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케어 산업

날짜2014.09.20
조회수20666
글자크기
  • 가. 헬스케어 산업 현황 및 동향
    • 배경
    • 바이오 융합을 통한 u헬스, 유전체 등 헬스케어 신시장에 형성됨에 따라고령화와 건강 수명을 위한 고객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ICT를 기반의원격진료 및 맞춤의료가 확대될 전망
    • - IT기술의 발전, 인구의 고령화, 국민소득 증대 등 환경의 변화로 ICT를활용한 헬스케어 산업이 빠르게 성장하는 추세로 ICT 융합 헬스케어산업은 u헬스, 스마트헬스케어, 홈헬스케어 등 다양한 방향으로 발전
    • - 헬스케어 융합기술은 고령화 시대에 대비하여 각종 만성질환과 건강관리를 통해 국가 의료재정 부담 감소를 위한 국가 정책수단으로도 부상
    • - 특히, 국내뿐만이 아니라 글로벌 시장에서 헬스케어 신시장 창출을 위한노력이 강화되고 있어 글로벌 경쟁력 확보 차원에서 국내 헬스케어 산업활성화가 중요한 시점
    • 헬스케어 시장 현황
    • 글로벌 헬스케어 시장은 2013년 기준으로 글로벌 GDP의 8.2%에 해당되는약 6.15조 달러로 추정(Plunkett Research, 2014)
    • - 세부 시장별로 살펴보면 미국 시장에서 약 2.9조 달러, 미국 외 OECD국가들이 2.6조 달러, 그 외 국가들이 6,500억 달러 규모로 추정
    • - 미국이 GDP의 17.7%를 헬스케어 산업에 소비해 가장 높았으며, 네덜란드11.9%, 프랑스 11.6%, 독일 11.3%, 덴마크 10.9%, 캐나다 11.2%, 스위스11.0% 등 순으로 나타남
    • 이 중 ICT를 활용한 글로벌 u-헬스케어 시장은 2013년 2,539.7억 달러에서연평균 15.7%씩 성장하여 2018년 4,987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추정
    • - 일반 의료 및 제약 산업이 신약 허가 축소, 약가 인하 등의 요인으로위축되고 있는 가운데 ICT 융합 헬스케어 산업은 빠르게 성장할 전망
    • - 특히 건강관리, 원격의료, 현장진단, 웰니스 등 영역과 ICT의 결합은 기존의료업계 외 IT 기업들의 투자를 유도를 통해 시장 영역을 확대하고ICT 기술을 통해 고객 편의성 제고 및 맞춤형 의료 서비스 제공 등을실현하여 의료서비스 품질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
    • 세계 u-Health 시장 전망
    • 국내 u-헬스케어 시장은 연평균 12.5%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2014년기준 약 3조원 규모로 추정(임팩트, 2014. 11)
    • - 임팩트는 u-헬스를 네트워크 또는 휴대용 진단센서를 통해 환자의 건강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해당 데이터를 활용해 언제 어디서나원격 질료 및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의료 환경이라고 정의
    • - 국내 u-헬스 서비스 이용자 수 예측 자료를 근거로 분석한 결과이며세부 시장별로는 2014년 기준 u-메디컬 시장 5,600억원, u-실버시장4,800억원으로 추정되었으며 u-웰니스 시장은 연평균 14.4%씩 성장해 2조원 규모 나타나는 등 가장 높은 성장성을 보일 전망
    • 우리나라의 고령화 속도는 세계 최고 수준으로 2026년 이후에는 노인인구가 20%를 돌파하는 초고령 사회가 될 전망
    • - 2013년 기준 총인구에서 65세 고령자가 차지하는 비율은 12.2%로 1970년3.1%에서 지속적으로 성장하여 2050년에는 37.4% 수준에 이를 전망
    • 연령 계층별 고령 인구 비중
    • 또한, 40대 미만의 건강보험 적용 인구가 줄고 40대 이상의 인구가지속적으로 늘고 있어 노인 인구의 진료비 지출은 꾸준히 증가할 전망
    • 연령대별 건강보험 적용인구 구성비
    • 국내 2012년 기준 11개 주요 만성질환 진료 인구는 전년 1,296만명 대비약 6% 증가한 1,344만명으로 전체 인구의 27.1% 수준(국민건강보험공단, 2013)
    • - 2012년 진료비 또한 전년 대비 약 6% 증가한 17조 3,741억원으로 집계되었으며 만성신부전증, 갑상선 장애 등의 진료 인구가 빠르게 증가
