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설관리 산업 : 스마트 빌딩에서 스마트 시티까지

날짜2014.12.20
조회수32166
글자크기
  • 가. 시설관리 산업의 지능화
    • 시설관리 산업의 변화
    • 최근 빌딩, 도시 인프라 등의 시설 관리 산업은 ICT 기술과 융합을 통해 스마트 산업으로 전환이 가속화
    • - 기존 시설관리 산업은 인력 중심의 산업이었으나 최근 센서, 네트워크, 컨트롤러, 소프트웨어 등 기술의 발전으로 자동화, 지능화가 가속화
    • - 이와 더불어 전력 소비의 급증에 따른 전력난이 이슈화되고 세계적으로 그린(Green) 트렌드가 확산되면서 빌딩 내 설비의 효율적인 에너지 관리가 가능한 스마트 빌딩에 대한 수요가 빠르게 확산
    • - 한편, 국가 차원에서는 주택 및 빌딩뿐만이 아니라 도시 전체 시설물 및 인프라의 커넥티드 환 경 조성 및 지능화를 추진
    • - 각국 정부의 스마트 시티 정책 추진으로 도시의 안전성, 시민 편의성, 에너지/자원 효율성 등이 제고될 것으로 기대
    • 빌딩 관리의 지능화
    • 빌딩 관리 시장은 인력 중심에서 공조설비(HVAC 1))와 센서/네트워크 기술과 결합되면서 자동화 시 대로 전환, 최근에는 데이터 처리/분석 기술의 발전으로 상호작용이 가능한 지능화 시대가 도래
    • - 초기에는 인력이 직접 설비의 운전 및 유지보수를 관리하였으나, 빌딩 내 네트워크 인프라가 구 축되면서 각종 설비들을 종합 관리할 수 있는 BAS(Building Automation System 2) ) 도입이 확대
    • - 이후, 관리 기능을 강화한 BAS의 상위 솔루션 BMS(Building Management System 3)) 활용 이 증가, 빌딩 내 기계/설비가 생성한 데이터 피드백을 통해 중앙 집중식의 효율적인 관리가 가 능한 것이 특징
    • - BA(Building Automation) 외 OA(Office Automation), TC(Telecommunication)의 통합 관 리를 통해 첨단 작업환경 및 정보/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텔리전트/스마트 빌딩으로 진화하 고 있으며 최근에는에너지 관리를 위한 BEMS 4)가 포함
    • 공조설비(HVAC) 구조도
    • 빌딩 발전 과정
    • 도시 관리의 지능화
    • 인구와 경제활동이 도시에 집중되면서 환경 및 안전 측면에서 많은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으며 각 국 중앙정부 및 지자체들은 이러한 문제 해결의 수단으로 ICT 기술 융합 기반의 스마트 시티 구축 노력을 강화
    • - 2014년 전 세계 도시화율은 54%로, 도시화의 속도는 더욱 빠르게 진전되어 2050년에는 전 세 계 인구의 약 66%가 도시에서 살게 될 전망
    • - 특히, 선진국이 많은 유럽과 북미 지역의 도시화율은 각각 73.4%, 81.5%에 달해 인구의 도시 집중으로 인한 부작용이 심각한 상황
    • - 한편, 자원의 제약으로 도시 인구 증가에 따른 인프라 확장이 제한되어, 기존 인프라에 ICT 기 술을 접목해 효율을 극대화하는 방안이 대안으로 주목
    • - 국가별 스마트 시티 전략 추진 목적은 다양하나 비용 절감, 이산화탄소 배출 감소 및 에너지 소 비 절감,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 대중교통 고도화, 공공 안전 보장, 대국민 정부 서비스 고도화 등이 대표적인 목표
    • 세계 농촌-도시 인구 전망
    • 주택, 빌딩 등의 지능화와 사물 인터넷 등의 센서 ·네트워크 기술의 발전으로 스마트 시티 구현 가 능성 제고
    • - 각 주택 및 빌딩의 지능화로 도시 내 건물들의 데이터 수집 ·분석 기반이 마련
    • - 네트워크 및 사물인터넷 기술의 발전으로 도시의 모든 시설물들 간 네트워크가 연결되는 커넥 티드 시티 구현이 가능해져 스마트 시티 구현의 바탕이 될 전망
  • 나. 스마트 빌딩
    • 스마트 빌딩의 정의
