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120

전략적 오픈소스 역량 확보를 위한 거버넌스 연구

  • 권영환산업정책연구실 책임연구원
  • 김항규SW기반정책·인재연구실 선임연구원
날짜2022.05.24
조회수9188
글자크기
요약문 상세

참여연구원 : 권영환, 김항규, 김지은

    • 1. 제 목: 전략적 오픈소스 역량 확보를 위한 거버넌스 연구
    • 2. 연구 목적 및 필요성
    • 오픈소스 생태계가 SW 기술과 산업 혁신의 중심으로 부상됨에 따라 오픈소스 역량을 갖춘 글로벌 기업들이 SW 생태계 변화를 주도하고 있다. 이들 기업들은 오픈소스 기술 내재화와 SW 혁신 주도를 위해 오픈소스 생태계에 적극 참여하고 있으며, 효율적이고 전략적인 오픈소스 생태계 참여를 위해 관리와 지원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 이러한 글로벌 동향에 맞추어 우리 정부는 SW진흥법 전면 개정을 통해 SW 기술 역량 강화를 위한 공개SW(오픈소스) 연구개발 활성화를 추진하고 있다. 오픈소스 활성화를 위한 전방위적인 지원 정책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정부의 오픈소스 활성화 정책을 고도화하기 위해서 글로벌 기업과 주요국의 전략적인 오픈소스 역량 확보를 위한 거버넌스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 3. 연구의 구성
    • 본 연구는 그림 1과 같이 총 5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선 서론에서 본 연구 내용과 방법을 소개한다.
    • 2장은 오픈소스 생태계 변화에 따른 체계적인 오픈소스 관리 필요성과 이로 인한 오픈소스 거버넌스의 구성요소를 도출한다. 도출한 오픈소스 거버넌스의 구성요소는 3장 해외 조사와 4장 심층 인터뷰를 위한 프레임워크로써 활용하였다.
    • 3장은 해외 오픈소스 거버넌스 사례로써 주요 오픈소스 거버넌스 체계, 주요 기업 사례, 주요국 현황에 대해 2장에서 도출한 오픈소스 거버넌스의 구성요소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 4장은 국내 전문가 심층 인터뷰로 국내 전문가를 대상으로 2장의 오픈소스 거버넌스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국내 현황을 분석하였다.
    • 5장은 국내외 오픈소스 거버넌스 사례 분석을 토대로 오픈소스 역량 강화를 위해 필요한 거버넌스 시사점들을 제시하였다.
    • 마지막으로 6장에서 본 보고서를 마무리한다.
    • 그림 1 연구 구성 및 방법
    • 4. 연구 내용 및 결과
    • 2020년 IDG 보고서에 의하면 국내 기업의 95%가 오픈소스를 기업 IT 환경에 도입하고있거나 도입을 검토하는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기업들이 오픈소스를 활용하는 주요 이유는 IT 비용 절감(63%), 비즈니스 변화에 따른 민첩한 IT 환경 지원(35%), 벤더 종속성 탈피(26%), 클라우드 전환(26%), 오픈소스 기반 솔루션 도입(18%)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McKinsey 보고서는 상위 25% 기업의 SW 개발 속도 향상에 미치는 가장 큰 요소로 오픈소스 활용이라고 제시하였다. 이와 같이 오픈소스 활용의 장점으로 통상적인 비용 절감 외에 민첩한 시장 대응, 부족한 내부 역량(인공지능, 클라우드, 빅데이터, 등) 보완을 통한 혁신 가속화 효과가 최근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 유럽 위원회(European Commission) 보고서는 오픈소스가 유럽 경제에 미치는 효과가 650 억 유로(약 88조원)에서 950억 유로(약 128조원)에 이를 것으로 분석하였다. 영국의 오픈소스 분석 보고서에 의하면 오픈소스가 영국의 산업에 미치는 비용 절감 효과가 약 157억 파운드(약 22조원)에 이르고 영국 전체에 미치는 잠재적 효과가 465억 파운드(약 74조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 오픈소스의 중요성이 커짐에 따라 전략적 오픈소스 활용이 주목받고 있으며 리눅스 재단은 오픈소스 전략을 그림 2와 같이 4단계(Consumer, Participant, Contributor, Leader)로 구분하고 있다. 그리고 4단계의 오픈소스 전략은 순차적인 고도화가 가능하며, 고도화를 위해서는 오픈소스 도입 검토, 규정 및 절차 마련, 내부 조직 구성, 인프라 구축, 오픈소스 인력 확보와 교육, 외부 협력을 위한 오픈소스 역량 강화를 위한 관리 및 지원 체계가 필요하다. 그리고, 이러한 체계에는 오픈소스 활용에 따른 위험 관리 기능도 포함하고 있다.