    • - 생활 및 식습관의 변화, 환경오염 확산 등의 요인으로 만성질환자는더욱 증가될 전망
    • 이와 같이 노인인구와 만성질환자 수가 늘어나고 ICT 기술의 발전으로헬스케어 영역에서의 활용이 늘어남에 따라 원격진료, 건강관리, 자가진단 등의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전망
    • 또한, 최근 헬스케어 산업에서 ICT 기업들의 진출이 활발하고, 모바일및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반의 헬스케어 사업에 대한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어 헬스케어 산업과 ICT 융합 추세는 더욱 가속화될 전망
  • 나. 2014년 주요 이슈 및 트렌드
    • ICT기업 헬스케어 산업 진출 강화
    • 최근 국내외 주요 ICT 기업들은 기존 주력 시장의 성장 둔화의 대안으로향후 빠른 성장이 기대되는 헬스케어 산업 진출 노력을 강화
    • - 지멘스, 인텔, IBM, GE 등 ICT 기업들이 이미 헬스케어 산업에 진출한 바있으며 최근 통신사, 스마트폰 운영체제 및 제조사들이 지속적 성장을위한 영역 확대를 목표로 헬스케어 산업 진출에 적극적인 상황
    • 삼성, 애플, 구글 등 스마트폰 관련 업체들이 모바일용 헬스케어 산업선점을 목표로 관련 사업을 강화
    • - ( 삼성전자) 구글과의 제휴를 통해 신규 운영체제 버전에 러닝, 사이클,피트니스 등 다양한 운동데이터의 측정·수치화·분석 등 사용자의 건강관리를 지원하는 구글 핏 제공 등 헬스케어 앱과의 확장성을 강화할 계획
    • - ( Apple) 유명 의료기관과 제휴를 통해 혈압, 맥박수, 체중 등의 의료데이터를개인 이용자 또는 의료기관에게 제공 기능을 포함한 헬스케어 개발도구헬스킷을 개발할 계획
    • - ( Google) 구글 글래스 및 차세대 운영체제에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실시간체크하는 기능 제공, 유전자와 분자 정보를 자사 컴퓨팅 인프라를 기반으로분석해 건강한 신체 조건을 연구하는 베이스라인 스터디 프로젝트를 실시하는 등 헬스케어 시장 선점을 위한 노력을 강화
    • SK텔레콤, KT, LGU+ 등 국내 통신사들은 향후 신성장동력의 일환으로헬스케어 영역에 적극적으로 시장 공략 추진
    • - ( KT) 뇌 지도 연구를 위한 크라우드 소싱 방식의 게임 아이와이어(Eyewire)를자사 채널에 배포할 계획, 그 외에도 만성질환자 건강 관리를 지원하는 큐케어서비스를 출시한 바 있음
    • - ( SK텔레콤) 나노엔텍 등 헬스케어 전문 기업들을 인수한 바 있으며 최근에는중국 거점 마련을 목표로 중국 심천에 헬스케어 R&D 센터와 메디컬센터를개소하는 등 헬스케어를 신성장동력으로 집중 육성
    • - ( LGU+) 2010년부터 원격의료 플랫폼 개발 전담 팀을 구성해 개발해왔으며최근에는 자생한방병원과 협력을 통해 건강관리 및 상담을 지원하는콘텐츠를 개발, 향후 원격의료 사업과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강화할 방침
    • 모바일 헬스케어의 확산
    • IT 기술의 발전, 스마트폰의 확산, 일반 소비자의 의료기기 접근성 강화등 요인으로 모바일 헬스케어가 빠르게 확산
    • - 최근 생명공학기술(BT)와 정보통신기술(IT)의 융합기술이 빠르게 발전하면서 다양한 모바일 의료진단기기가 나타나는 추세
    • - 특히 각종 센서가 소형화, 고집적화 되고 있고 바이오칩을 활용한 분자진단 기술도 빠르게 발전하고 있어 소형 의료 기기가 급속도로 증가
    • - 또한, 진단 정보는 스마트폰의 앱과 연동을 통해 빠르게 의료기관과연계가 가능해 소비자들에게 편의성과 의료접근성을 제공
    • - 특히 고혈압, 심장질환 등 상시 모니터링이 요구되는 만성질환자가 늘고있어 스마트폰과 연계한 모바일 헬스케어 기기가 각광받고 있음
    • - 이처럼 의료기기의 소형화, 모바일화에 따라 주 고객층이 소수의 전문인력에서 다수의 일반 소비자로 확산되어 시장 성장이 더욱 가속화될 전망
    •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활용한 헬스케어
    • 스마트 기기의 트렌드의 변화로 몸에 착용이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대한 수요가 늘고 있으며 이와 센서 기술의 발전이 맞물려 헬스케어 산업중 피트니스/웰니스를 중심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활용이 늘어날 전망