    • 스마트 빌딩이란 고도의 정보통신기능과 더불어 편리성/안전성/친환경성을 최적화하는 자동제어 시스템을 갖춘 첨단 정보 빌딩을 의미
    • - 지능형 빌딩 시스템(IBS)으로도 불리며, 초기에는 오피스 자동화(OA), 빌딩 자동화(BA), 통신 (TC)과 건축 등의 기능이 융합된 빌딩을 의미했으나, 최근에는 이러한 기능들을 기반으로 경제 성, 효율성, 기능성, 안전성을 추구하는 빌딩으로 정의됨
    • - IBM : 스마트 빌딩, 각종 스마트센서와 컨트롤 시스템을 기반으로 에너지, 조명, 방재, 24/7 13) 모니터링, 수자원 관리, HVAC, 엘리베이터, 출입통제/보안 등 기능 제공/관리를 지원
    • 스마트 빌딩 구조도
    • 글로벌 스마트 빌딩 시장 현황
    • 글로벌 스마트 빌딩 자동화 기술 시장은 2014년 589억 달러에서 연평균 4.9%씩 성장해 2019년 748억 달러 규모가 될 전망 (MarketsandMarkets, 2014. 7)
    • - 스마트 빌딩 자동화 기술 시장은 크게 시스템, 서비스, IT 기술 등으로 구분. 시스템&서비스 시 장은 시설 관리, 라이프 보안, 물리 보안 영역으로, IT 기술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컴퓨팅& 네트워크 서비스, 네트워크 장비 등으로 구성
    • - 모든 기술 중 에너지 관리 기술은 응급상황(Emergency) 대응과 조명 관리 기술에 이어 높은 성장률을 보임
    • - 2014년 글로벌 시장 중 북미가 40% 이상을 차지해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으며, 이어서 유럽 지 역이 약 30%로 나타남
    • - 각국 정부는 스마트 빌딩 구축 시 각종 세금 혜택을 제공함으로써 시장 성장에 큰 역할을 하고 있으며, 다양한 인증 및 평가 시스템을 제공
    • - 경쟁이 심화됨에 따라 시장 플레이어들은 신제품 개발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나, 구현 가능한 기술이 증가하면서 혼란이 가중되고 있는 상황
    • 글로벌 스마트 빌딩 시장 규모
    • 국내 스마트 빌딩 시장 동향
    • 빌딩 자동화 시스템(BAS), 지능형 빌딩 시스템(IBS), 빌딩에너지관리(BEMS) 등 솔루션과 시공/구 축, 유지보수 등이 스마트 빌딩 관련 시장을 구성
    • - 빌딩 자동화 시스템(BAS) 및 지능형 빌딩 시스템(IBS) 등 솔루션 시장, 하니웰, 지멘스, 존슨 컨트롤, 슈나이더일렉트릭 등 글로벌 기업들이 주도
    • - 솔루션 구축/시공 및 유지보수 시장은 빌딩 솔루션 벤더들의 협력사들과 대기업 IT서비스 기업 들이 주도
    • - 빌딩에너지관리시스템(BEMS) 시장은 글로벌 기업, IT 서비스 기업 등 빌딩 관련 솔루션을 보 유한 모든 기업들이 진출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통신사들도 이에 합류하고 있어 시장 경쟁이 심 화되는 추세
    • 국내 빌딩 기술(BT) 시장은 2012년부터 연평균 2.9%씩 성장해 2014년에는 7,582억 원 규모가 될 전망 (날리지리서치그룹, 2013. 9)
    • - 빌딩 자동화(BAS)와 에너지 관리(BEMS, ESCO 15) )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IT 서비스 기업들 의 지능형 빌딩(IBS) 매출은 제외된 시장 규모
    • - 건설 경기 침체로 신축 프로젝트 물량이 감소하여 빌딩 자동화 관련 설비 및 솔루션 시장이 침체
    • - 반면, 에너지 솔루션을 접목한 친환경 스마트 빌딩에 대한 수요가 늘면서 전체 빌딩 기술 시장 을 견인하며 플러스 성장을 이끌고 있는 상황
    • 국내 BT 시장 규모
    • 국내 빌딩 기술(BT) 시장 중 빌딩 자동화 관련 시장은 2013년 3,498억 원에서 2.9% 줄어든 3,397 억 원 규모가 될 전망
    • - 빌딩 자동화 시스템(BAS) 기업들의 솔루션 구축 프로젝트, 유지보수, 시스템 고도화, 관련 제 품·설비 시장
