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허 지표를 활용한 주요국 AI기술 경쟁력 분석
이슈리포트 보기
글로벌 초거대 AI 모델 현황 분석(2024년 조사)
이슈리포트 보기
지역 소프트웨어산업 현황과 지역 주력산업 연계 성장 가능성 탐색
이슈리포트 보기
미국의 AI안전·신뢰성 정책 추진 현황과 시사점
이슈리포트 보기
소프트웨어 중심 자동차(SDV) 시대를 여는 길 - 소프트웨어와 생태계 협력
이슈리포트 보기

국가 소프트웨어 정책 Think Tank

SPRI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p>e-book 보기 AI BRIEF 딥시크(DeepSeek)의 등장과 영향 이슈 ISSUE 미국의 AI안전·신뢰성 정책 추진 현황과 시사점 COLUMN AI 서비스가 견인하는 디지털 산업 생태계 육성 포토에세이 PHOTO ESSAY 중간-이호준 포커스 FOCUS 트럼프 2.0 시대, 한국 ICT 서비스 산업의 도전과 기회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미국 사이버보안 정책방향 전망</p>
SW중심사회
<p>목차 Table of Contents Ⅰ. 인공지능 산업의 최신 동향 1. 정책/법제 ▹ 미국 국가AI자문위원회, 트럼프 행정부 대상 AI 정책 보고서 발간 ▹ 파리 AI 행동 정상회의, AI의 공공성·지속가능성과 함께 규제 완화 논의 ▹ EU 집행위원회, 경쟁력 강화 로드맵의 일환으로 AI 기가팩토리 구축 추진 ▹ EU 집행위원회, 2025년 업무 프로그램에서 ‘AI 책임 지침’ 철회 계획 발표 ▹ 영국, AI안전연구소의 명칭 AI보안연구소로 변경하고 앤스로픽과 AI 협력 2. 기업/산업 ▹ 구글, 성능 개선한 ‘제미나이 2.0’ 제품군 확대 출시 ▹ 오픈AI, 심층 조사를 수행하는 에이전트 ‘딥 리서치’ 공개 ▹ 오픈AI, GPT-5 출시 로드맵 발표 및 GPT-4.5 프리뷰 공개 ▹ xAI, 최신 AI 모델 ‘그록 3’ 프리뷰 출시 ▹ 퍼플렉시티, 심층 조사와 분석을 수행하는 ‘딥 리서치’ 무료 출시 ▹ 알리바바, 딥시크 V3 능가하는 성능의 ‘큐원2.5-Max’ 출시 ▹ 아크 인베스트, 2025년 혁신 기술 중 하나로 AI 에이전트 선정 3. 기술/연구 ▹ 상하이교통大 연구진, 소량의 고품질 데이터를 활용한 추론 AI 모델 개발 ▹ 스탠포드大와 워싱턴大 연구진, 저비용으로 고성능 추론 AI 모델 개발 ▹ 바이트댄스, 인물 움직임을 생성하는 AI 모델 ‘옴니휴먼-1’ 개발 ▹ AI안전센터와 스케일 AI, 고난도 벤치마크 ‘HLE’ 공개 4. 인력/교육 ▹ 딜로이트 조사 결과, 전 세계 기업들은 점진적으로 AI 도입 확대 ▹ 마이크로소프트 연구 결과, 생성 AI 신뢰할수록 비판적 사고 감소 ▹ 앤스로픽, AI가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앤스로픽 경제 지수’ 공개 ▹ 앤스로픽을 비롯한 여러 기업들, 입사 지원 시 AI 도구 사용금지 요구</p>
AI 브리프
<p>인공지능(AI)이 직·간접적으로 국가 생산성을 높이고 국가의 미래 경쟁력을 결정짓는 핵심 요소로 부상하면서, 각국은 AI 기술을 미래 경쟁력의 핵심으로 인식하여 대대적인 AI R&D 투자 및 생태계 조성을 위한 정책 추진 등 기술 주도권 확보를 위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글로벌 AI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가운데, 본 연구에서는 AI 시장 규모가 큰 미국(USPTO), 중국(CNIPA), 유럽(EPO) 등 3개 특허청에 등록된 특허정보를 수집하여 특허지표 분석을 실시하였다. 세계지식재산권기구(WIPO)의 AI 관련 특허정보 수집 방법에 따라 검색식을 작성하고 특허정보 데이터셋을 구축하였다. 이때 시간적 범위는 AI 기술 패러다임에 획기적인 변화를 가져온 AI 모델 ‘트랜스포머(Transformer)’가 등장한 2017년을 기점으로 하여, 연구시점 기준으로 온전한 통계 산출이 가능한 2023년 7월(출원일 기준)까지로 설정하였다. 국가별 AI 경쟁력을 평가하는 대표적 지수인 ‘토터스 미디어(Tortoise Media)’ 「글로벌 인공지능 지수(The Global AI Index)」의 상위 12개국(2024년 기준)을 분석 대상으로 설정하고, 국가별·연도별 등록특허의 양적 규모와 AI 기술개발 성과의 집중도, 기술적 역량, 영향력 등 질적 수준을 나타내는 특허지표별 측정 결과를 분석하였다. Executive Summary Artificial Intelligence (AI) stands as a pivotal enabler of national productivity and a decisive determinant of future competitiveness. Policymakers and industry leaders increasingly recognize the strategic importance of AI, dedicating substantial resources to research and development initiatives while enacting policies designed to nurture a thriving innovation ecosystem. This study aims to apply selected patent indicators to elucidate the state of AI technology worldwide and to evaluate the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of South Korea and major countries. Following the methodological framework established by the World Intellectual Property Organization (WIPO), we developed patent search queries that integrate both relevant classifications and specific keywords. The focus of this study rests on granted patents filed at the United States Patent and Trademark Office (USPTO), China National Intellectual Property Administration (CNIPA), and the European Patent Office (EPO) between January 2017 and July 2023. By examining a suite of patent indicators—covering dimensions such as quantitative scale, technology development intensity, technological capabilities, quality, and global influence—we provide a comparative evaluation of AI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across nations. This assessment includes 12 leading countries identified by the 2024 Global AI Index published by Tortoise Media, offering deeper insights into the varied trajectories of AI development and global competitiveness.</p>
이슈리포트
<p>제 1 장 조사개요 01. 조사 목적 02. 조사 연혁 03. 조사 개요 04. 조사 대상 및 모집단 구축 05. 주요 조사 내용 06. VR·AR산업 분류 07. 데이터 검증 08. 조사 회수 결과 제 2 장 조사결과 01. 응답기업 일반현황 02. 기업현황 03. 매출&판매 04. 수출 05. 인력 현황 06. 산업 현황 07. R&D 현황 제 3 장 부록 01. 용어해설 02. VR·AR산업 분류체계 연계표 및 해설서 03. 조사결과표 04. 조사표</p>
승인통계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