    • - 최근 소비자들은 스마트기기와 센서기술을 통해 일상에서 생성되는 자신의모든 데이터를 관리하기를 원하는 Quantified Self10) 트렌드가 확산
    • - 주요 ICT 기업들은 웨어러블 컴퓨터를 스마트폰 이후의 신성장 동력으로인식하고 헬스케어 분야로의 선제적 활용과 진출을 추진
    • 헬스케어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피트니스/웰니스 등 건강관리 및 자가진단등을 위해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점차 치료 목적을 위한 활용이 증가
    • - 인체를 통신채널로 활용해 인체 주변에서 일어나는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wBAN(wireless Body Area Network) 기술을 기반으로 신체에 착용된 기기들로 생체 정보를 측정하고 전송하는 방식으로 의료분야에서 활용
    •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크게 휴대형, 부착형, 이식/복용형 등이 있으며제품 활용 분야 및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음
    • 헬스케어 웨어러블 디바이스 주요 제품
    • 10) ‘수치화된 자아’라는 뜻으로 정량적 수치에 기초한 자가 건강관리를 의미
  • 다. 주요 ICT 기반 헬스케어 활용 사례
    • (필립스-엑센츄어) 구글 글라스용 의료 소프트웨어 필립스 인텔리뷰솔루션 개발
    • - 수술 중 환자의 생체 신호(vital sign)을 의료진의 눈앞에 펼쳐 환자의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집도의가 모니터링 기기를 주시해야 했던 기존의방식을 바꾼 솔루션
    • - 수술을 집도하는 의사는 수술 중인 환자에게서 눈을 떼지 않고 환자상태 모니터링이 가능해 효율적인 집도가 가능
    • - 실시간 생체 신호를 포함해 추후 이미지 처리, 회복실 모니터링, 의료진간의 기록, 협업 기능 등을 추가할 예정
    • 2013년 8월 미국 오하이오 주립대 병원 정형외과 의사 크리스토퍼 케딩박사는 구글 글라스를 통해 수술 진행과정을 동료 의사와 의대생들에게실시간으로 중계
    • - 환자의 동의로 수술 전 과정을 촬영하였고 이 영상을 구글 영상 회의서비스 행아웃에 전송하여 동료 의사와 실시간으로 자문·피드백을 진행
    • - 또한 의대생들은 구글 글라스를 통해 집도의의 시각에서 수술을 경험해높은 학습 효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이는 과거 교보재를 통한 학습 및현장실습을 보완하는 강력한 교육용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전망
    • (Robert Bosch Healthcare) 자택에서 만성질환 관리를 지원하는 터치형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Boschs Health Buddy’ 개발 및 서비스
    • - 혈압, 혈당, 체중, 손소포화도, 폐기능 등 건강상태를 측정하여 의료기관으로 전송하고 화상카메라를 통해 의료진과 화상상담 등이 가능
    • - 현재 미국 보훈청에서 추진하고 있는 50개 이상의 프로그램에서 해당제품을 사용 중이며 캘리포니아에서는 1,000명 이상의 대상자를 포함한메디케어 고위험군 관리 프로젝트 운영에서 활용
    • Bosch's Healthcare Buddy 제품
    • (WellDoc) 모바일 당뇨 관리 기능으로 최초로 미국 FDA 승인을 받은소프트웨어 Bluestar로 원격기반 처방만으로 의약품 보험 적용이 가능
    • - 환자가 자가 관리를 위해 다양한 모바일 기기로 입력한 건강 수치,복약·영양·운동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코치
    • - 전문 의료진에게 해당 정보를 전달하고 미국당뇨학회 치료 지침에따라 분석 정보를 참조하여 환자에게 피드백
    • - 처방약품프로그램국가위원회의 처방 보험 심사를 통과하여 약물 처방과동일한 효과의 의료서비스로 인정
    • - 한편, 일반 처방 비용보다 낮은 보험수가로 설정되어 의료비 감소 효과가있으며 전문 의료 인력이 부족한 1차 의료기관에서도 활용이 가능해 당뇨환자 관리 품질 제고에 기여