    • - 유럽발 경기불황의 여파로 국내 건축 경기가 위축되고, 한정된 시장에서 경쟁이 과열되고 있어 하락세가 유지되고 있는 상황
    • 빌딩 자동화 시장 규모
    • 국내 빌딩 솔루션 시장, 일부 글로벌 기업들이 폐쇄적인 독자 플랫폼을 기반으로 핵심 기술을 독점 하고 있는 상황
    • - 네트워킹과 메인 컨트롤러 관련 기술이 핵심 기술(그림 3-7 참조), 대부분 벤더별 독자 기술로 구성되어 있어 타사 제품과의 연계가 어려움
    • - 즉, 신규 구축 프로젝트 외 유지보수 및 고도화 시장은 최초 구축 업체의 제품/솔루션을 중심 으로 형성
    • - 그 영향으로 신규 구축 프로젝트 수주를 위한 경쟁은 더욱 과열되고 있어 국내 시장에 부정적 인 영향을 미침
    • - 한편, 핵심 기술 확보가 어려운 국내 기업들의 상당수는 글로벌 기업들과 협력 사업을 추진, 일 부는 공공사업을 중심으로 역량을 강화(ex. 나라컨트롤)
    • 빌딩 자동화/컨트롤 시스템 개념도
    • 국내 빌딩 기술 (BT) 시장 중 에너지 관리 시장은 2013 년 3,865 억 원에서 8.3% 증가한 4,185 억 원 규모가 될 전망
    • - 에너지 절감 설비 (ESCO) 와 에너지 관리 솔루션 (EMS ) 부문으로 구성
    • - ESCO 시장은 정책 자금 편성에 따라 시장이 형성 , 2014 년 ESCO 시장은 2013 년 3,520 억 원 규모에서 6 .0 % 성장한 3 ,730 억 원으로 추정
    • - EMS 시장은 2013 년 약 345 억 원 규모로 추정되며 , 2014 년에는 32.1% 성장한 455 억 원 규모가 될 전망
    • 빌딩 에너지 관리 시장 규모
    • 국내 빌딩 에너지 관리 시스템(BEMS) 시장, 정부 정책을 중심으로 시장 형성 및 활성화
    • - 2006년 코엑스 자체 BEMS 개발 ·도입, 2007년 삼성 서초사옥 BEMS 적용 등 일부 시설에서 도입하기 시작했으나 2012년 정부 시범사업을 통해 시장 형성이 본격화
    • - 국토해양부-에너지관리공단 : BC카드 퓨처센터, KT 선릉타워, 신라대 캠퍼스 등을 대상으로 ‘2012 건물에너지관리시스템(BEMS) 시범 보급 사업’ 추진
    • - 국토교통부 : BEMS 설치 보조금 지원, 신재생에너지 활용, 세금 감면 등 포괄적인 지원을 제공 하는 ‘제로 에너지 빌딩 시범사업’ 추진을 통해 관련 사업의 조기 활성화를 유도할 방침 (2014.10. 5)
    • 국내외 주요 기업들의 관련 투자 확대 및 시장 환경의 변화로 2015년 이후 에너지 관리 시스템 시 장의 민간 부문이 빠르게 성장할 전망
    • - IBM, 시스코, 지멘스, 슈나이더일렉트릭, 하니웰 등 글로벌기업과 SKT, KT 등 통신사, 삼성전 자, LG전자 등 국내 IT 기업이 BEMS 관련 투자 강화
    • - 그 외, 대우정보시스템, 롯데정보통신, 포스코ICT, 코오롱베니트, 한화S&C 등 IT 서비스 기업들도 그룹사를 중심으로 BEMS 구축 역량을 강화
    • - 또한, 건설 경기의 회복에 대한 기대감 상승과 2015년 시행이 예정된 ‘온실가스배출권거래제도16)’등의 영향으로 2015년 이후부터 기업들의 투자가 본격적으로 증가할 전망
  • 다. 스마트 시티
    • 스마트 시티의 정의
    • 스마트 시티란 특정 서비스 또는 플랫폼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도시 거주민 대상 또는 도시 행정 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 및 기술을 포함하는 개념
    • - Wikipedia : 인적자원과 사회 인프라, 교통수단, ICT 기술 등에 투자함으로써 지속적인 경제 발전과 삶의 질 향상을 이룰 수 있는 도시라고 정의
    • - 물, 에너지, 교통, 네트워크 등 인프라 데이터의 수집 ·분석과 도시 시설물과 첨단 ICT 기술 융 합을 통해 환경적 지속 가능성, 시민들의 삶의 질 제고, 지속적인 경제 발전 등을 지원하는 것 이 스마트 시티의 주요 목표
