, SW산업 전체수준에서 작은 기업이 큰 기업으로 성장하는 규모이동성 수준은 장기적으로 하락하고 있었다. 이러한 하락 추세가운데 공공시장에서 만큼은 기업의 규모성장이 더 일어난 것으로 보인다. 공공SW시장에서 2013년 도입된 대기업참여제한제도의 혜택으로 중소기업이 성장한 결과로 추정되는 부분이다. 이는 공공매출이 인적자본을 확충하여 민간매출을 견인한다는 2장의 선행연구를 뒷받침하는 결과이기도 하다.
    • 상기한 지표의 분석 단위가 기업이었다면, SW품목경쟁력 지표는 분석단위가 SW제품⋅솔루션이다. 품목시장의 성장성과 공급경쟁력을 기준으로 측정한 결과, 대부분의 국내SW품목은 BCG매트릭스 상 왼쪽 아래에 위치하는 낮은 경쟁력을 보여주고 있었다. 그러나 글로벌 기준의 절대적인 경쟁력이 낮더라도, 국내기준 상대적인 순위가 높은 품목을 발굴하여 지원하고자 하는 정책의도를 지원하기 위해 상대적인 지표체계를 도입하여 글로벌성장형, 내수 확대형, 산업SW형으로 정의되는 전략SW품목을 추천하였다.
    • 마지막으로 SW시장평가위원회에 상정할 SW시장평가자료의 지속적인 생산을 위해 담당 부처의 거버넌스 하에서 증거포트폴리오를 생산→관리→분석→공표→환류하는 체계를 제시했다.
    • 5. 정책적 활용 내용
    • 이 연구에서 선정되어 측정된 지표 중 공공SW시장지표는 지난 2021년 12월에 과기정통부 주최로 개최된 제1회 SW시장평가위원회에 상정되어 시장환경을 판단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되었다. 이후 주기적으로 개최되는 SW시장평가위원회에서도 금번 연구에서 확립한 시장평가체계가 지속적으로 활용, 고도화될 예정이다.
    • 6. 기대효과
    • 이 연구는 증거기반정책의 관점에서 증거의 양과 질을 충분하게 확보했다. 특정 지표만을 가지고 편중된 시각으로 정책판단하지 않도록 공정거래의 관점, 국내시장과 글로벌 시장과의 경쟁을 고려한 등 다양한 지표를 함께 제시했다. 다음으로 정책판단 시점과 통계 간 시점 불일치를 최대한 극복했다. 이에 따르면 기존 1~2년에 달하는 공공SW시장 분석의 시차를 1분기(3개월) 로 단축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공공데이터와 민간데이터를 연계하여 분석하고 공공부문-민간부문 간 상호작용적인 정책효과를 산출할 수 있다는 기반을 확보하였다.
    • 1. Title : A Study on Korea Software Market Evaluation
  • SUMMARY
    • 2. Purpose and Necessity of the Research
    • In December 2020, the Software Promotion Act was amended. As a follow-up measure to this, the ‘Software Market Evaluation Committee’ in which industry, academia, and related organizations participate was established. As the committee specified to evaluate the market by monitoring not only the public sector, but also the overall SW industry growth effect, the growth effect of SMEs, and the level of win-win cooperation, it is necessary to define and measure indicators including the entire SW market.
    • In December 2020, the Software Promotion Act was amended. As a follow-up measure to this, the ‘Software Market Evaluation Committee’ in which industry, academia, and related organizations participate was established. As the committee specified to evaluate the market by monitoring not only the public sector, but also the overall SW industry growth effect, the growth effect of SMEs, and the level of win-win cooperation, it is necessary to define and measure indicators including the entire SW market.
    • 3. Composition and Range
    • Chapter 1 deals with the background that l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SW Market Evaluation Committee, and Chapter 2 outlines existing studies related to the status and change of the market structure and draws research ques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evidence-based policy. In Chapter 3, market concentration, productivity indicators, and dynamics indicators are presented, and implications are derived by calculating the actual trends. In addition, the results of measuring competitiveness for each commercial software item are disclosed. Chapter 4 concludes by presenting an evaluation system that can continuously collect, load, process, analyze, and report the above-mentioned indicator data.
