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이 창을 열지 않음 X
2025 APEC
오늘 하루 이 창을 열지 않음 X
2025 대한민국 가상융합산업대전
오늘 하루 이 창을 열지 않음 X
2025 대한민국 가상융합산업대전
SPRi Report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보기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연구보고서

산업경쟁력 강화의 원동력, 산업특화 소프트웨어의 성장 동인과 주요 사례
이슈리포트 보기

산업경쟁력 강화의 원동력, 산업특화 소프트웨어의 성장 동인과 주요 사례

DX 성공 전략의 재조명 :왜 ‘SW 인력’이 핵심인가?
이슈리포트 보기

DX 성공 전략의 재조명 : 왜 ‘SW 인력‘이 핵심인가?

과학을 위한 AI(AI4Science) 연구의 패러다임을 바꾸다
이슈리포트 보기

과학을 위한 AI(AI4Science) 연구의 패러다임을 바꾸다

AI 분야 글로벌 협력 현황 분석 - VC 투자 유치를 중심으로
이슈리포트 보기

AI 분야 글로벌 협력 현황 분석 - VC 투자 유치를 중심으로

메타버스-AI 공진화 전망과 시사점
이슈리포트 보기

메타버스-AI 공진화 전망과 시사점

SPRI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국가 소프트웨어 정책 Think Tank

SPRI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p>e-book 보기 포럼 FORUM 2025년 제62회 SPRi 포럼 – AI, ON! : 인재로 여는 미래 포토에세이 PHOTO ESSAY 중간-이호준 포커스 FOCUS AI가 바꾸는 창업, 디지털 기업가정신의 미래 유통 진화 이론으로 본 미래 커머스 전망: 산업혁명과 혁신에 따른 유통 트렌드 독자 AI 생태계를 어떻게 마련할 것인가?: 이재명 정부의 인공지능 정책에 대한 제언</p>
SW중심사회
<p>목차 Table of Contents 정책·법제 ▹ 이탈리아, EU 회원국 중 최초로 AI 법 발효 ▹ OECD, 공공과 민간 부문의 AI 투자 측정 방법론 제시 ▹ EU 집행위원회, EU를 AI 대륙으로 만들기 위한 ‘AI 적용’ 전략 발표 ▹ 두바이 정부, 디지털 혁신 가속화를 위한 신규 AI 프로젝트 승인 ▹ 중국인터넷정보센터, 2025년 생성 AI 응용 발전 보고서 발표 ▹ 영국 과학혁신기술부, AI 혁신 촉진을 위한 규제 샌드박스 추진 기업·산업 ▹ 오픈AI, 차세대 동영상 생성 모델 ‘소라 2’ 출시 ▹ 앤스로픽, ‘클로드 소네트 4.5’와 ‘클로드 하이쿠 4.5’ 출시 ▹ 오픈AI, 챗GPT에 외부 앱 실행 기능 추가 ▹ 피규어 AI, 3세대 휴머노이드 로봇 ‘피규어 03’ 공개 ▹ AWS, 기업용 에이전트 서비스 ‘퀵 스위트’ 출시 ▹ 세일즈포스, 기업용 AI 에이전트 플랫폼 ‘에이전트포스 360’ 발표 ▹ 구글, 최신 동영상 생성 AI 모델 ‘비오 3.1’ 공개 ▹ 오픈AI, AI 내장 브라우저 ‘챗GPT 아틀라스’ 출시 ▹ 포레스터, 2026년에는 기업들이 AI 열풍을 벗어나 실용적 가치 추구 전망 기술·연구 ▹ 구글 딥마인드, 로봇용 AI 모델 ‘제미나이 로보틱스’ 1.5 발표 ▹ 사카나AI, 알고리즘 진화 프레임워크 ‘ShinkaEvolve’ 공개 ▹ 앤스로픽, AI 모델 안전성 평가 자동화 도구 ‘페트리’ 공개 ▹ 구글, 세포 분석을 위한 AI 모델 ‘C2S-스케일 27B’ 개발 인력·교육 ▹ 딜로이트, M&A에서 생성 AI 활용 현황 보고서 발표 ▹ 국제노동조합총연맹, AI가 노동조합에 미치는 영향 분석 주요행사일정</p>
AI 브리프
<p>최근 산업의 고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인 산업특화 소프트웨어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2011년부터 2020년까지 10년 간 1.4배 성장하는데 그쳤으나, 2021년 이후 5년 사이 2.3배나 성장했다. 산업특화 소프트웨어의 시장 성장 동인을 (1)공급, (2)수요, (3)기술로 구분하여 2020년을 기점으로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장 공급 관점에서 과거의 산업특화 소프트웨어 기업은 산업별로 명확히 구분되어 소프트웨어 기업의 타산업 진출 및 성장을 제한했다. 하지만 빅테크 기업을 중심으로 산업특화 클라우드 플랫폼(Vertical PaaS)을 제공하면서 클라우드 기반의 산업특화 소프트웨어(Vertical SaaS)를 제공하는 기업이 증가했고 산업간 경계가 희미해졌으며, 중소기업의 산업특화 소프트웨어 사용을 촉발하고 있다. 둘째, 시장 수요 관점에서 과거의 산업특화 소프트웨어는 대기업의 일부 부서에서 특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보완적 도구로 활용된 반면, 소프트웨어 중심의 산업 패러다임(Software Defined X)이 전 산업으로 확장되면서 점차 기업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 경쟁 무기로 탈바꿈하고 있다. 셋째, 기술 관점에서 그동안의 산업특화 소프트웨어는 특정 기업이 오랜 기간 시장을 독과점하면서 신규 사업자의 진입을 저해하고 기술 혁신을 위축시켜왔다. 하지만 2020년 이후 산업별 데이터를 학습하여 산업고유의 난제를 해결하는 AI 기반의 산업특화 소프트웨어 기업이 등장하면서 경쟁 환경이 역동적으로 변화하고 가치 혁신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다양한 환경에서 상이한 용도로 활용되는 산업특화 소프트웨어 사례를 분석하여 산업 경쟁력 강화의 원동력인 산업특화 소프트웨어 활성화를 위해 다음과 같은 정책적 제언을 도출했다./p> 우선, 대-중소기업의 산업특화 소프트웨어 활용 수준을 높이기 위해 산업특화 클라우드 활성화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산업별 데이터 및 클라우드 플랫폼 구축, 클라우드 도입을 저해하는 제도의 개선, 중소기업 기업의 클라우드 활용 지원 정책 등을 고려해볼 수 있다. 또한 AI 기반의 산업특화 소프트웨어 개발을 촉진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산업특화 AI 스타트업 육성 지원, AI 컴퓨팅 인프라의 운영관리에 필요한 기반 소프트웨어 기술력 제고, AI 기술력을 다양한 산업특화 소프트웨어 개발로 연결하기 위한 부처 간 긴밀한 협력 등이 필요하다. 끝으로 협력적 소프트웨어 혁신을 통해 산업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아 한다. 다수의 산업특화 소프트웨어에 탑재되는 공통 모듈의 통합 개발, 동종업계의 기업이 협력하여 산업특화 소프트웨어를 함께 개발하는 오픈소스 프로젝트 운영 등을 고려해볼 수 있다.</p>
이슈리포트
2024 SW융합 실태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SPRi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승인통계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