    • - 지능형 교통관리시스템(ITS), 스마트그리드, 상수도 관리 시스템, IoT, 빌딩관리시스템,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 보안 기술 및 서비스 등이 스마트시티에 포함
    • 스마트 시티 개념도
    • 스마트 시티의 핵심은 기존 도시에 ICT 기반의 서비스 플랫폼의 구축 및 적용을 통해 도시 문제를 해결하는 것
    • - 과거 도시는 교통체증, 전력난 등 문제 발생 시 도로 확충이나 발전소 건설 등 물리적 방식을 통 해 문제를 해결
    • - 반면, 스마트 시티는 도시 시설물에 설치된 센서, CCTV 등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네트워크 인 프라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공유 및 수집하고 빅데이터 등 분석 SW 기반의 시뮬레이션을 통해 문제 해결 방안을 도출
    • - 즉, 기존 물리적 인프라에 ICT 기술을 활용한 데이터 생성 및 수집 기반을 구축하고 해당 데이 터의 분석을 통해 효율성 극대화가 가능하도록 물리적 인프라를 자동 조정 및 관리
    • 스마트시티 제공 서비스 및 가치
    • 스마트 시티 시장 현황
    • 글로벌 스마트 시티 시장은 세계 각국의 스마트 시티 프로젝트 추진이 확산되면서 빠르게 성장
    • - 세계 도시 중 인구가 천만 이상인 메가 시티(Mega city)가 2013년 23개에서 2025년 37개로 늘 어날 전망이며 그 영향으로 스마트 시티 시장이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기대(Pike Research, ‘Smart Cities’, 2013 1Q)
    • - 프로스트&설리반 등 기관들도 스마트 시티 시장이 매우 빠른 속도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표 3-3 참조)
    • - 한편, 세계 스마트 시티 프로젝트의 약 70%는 에너지 ·교통·안전 등 3대 요소에 집중될 전망 (IDC, 2013. 2)
    • 주요 기관들의 스마트 시티 시장 규모 전망
    • 전세계 스마트 시티 수
    • 주요 국가 스마트 시티 추진 현황
    • 미국 : 미국 연방정부 스마트시티 정책, 스마트그리드와 의료 정보화에 집중
    • - 중앙정부를 중심으로 스마트시티 이니셔티브를 추진하고 있는 EU 및 아시아 국가들과는 달리 에너지 ·의료 분야 외에는 지자체 및 민간 기업에게 위임
    • - 전력망 부분은 노후화 시설에 대한 대응과 2014년까지 스마트 시티 관련 시장 점유율 15% 달 성을 주요 목표로 이니셔티브를 추진
    • - 미국의 GDP 대비 총 의료비 지출 비중은 세계에서 가장 높고, 2030년에는 65세 이상 비중이 20%가 넘어 의료비 지출이 증가할 전망에 따라 이니셔티브를 추진
    • - 연방정부는 2009년부터 시행된 미국회복과재투자법(ARRA)에 따라 스마트 그리드와 의료 정 보화에 300억 달러의 투자를 결정
    • 미국 각 주 정부, 자체적인 스마트시티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며 보스턴과 시카고가 대표적인 사례
    • - 시카고 : 스마트폰 연동 자전거 공유 시스템 ‘디비(DIVY)’, IoT 기상정보 시스템 프로젝트 ‘AoT(The Array of Things)’ , 빅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 등 프로젝트를 추진
    • - 보스턴 : 미국의 가장 오래된 도시 중 하나로 낙후된 도시 인프라 개선을 위해 교통 부문의 ICT 활용이 활발
    • - Loop Detector’ 센서 기반의 교통 혼잡도 측정/제어, 앱 연동 스마트 주차 센서 설치, 실시간 목적지 소요시 간 전광판 설치 등
    • - 그 외 안전 영역에서는 LA, 뉴욕, 보스턴, 워싱턴DC 등 70여개 도시에서 총성을 감지하고 발 포 위치를 찾아내는 ‘ShotSpotter’ 솔루션을 도입, 뉴욕 경찰청 등은 빅데이터 기반의 통합 범 죄 정보 분석 시스템을 도입
