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_webponent_chart id=124] [spri_webponent_grid id=133] * 자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SW융합 실태조사(2022.6) 주1) 2020년 조사시점 기준 [download id=22611]
[spri_webponent_chart id=124] [spri_webponent_grid id=133] * 자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SW융합 실태조사(2022.6) 주1) 2020년 조사시점 기준 [download id=22611]
자료) 중국 산업정보기술부(MIIT) 소프트웨어 및 정보기술 서비스업 주요지표(2022.1)
주1) SW제품, IT서비스, 정보보안, 임베디드 시스템SW에 해당하는 인력
자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가상증강현실산업 실태조사(2022.3)
자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가상증강현실산업 실태조사(2022.3)
주1) 연도별 VR/AR매출액 대비 활용 기술별 기여도(비중%)를 곱한 값으로 기술활용에 따른 중복을 고려한 값이며, 2021년은 추정치임
자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가상증강현실산업 실태조사(2022.3) 주1) 분야별 VR/AR수출액은 분야별 VR/AR매출액에 기업의 매출액 대비 수출액 비중을 곱한 값으로 실제 분야별 수출액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음
[spri_webponent_chart id=142] [spri_webponent_grid id=151] * 자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SW융합 실태조사(2022.6) 주1) 복수응답 주2) 각 년도 10월 조사시점 기준 수치임 [download id=22897]
[spri_webponent_chart id=152] [spri_webponent_grid id=158] * 자료) 산업통상자원부 이러닝산업실태조사(2022.5)
[spri_webponent_chart id=153] [spri_webponent_grid id=159] * 자료) 산업통상자원부 이러닝산업실태조사(2022.5)
[spri_webponent_chart id=154] [spri_webponent_grid id=160] * 자료) 산업통상자원부 이러닝산업실태조사(2022.5)
[spri_webponent_chart id=113] [spri_webponent_grid id=122] * 자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SW산업실태조사(2022.4) 주1) SW 전문인력은 SW사업 부문에 종사하는 인력에서 경영지원/전략기획, 영업/마케팅 인력을 제외한 연구소, 기술/사업부문, 운영, 고객지원서비스센터 인력을 의미함 주2) 전체는 광의의 SW산업을 의미하며, 패키지SW, IT서비스, 게임SW, 인터넷SW(정보서비스)를 포함 주3) 협의 SW는 협의의 SW산업을 의미하며, 패키지SW, IT서비스, 게임SW를 포함 주4) 인터넷SW(정보서비스)는 한국표준산업분류(KSIC 10차 개정) 기준 호스팅 및 관련 서비스업(63112), 포털 및 기타 인터넷 정보매개 서비스업(63120), 데이터베이스 및 온라인정보 제공업(63991)을 포함 [download id=22599]
[spri_webponent_chart id=93] [spri_webponent_grid id=85] * 자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SW산업실태조사(2022.4) 주1) SW 전문인력은 SW사업 부문에 종사하는 인력에서 경영지원/전략기획, 영업/마케팅 인력을 제외한 연구소, 기술/사업부문, 운영, 고객지원서비스센터 인력을 의미함 주2) 각 년도 10월 조사시점 기준 수치임 주3) 협의 SW는 협의의 SW산업을 의미하며, 패키지SW, IT서비스, 게임SW를 포함 주4) 인터넷SW(정보서비스)는 한국표준산업분류(KSIC 10차 개정) 기준 호스팅 및 관련 서비스업(63112), 포털 및 기타 인터넷 정보매개 서비스업(63120), 데이터베이스 및 온라인정보 제공업(63991)을 포함 주5) 전체는 광의의 SW산업을 의미하며, 패키지SW, IT서비스, 게임SW, 인터넷SW(정보서비스)를 포함 [download id=21921]
[spri_webponent_chart id=94] [spri_webponent_grid id=86] * 자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SW산업실태조사(2022.4) 주1) 상대표준오차(RSE)의 범위가 30%~60%인 경우(*로 표시)는 주의와 함께 이용 가능한 수치이며, 60% 이상인 경우(**로 표시)는 이용에 주의가 필요 주2) 한국표준직업분류(KSCO, 7차 개정)를 기준으로 분류하였으며, 일부 직종은 정책 목적에 따라 세분화 함 주3) 컴퓨터시스템 분석가 : 시스템 분석 및 설계, 네트워크 아키텍트 주4) SW개발자 : 시스템SW 개발, 응용SW 개발, 테스팅/품질관리 주5) 웹 전문가 : 웹개발, 웹/앱 UI/UX 디자인 주6) 정보 시스템 운영 및 지원 : 정보시스템 관리, 네트워크 운영지원, 웹 운영, 사용자 지원 주7) 데이터 전문가 : 데이터설계 및 프로그래머, 데이터 분석가, 데이터베이스 관리 [download id=219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