    • 4. Main Contents and Results
    • The concentration of the software market at the industrial level is gradually decreasing during the observation period. When looking at the concentration ratio of the public software sector, it was a rather high market in 2008, but the ratio continued to improve until 2017, and it fell to the level of the average software industry, but it is rising again after 2020. The share of public small-sized software firms achieved more than the annual performance of 2020 during the only three quarters of 2021. In the case of large companies, the market share in 2018 and 2020 was higher than in the normal year. As a result of defining and measuring the index of the bidding competition rate in the public software sector, the intensity of bidding competition has been continuously decreasing since 2018. Although the total number of companies participating in public SW project bidding has increased, the number of public SW project orders (bid announcements) has increased faster, resulting in lower bidding competition.
    • Analyzing the trend of average per capita sales representing labor productivity among productivity, it can be seen that mid-sized enterprises have a higher average per capita sales than SMEs or large-scale enterprises. Also, during the observation period, the average per capita sales showed a slight increase. In terms of capital intensity among productivity, the productivity growth in the commercial software sector is higher, and the increase in capital intensity centered on large enterprises seems to have driven the productivity growth in the commercial software sector.
    •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dynamics index, the level of scale mobility, at which a small company grows into a large company, at the overall SW industry level was declining in the long term. During this downward trend, it seems that the size of the company has grown more in the public sector. This is presumed to be the result of the growth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in the public software market with the benefit of the large enterprise participation restriction system introduced in 2013. This is also the result of supporting the previous study in Chapter 2 that public sector revenue might lead to private sector revenue.
    • If the analysis unit of the above-mentioned index was a company, the analysis unit of the software competitiveness index is software product and solution.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growth and supply competitiveness of the product market, most of the domestic software products showed low competitiveness in the lower-left corner of the BCG matrix. However, even if the absolute competitiveness of the global standard is low, a relative index system was introduced to support the policy intention to discover and support items with a relatively high ranking in the domestic standard. Ac cordingly, strategic software products were derived as global growth type, domestic expansion type, and industrial software type.
    • Finally, for the continuous production of SW market evaluation data to be submitted to the SW Market Evaluation Committee, a system for producing, managing, analyzing, and publishing the evidence portfolio was presented.
    • 5. Policy use
    • Among the indicators selected and measured in this study, public SW market indicators were presented at the 1st SW Market Evaluation Committee hosted by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in December 2021 and used as basic data to judge the market environment. The SW Market Evaluation Committee, which is held periodically thereafter, will continue to utilize and advance the market evaluation system established in this study.
    • 6. Research Implication and Expected Effects
    • This study has sufficiently secured the quantity and quality of evidence from the point of view of evidence-based policy. In order not to judge policies from a biased perspective based on only specific indicators, various indicators were presented together, such as the viewpoint of fair trade and the consideration of competition in the domestic and global markets. Next, the discrepancy between the timing of policy decisions and statistics was overcome as much as possible. According to this, the time lag of public SW market analysis, which was previously one to two years, can be shortened to one quarter (3 months). Finally, a foundation was secured to link public and private data for analysis and to calculate interactive policy effects between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목차 상세
    • 제1장 서론
    •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구성
    • 제2장 연구의 틀
    • 제1절 기존 연구의 개관
    • 제2절 연구문제
    • 제3절 데이터
    • 제3장 SW 시장 주요 지표
    • 제1절 SW시장의 집중도
    • 제2절 SW산업의 생산성
    • 제3절 SW산업의 역동성
    • 제4절 SW품목 경쟁력
    • 제4장 지속적인 SW시장평가 체계 수립 방안
    • 제1절 국내 증거기반 정책의 한계와 이슈
    • 제2절 SW시장평가체계 수립
    • 제5장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