    • 민간 기업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미국 스마트 시티 시장
    • - IBM, 시스코시스템즈 등 기업들은 스마트 시티 솔루션을 구축해 세계 각국 주요 도시를 대상 으로 서비스를 제공 중
    • - IBM : 2010년부터 주요 도시의 현안문제 해결을 위한 ‘Smarter Cities Challenge’프로그램을 운영, 전문가 파견 및 5,000만 달러 상당의 기술 지원 서비스를 지원, 국내는 청주(2012), 제주 (2013) 등이 대상 도시로 선정
    • - 시스코시스템즈 : 2009년 도시 인프라의 네트워크 및 지능화에 중점을 둔 ‘Smart + Conneted Communities’ 이니셔티브 공개, 빌딩을 구성하는 요소(HVAC, 조명, 전기, 보안)를 지 능적으로 연결하는 기술이 핵심, 국내에서는 송도 신도시가 대표 사례
    • EU : 2011년, 스마트 시티 관련 혁신 지원을 위해 ‘The European Innovation Partnership on Smart Cities and Communities(EIP-SCC)’를 출범
    • - FP724) 에 기반하고 있으며 최초 출범 시 에너지 부문만 담당하며 8,100만 유로의 예산이 책정 되었으나, 2012년 7월 교통 및 ICT 부문으로 확장되며 3억 6,500만 유로로 예산이 증가
    • - 2013년 12월 26일, 스마트 시티 구현을 위한 전략적 실행 계획(Strategic Implementation Plan)을 공개
    • - 2014년, Horizon 2020 25) 을 통해 약 2억 유로를 투자해 도시 교통, 오픈데이터, 비즈니스모델, 금융, 정책, 에너지 등 다양한 영역의 프로젝트를 추진
    • - 2014년 기준 32개 국가의 2,500 파트너들이 350개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며 연구 주체는 정부/ 공공(33%), 민간기업(29%), 학 ·연 기관(16%) 등 다양하게 구성
    • EU EIP-SCC의 프로젝트 영역
    • EU 스마트 시티의 전략적 실행 계획의 주요 전략 방향은 크게 교통, 도시계획, 에너지·ICT·교통 융합 등으로 구성
    • - 지속가능한 도시 이동성(Sustainable Urban Mobility), 지속 가능한 구역&건설 환경(Sustainable Districts and Built Environment), 에너지-ICT-교통 통합 인프라 및 프로세스 (Integrated Infrastructures and Porcesses across Energy, ICT and Transport)
    • - 주요 전략 방향의 실현을 위해 시민 중심, 정책/규제, 통합 계획 등을 위한 의사결정, 오픈데이터, 표준 제정, 지식 공유 등에 대한 인사이트, 신규 비즈니스 모델 발굴·적용, 범유럽 마켓 창출 등 펀드 부문의 실행 방안을 마련할 계획
    • EU 스마트시티 전략적 실행계획의 Priority Area
    • 영국 : 영국 최초 스마트 시티 실현을 목표로 각 지자체에게 공모를 실시, 2013년 1월에 30개 도시 의 경쟁을 통해 글래스고(Glasgow)가 첫 대상지역으로 선정
    • - 글래스고시의 교통, 범죄, 에너지, 환경, 의료 등의 문제 해결을 위해 향후 2,400만 파운드를 지 원할 계획
    • - 2013년 10월, 英 기업혁신기술부에서 글로벌 스마트 시티 현황에 대한 보고서를 발행하고 스마 트 시티에 대한 지원을 본격화 할 계획을 공개 26)
    • - 또한, 영국 연구진흥기관(Research Council UK)을 통해 약 9,500만 파운드 규모의 스마트 시 티 연구 비용을 지원하고 이와 별도로 2020년까지 지능화 교통시스템, 의료시스템 첨단화 작 업, 스마트 미터 도입 등에 대해 투자할 계획 27)
    • 그 외, 유럽 내 주요 도시들도 자체적인 스마트 시티 구축 노력을 강화하고 있으며, 2013년 9월 공 개된 런던시의 ‘스마트런던 플랜’이 대표 사례
