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한국이러닝산업협회 공동포럼 (결과)
날짜2015.07.21
조회수5374
글자크기
  • 한국 이러닝 산업과 SW교육 활성화 방안
    • 행사개요
      일 시 2015 07월 14일(화) 11:00~17:00
      장 소 COEX 3층 콘퍼런스룸(남) 308호
      논의안건 한국 이러닝 산업과 SW교육 활성화 방안
      참석자 선문대 노규성 교수, 청주대 이호건 교수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김진형 소장 포함 주최측 10여명
      포럼 청중 100여명
  • 개최 결과
    온라인 서비스를 이용한 SW교육 활성화 방안
    • SW중심사회에서의 SW교육 열풍
    • SW는 상상을 실현하는 도구로서의 SW교육
    • SW교육 시장의 폭발과 어려움
    • 수요 폭증과 자원 부족의 대안으로서의 온라인 SW교육
    • 해외 대비 부족한 온라인 SW교육
    • (콘텐츠) 제공되는 과목의 편중, 오프라인 강의녹화영상
    • (콘텐츠) 교사용 자료 부족, 교육 로드맵 부족
    • (기능) 온라인 실습환경 미비, 동영상 지원 미비
    • (기능) 정보습득의 어려움, 사용자 참여 플랫폼 미흡
    • (사용자) 사용자 측면의 특화된 요구사항
    • 질향상, 다양화, 확산의 전략 실행 통한 자기주도학습, 실습 중심학습, 협동 학습, 개방형 체계 제안
  • 온라인 SW교육을 위한 법제 개선방안
    • SW교육의 법제 개선 필요성
    • 기본권으로서의 교육권
    • 정부 정책의 일관성 유지
    • 관련 법률 소개
    • 법률 정비 방안
    • (1안) 특별법의 제정
    • (2안) 교육 기본 법 등의 개정을 통해 SW교육과정 포함
    • (3안) SW산업 진흥법의 개정
    • (4안) 이러닝산업발전법의 활용
  • 공공기관의 무료 이러닝 서비스 개선방안
    • 고부가가치 지식 콘텐츠 산업으로서의 이러닝 산업
    • 이러닝 산업의 발전 역사와 현황
    • 공공기관 무료 이러닝 서비스 실태
    • 중복 경험이 있는 56.1% 중 진출 포기한 업체가 35.4%, 21.7%는 중복사업 진행
    • 공공기관 무료 이러닝 서비스에 대한 문제점
    • 대부분의 업체들이 공공기관 무료 이러닝 서비스로 인해 기존 사업을 포기하거나 신규사업 진출을 포기함으로 인해 매출(1억~10억 사이) 손해 발생
    • 또한 이로 인해 사업을 포기한 경우 매출 외에도 투자/비용 손실, 구조조정 손실, 사업전환 등의 추가적인 피해 발생했으며, 이러닝 서비스 시장을 잠식
    • 개선방안 제언
    • 무료 교육이 아닌, 의료보험식(교육바우처) 제도 마련
  • 글로벌 경쟁 우위 확보를 위한 민간 TTP Coordinator 제도화
    • 이러닝의 글로벌 진출 필요성
    • 우호적인 국가 확대 필요
    • 제조 중심의 수출 상품 한계
    • 서비스 무역 필요성
    • FTA활용 해외 거점 확보
    • ODA에 의한 경제협력 실행
    • 산업별 해외 진출 유형 다양화
    • 해외 진출을 위한 3대 요소: 상품, 기업, 인력
    • 해외 진출 현황
    • 해외 진출을 위한 핵심적 주요 요소
    • 기업간 협업, 정부의 지원
    • 재무적 문제, 해외 정보/현지화, 전문인력 양성
    • 이러닝 기업의 해외 진출 활성화
    • 시장 접근 프로세스
    • 상호협력에 의한 추진
    • 민간 TTP Coordinator의 제도화로 글로벌 경쟁 우위 확보
    • 관련뉴스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에 따르면 대기업의 69.0%가 ‘디지털 ABCD’를 구축하거나 대응하고 있지만 중소기업은 고작 9.5%만이 대응할 뿐이라고 한다. 기자는 회장의 ‘중소기업을 위한 플랫폼’이란 말에 귀가...

      “무료 이러닝, 의료보험 서비스처럼 제공해야”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한국이러닝산업협회는 ‘소프트웨어 산업이러닝 산업 발전을 위한 공동포럼’을 14일 개최했다. 미래창조과학부와 산업통상자원부가 후원하는 이번 포럼에서 참가자들은 소프트웨어를 둘러싼...

      소장, 한국스마트제조연구조합 김은 이사장, 연세대 김휘영 교수, 경희대 송경재 교수, 가천대 조영임 교수 등 참여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SPRi)가 '디지털 파워 2021' 춘계 콘퍼런스를 3월 26일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1일...

      美 에듀테크 시장 성장 가속화

      Learning) 활성화됐다. 이처럼 기술 발전에 의한 4차 산업혁명의 시대는 사회∙경제뿐만 아니라... Department of Education, Wikipedia,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한국무역협회(KITA), 한국이러닝협회, 그 외 KOTRA...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는 올해 10대 이슈 중 하나로 AI 기반 모델 고도화를 꼽았다. 연구소는 "초거대화 AI 모델에 관해 글로벌 기업들의 무한 경쟁이 가속할 것"이라며 "다양한 산업 영역에서 초거대 AI 기반 제품이나...

      이러닝 산업 발전, 공공기관 무료서비스가 발목 잡아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소장 김진형)와 한국이러닝산업협회(회장 임재환)는 14일 서울 강남구 삼성동... 2012년 이러닝 서비스 기업 200여개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해 본 결과 절반 이상(56.1%) 공공기관 무료 이러닝...

      지능정보산업협회 출범…"韓 AI 산업 구심점 될 것"

      안암병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가 이사사를 맡았다. 회원사는 60여개사가 참여하고 있다. 협회는 국내 지능정보산업의 생태계를 구축하고 산업 활성화 촉진을 위한 국내 대표 단체로 역할을...

      디지털 전환의 기로에 선 교육, 혁신이 아니면 죽음을…

      <끝> --------------------------------------------- 1)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 조준희 회장(2021. 8. 12.), “SW·AI시대... t=3833) 디지털 교육 에듀테크 ※ 글은 소프웨어정책연구소(SPRi)가 발간하는 ‘소프트웨어중심사회...

      [기고] 제 5의 물결, 그 답은 답(DAB)에 있다

      5차 산업혁명 시대의 DA(DX, AI) 기술을 기반으로 한 핵심 기술이다.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SPRi)의 '국가 인공지능 연구 지수'에 따르면 2020년 우리나라의 AI 경쟁력은 14위였다. 또한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의...

      [초대석] 강선근 브레인즈컴퍼니 대표이사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는 보고서를 통해 해당 시장이 연평균 9.5% 성장해 2023년에 2565억원 규모가 될... 또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 이사를 역임했다. 현재 브레인즈 컴퍼니 대표이사를 맡고 있다. 브레인즈컴퍼니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