    • 대만 중앙건강보험, 2004년 전국민 대상 건강보험 IC 카드 도입 후 2013년8월 빅데이터 기반의 NHI-Pharma Cloud 시스템 구축
    • - 건강보험 IC 카드에는 개인 인적사항, 주질환, 입원기록, 진료 빈도, 누적진료비, 보험료, 약품 알레르기 특이사항 및 예방 접종기록 등이 포함
    • - 의료 서비스 공급자는 각 환자의 모든 진료 정보를 IC 카드에 입력
    • - 시스템 도입 결과 중복 및 부정처방 방지, 약물 상호작용 및 기준량 착오로부터 환자 보호, 비용 효율적인 의약품 사용, 포괄적 진료정보 제공 등긍정적인 효과가 발생
    • - 향후 원활한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을 위해 VPN 회선망을 확대하고 투약기록 확인 의무화와 함께 약물 상호작용 알림 서비스를 제공할 방침
    • NIH-PharmaCloud 운영 절차
    • (日 CYBERDYNE) 하반신 장애나 근력 쇠퇴로 보행이 불편한 노약자 및장애우의 보행 동작 보조를 위한 로봇 HAL 개발
    • - 로봇 개발사 CYBERDYNE과 츠쿠바 대학 연구진이 공동 개발한 제품으로근육 동작 시 뇌에서 전달되는 신경 신호를 착용자의 피부 표면에 부착된센서를 통해 감지해 구동 장치를 제어하는 방식
    • - 상용화된 이 제품은 불편한 다리에 선택적인 착용이 가능하며 다양한신체 크기 및 구조에 따라 로봇 선택이 가능
    • - 노약자 및 장애우 외에도 작업 형장에서 육중한 물건 이동이나 재해현장 구조 활동 등에서도 활용이 가능할 전망
    • CYBERDYNE의 HAL 제품
  • 라. 결론 및 시사점
    • 헬스케어 전 영역에서 ICT를 활용하고자 하는 수요가 점차 늘고 있으나ICT융합 의료기기 확산과 스마트 기기의 헬스케어 활용에 제도적인 장벽이걸림돌로 작용
    • 의료기기의 경우 FDA나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인허가 과정이 필요한 상황
    • 스마트기기 및 웨어러블 기기들은 인체 위해성이 낮은 1등급으로 단순 신고로허가되나 인체 위해성이 있거나 유효성이 요구되는 2~4 등급은 별도의 심사과정이 있어 향후 헬스케어 기능 고도화에 따라 심사가 불가피한 상황
    • 의료기기 등급 분류
    • 또한, 의료기기의 보조 역할을 하거나 모바일 기기를 의료기기화 하는모바일 앱 역시 의료기기에 준하는 규제를 적용하여 인허가를 받아야 하기때문에 제품 출시 주기가 빠른 스마트기기와의 충돌이 불가피
    • 따라서, ICT 융합 헬스케어 산업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제품 및 서비스의안정성을 유지하되 ICT 융합 헬스케어 산업 환경에 적합한 방향으로 제도적재정비가 필요한 시점
    • ICT와 헬스케어의 융합이 고령화, 의료비 부담 등 문제 해결과 동시에 신시장창출 효과를 기대하고 있으나 실제 소비자들은 전문가가 아닌 ICT 제품 및서비스를 통한 헬스케어에 대한 인식이 낮음
    • 국내외 주요 국가들이 다양한 지원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나 대다수의사람들은 ICT 기반의 자가진단 및 건강관리의 정확도에 대한 신뢰도가낮으며 신체에 이상이 있을 시 병원을 방문하는 방법을 선호
    • 관련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품질 보장수단의 불확실성과 고객 요구파악, UX 등 소비자 친화적인 부분의 부족 등이 주요 요인
    • - 대부분의 의료기기 업체들은 기존 전문가 및 의료기기 인증을 중심으로제품 및 서비스를 제공해왔기 때문에 소비자의 니즈 파악 역량이 부족
    • 최근 소비자 니즈 파악 역량을 지닌 ICT 기업들이 헬스케어 시장에 진출하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헬스케어 사업 경험 부족으로 ICT 융합 헬스케어시장 활성화는 어려운 상황
    • 국내 ICT와 헬스케어 융합 산업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제도 재정비를 통해제품/서비스 인증 체계를 구축하고 헬스케어 전문 기업들과 ICT 기업들 간의긴밀한 협조 및 공정한 경쟁 유도가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