    • - 런던 : 오픈데이터, 디지털 R&D 지원, 네트워크(커뮤니티) 구축, 기반시설 첨단화, 공공 데이터 공유 확대 등의 프로젝트를 추진할 계획
    • - 스마트 런던 플랜의 추진으로 약 기술 기반 기업의 증대 및 직업 창출, 디지털 인프라 확산 등 으로 인해 약 4억 6천만 파운드 규모의 경제 효과를 기대
    • - 스페인 바로셀로나,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스웨덴 스톡홀름 등도 런던과 더불어 대표적인 스마 트 시티로 성장 중
    • 스마트 시티 구현이 런던에 미치는 영향
    • 일본 : 에너지안보와 재난복구에 집중하는 것이 일본 스마트 시티의 특징
    • - 2011년 동일본 대지진 이후 스마트 시티 프로젝트 추진을 본격화
    • - 국가적인 에너지 안보 위기 상황을 스마트 그리드 중심의 에너지 인프라 스마트화 정책을 통해 극복하는 것이 주요 목표
    • - 현재 대지진으로 파괴된 동북 지역 도시 재건에 있어 스마트 시티를 기반으로 한 신도시 건설을 추진 중
    • 일본의 스마트 시티 프로젝트는 내각부, 경제산업성, 총무성 등이 주도
    • - 日 정부 주요 부처, 2008년부터 다양한 스마트 시티 정책들을 추진 중이며 2013년 기준 스마트 시티 관련 정책 할당 예산액은 누계로 약 680억 엔 수준29)
    • - 여러 프로젝트 중 내각부의 환경 미래 도시 구상, 경제산업성의 스마트 커뮤니티 구상, 총무성의 ICT 스마트 타운 구상 등이 대표적인 프로젝트
    • 일본 정부의 스마트 시티 관련 정책
    • 현재 일본 내 4개 도시에서 스마트시티 시범 구축 사업을 추진 중
    • - 2010년 스마트시티 구축 사업 공모를 통해 요코하마시, 도요타시, 교토부 게이한나 학연도시, 기타쿠슈시 등 4개 도시가 선정되었으며 진행 사항을 JSCP(Japan Smart City Portal, http://jscp.nepc.or.jp)를 통해 공개
    • - 최근 요코하마시에서는 2013년 5월 일본 최대 규모인 1,500개 가정에서 HEMS30) 서비스를 시행, 향후 HEMS를 통합해 관리하는 CEMS31)로 확대할 계획
    • - 기타큐슈시 전력 피크 시간대 가변전력 요금제, 도요타시 교통관리시스템(TDMS, Traffic Data Management System), 게히안나 HEMS 등을 시범 운영 중
    • 중국 : 중국 스마트 시티 계획은 도시화와 경제 성장에 포커스
    • - 현재 중국은 개혁 개방 이후 짧은 시간에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도시 인구 유입이 가속화되어, 주택·교통·상하수도·전기/가스·의료·교육 등 여러 도시 인프라 부족 문제를 야기
    • - 중국 정부, 서비스 산업 확대를 통한 산업 구조 전환 촉진과 개인 소비 유발을 통한 ‘투자에서 소비로’ 성장 동력 전환 등을 목표로 스마트 시티 기반 도시화 정책을 적극 강조
    • - 지방 정부가 개별적으로 추진해 오던 스마트 시티 정책을 2013년부터 중앙정부가 직접 관리하기 시작했고 최근 ‘2014~2020 국가 신형도시화 계획(國家新型城鎮化規劃)’ 발표(2013. 3. 16)
    • 중국 정부, 2015년까지 320개 스마트 시티(智慧城市)를 구축할 계획
    • - 스마트시티를 지혜도시(智慧城市)로 부르고 있으며, ‘클라우드 컴퓨팅을 비롯한 첨단 ICT 기술 을 결합해 도시 주요 시설과 공공기능을 네트워크화한 미래형 첨단도시’라고 정의
    • - 12차 5개년 규획 기간(2011~2015) 동안 전국 320개 도시를 스마트시티로 건설할 계획이며, 3,000억 위안 이상을 투자할 예정
    • - 주택도시농촌건설부 : 2013년 1월, 스마트 시티 시범 도시 90개 선정, 동년 8월 103개 도시 추 가 선정 등 현재까지 총 193개 도시를 대상으로 스마트시티 건설 사업을 추진 중
    • - 보안 시스템·인프라 개선, ICT 기반 도시건설·관리·고도화, 정부/공공 등 서비스 디지털화를 통한 스마트관리·서비스, 첨단산업 개발 지원 등 산업·경제 스마트화의 4대 분야를 중심으로 각종 시범사업을 추진할 계획
    • 중국 국가 지혜도시 시범도시 분포, 1차 선정 도시
    • 중국 국가 지혜도시 시범도시 분포, 2차 선정 도시
  • 라. 결론 및 시사점
    • 전통적인 시설관리 산업과 ICT의 융합을 통해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등 새로운 신사업을 창출하고 있으며, 그 외에도 스마트 홈, 스마트 물류/유통, 스마트 쇼핑, 스마트 안전 등 다양한 분야로 확대가 가능할 전망
    • 기존 단순한 인력 중심의 서비스 산업에서 디지털화 및 지능화를 통해 사람들의 생활 패턴의 변화 와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첨단 비즈니스로 전환되면서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창출
    • IoT 기술의 발전, 모바일 생태계의 확산, 센서 기술의 발전 등 환경의 변화는 우리 주변의 모든 시 설의 지능화를 촉진하고 있어 SF 영화에서 보던 미래 사회가 현실로 다가올 전망
    • 한편, 스마트 빌딩 및 스마트 시티의 개념의 확대로 관련 솔루션의 도입을 고려하는 입장에서 혼란을 가중
    • 빌딩 및 도시 관리에 있어 거주민의 편리성, 안정성, 환경 등 다양한 부분에 영향을 미치는 영 역이 모두 ‘스마트’의 개념에 포함되면서 실제 관련 솔루션의 도입을 고려하고 있는 입장에서는 혼란이 증가
    • 향후 확장성을 위해 ‘스마트’에 대한 개념은 유지하되 스마트 빌딩/시티 구현의 필수 요소를 정리 하고, 각 요소들 간 중요도와 우선순위를 파악해 전략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체계 구축이 필요
    • 핵심 기술의 부재, 표준화 미비 등이 국내 시설관리 ·ICT 융합 산업 활성화의 장애요인으로 작용
    • - SW, 네트워크, 데이터분석 등 핵심 기술 역량이 취약해 해외 기업 의존도가 높고, 대부분의 플 랫폼이 자체 기술 표준에 기반하고 있어 국내 시장 성장의 걸림돌로 작용
    • - 따라서, 국내 산 ·학·연 공동 연구를 통한 핵심 기술의 개발 및 표준 제정을 지원하고, 시범사 업 추진을 통한 한국형 스마트 빌딩/시티 사례를 발굴하는 것이 필요
    • Heating, Ventilation, Air Conditioning(냉난방, 통풍, 공기조화), [그림 3-1] 참조
    • BAS : 빌딩 유지관리에 필요한 기계/전기설비, 조명, 방재, 보안 등 각종 설비의 상태 감시 및 운전 관리 시스템
    • BMS : 상태감시, 제어, 주차관제 등 관리 영역부터 유지/보수 스케줄 관리, 설비 대장 및 과금 자료 관리 등 관리적 측면이 강화된 개념
    •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 에너지 관련 설비 정보의 실시간 분석을 통해 에너지 효율을 개선하는 시스템
    • 건물 내의 냉난방, 공조, 조명, 보안 등 다양한 기계 및 전기 장치를 관리하는 솔루션
    • 피드백 루프 : 피드백 제어에서 결과(출력)의 일부를 입력으로 사용하여 시스템을 수정 또는 제어하는 방법
    • 백본 : 랜에서 광역통신망(WAN)으로 연결하기 위한 하나의 회선 또는 여러 회선의 모음을 의미
    • 적응형 빌딩 구조 : 타임테이블에 의한 빌딩 제어, 일/월/계절 변화 예측 및 조정, 기후 변화 및 사용/이용 환경 변화 대응 등 건물의 내외부에서
    • 타임테이블 등 설정된 시간에 따라 설비를 조정하는 방식, 예) 일과시간 9am~6pm 외 냉난방 최소화 등
    • 구역별로 설비를 조정하는 방식, 예) 일정 기간 내 사용률이 낮은 구역의 폐쇄(Close) 등 구역별 조정
    • 자료 출처 : http://www.emeraldinsight.com/doi/full/10.1108/SASBE-01-2014-0003
    • 자료 출처 : http://esa.un.org/unpd/wup/Highlights/WUP2014-Highlights.pdf
    • 24/7 : 하루 24시간, 1주 7일, 1년 내내 항시적이라는 의미
    • 자료 출처 : http://www.ibm.com/smarterplanet/in/en/green_buildings/overview/
    • LED 조명 등 에너지 관련 설비 교체 시 수요자가 투자비를 부담하지 않고 에너지관리공단에 등재되어 있는 ESCO 사업자가 투자비를 부담하여 설비 교체 후 전기료 절감액으로 수요자가 투자비를 상환하는 정부사업
    •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국가 및 기업들에게 매년 배출할 수 있는 할당량을 부여해 남거나 부족한 배출량을 사고 팔 수 있도록 하는 제도. 국내 관련 법안은 2012년 5월 2일 국회에서 통과되었으며 2015년부터 시행될 예정
    • 자료 링크 : http://www.hitachi.com/products/smartcity/vision/concept/it.html
    • 자료 출처 : http://www.menafn.com/f50a50b0-b362-44c9-8d64-88cb2dc34440/Frost--Sullivan-Connected-andIntelligent-Infrastructure-eGovernment-Services-and-Smart-Security-Solutions-to-Drive-Smart-City?src=main
    • 자료 출처: GSMA Connected Living Tracker http://www.gsma.com/connectedliving/tracker
    • 자료출처 : IDC’s China 100 Smart Cities Evaluation and Recommendation: Penetrating the Appropriate Target Cities Is Key(2013. 7)
    • 자료출처 : “Toward a framework for Smart Cities: A Comparison of Seoul, San Francisco & Amsterdam”; Jung-Hoon Lee; Associate Professor, Graduate School of Inform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and Marguerite Gong Hancock; Associate Director, Stanford Business School
    • 자료 출처 : http://press.ihs.com/press-release/design-supply-chain-media/smart-cities-rise-fourfold-number-2013-2025
    • 자료 출처 : http://www.navigantresearch.com/newsroom/investment-in-smart-city-technologies-is-expected-to-exceed-174-billion-from-2014-to-2023
    • FP7 : 제 7차 범유럽 연구개발 기본계획(2007~2013년)
    • Horizon 2020 : FP7에 이은 범유럽 연구 혁신 프로그램으로 2020년까지 800억 유로 규모의 예산을 투자할 계획
    • 영국 기업혁신기술부, ‘Smart City Market : Opportunities for the UK’(2013)
    • 영국 기업혁신기술부, ‘Smart Cities Background Paper’(2013)
    • 자료 링크 :http://www.london.gov.uk/sites/default/files/smart_london_plan.pdf
    • 자료 출처: ‘ソフトインフラを核としたスマートシティ実現にむけて,’ J R Iレビュー 2013 Vol.9, No.10
    • HEMS : 홈 에너지관리시스템으로 집안 내 위치한 다양한 에너지 소비 장비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 및 분석해 에너지 사용 효율을 개선하는 시스템을 의미
    • CEMS : 커뮤니티 에너지 관리 시스템으로 특정 지역(Community)를 대상으로 지역 전체의 에너지 이용 최적화를 위한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