    • 그림 2 오픈소스 전략의 단계와 고도화 방안
    • 오픈소스 역량 강화와 위험 관리를 위한 오픈소스 프로그램 필요성에 대한 조사 결과에서 조사 대상의 약 80%는 오픈소스 프로그램이 기업의 SW 실무에 긍정적 효과를 미치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그리고 조사 대상의 63%는 오픈소스 프로그램이 개발 및 사업 부서의 사업적 성공에 중요하다고 응답할 정도로 오픈소스 활용과 개발을 담당하는 조직에서 오픈소스관리와 지원 필요성을 크게 느끼고 있었다.
    • 오픈소스 생태계에서는 오픈소스 관리와 지원 체계를 오픈소스 거버넌스라고 한다. 그리고 오픈소스 거버넌스는 그림 3의 (a)와 같이 조직의 목표 달성과 성과 창출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제고를 위해 조직의 오픈소스 관련 활동들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지원하는 체계로 볼 수 있다. 오픈소스 거버넌스의 주요 기능을 파악하기 위해 대표 IT 거버넌스인 COBIT 2019와 리눅스 재단의 오픈소스 거버넌스 프레임워크 분석을 통해 그림 3의 (b)와 같이 오픈소스 거버넌스의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 그림 3 오픈소스 거버넌스와 구성요소
    • 오픈소스 전략과 정책은 외부 환경에 대한 분석과 내부 자원의 활용을 통해 경쟁 우위를 창출하는 활동으로 오픈소스 의사결정을 체계화하고 오픈소스 활동을 조직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구체적 목표 수립, 자원 배분 및 내외부 환경에 대한 분석, 전략 달성을 위한 성과 지표 등의 정책 방향을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 절차와 가이드는 오픈소스와 관련된 업무에 필요한 절차들(활용, 기여, 개발, 관리, 지원, 등)을 수립하고 수립된 절차를 확산하기 위한 세부 가이드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절차 수립과 가이드 제공은 조직의 오픈소스 관련 업무를 체계화하고 확산하기 위한 토대를 제공한다.
    • 조직 구조는 오픈소스 관련 업무의 조직내 역할 정의와 인력 배치 등을 고려한 효율적인 업무 분담을 위한 조직 구성 기능을 의미한다. 오픈소스 전략이 고도화됨에 따라 오픈소스 업무는 단순 개발 업무를 벗어나 기획, 법무, 홍보, 인사, 등의 다양한 업무 영역과의 협업이 중요해지고 있다. 따라서 새로운 오픈소스 업무에 대한 정의, 분담, 역량 개발, 협업 방식들을 새로 정의되어야 한다. 이러한 조직 구조 개선을 위해 글로벌 기업과 유럽 국가들은 오픈소스 프로그램 오피스(Open Source Prgoram Office) 구성하며 새로운 오픈소스 업무 정의와 함께 오픈소스 관리와 지원 업무를 전담하고 있다.
    • 기술 인프라는 오픈소스 관련 정보 제공 및 오픈소스 업무(SW 개발 환경, 오픈소스 관리, 등) 자동화를 위한 기술적 환경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조직 구성원들의 새로운 오픈소스 업무 숙련도 향상과 함께 오픈소스 업무 부담을 감경시킴으로써 새로운 업무에 대한 적응력 및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 개방형 문화는 오픈소스 전략, 정책, 절차, 규정, 등을 포함한 조직의 오픈소스 인식과 조직 구성원의 오픈소스 업무에 대한 이해도를 의미한다. 그리고 기존 폐쇄적인 SW 개발 문화와 달리 자유로운 소통, 적극적 피드백, 아이디어 공유와 같은 오픈소스 문화를 포함한 추상적인 개념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조직 구성원들이 오픈소스 중요성 인식 및 새로운 업무 방식에 대한 숙련이 필요하기 때문에 관련 교육을 통해 오픈소스 정보 전파 및 업무 절차 확산을 요구한다.
    • 마지막으로 평가와 통제는 기존에는 크게 주목을 받지 못한 기능이었지만 최근 전략적 오픈소스 활용이 강조되면서 중요해지고 있는 기능이다. 기업 성과 창출을 위해 오픈소스가 수단화가 되기 때문에 성과 달성 정도를 평가하고 통제하기 위한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실제로 오픈소스 프로젝트의 지속 가능성, 오픈소스 업무(깃허브 활동, 등)을 평가하는 도구들이 오픈소스 프로젝트로 개발되고 있으며 구글과 MS는 조직의 깃허브 활동에 분석하며 개인 업무 관리와 ROI 측정에 힘쓰고 있다.
    • 이러한 오픈소스 거버넌스의 구성요소를 바탕으로 글로벌 주요 오픈소스 거버넌스 체계, 해외 주요 기업, 해외 주요국 현황을 분석하였다. 글로벌 주요 오픈소스 거버넌스 체계에 대해 최근 주목받고 있는 오픈체인 프로젝트와 TODO 그룹의 체계와 함께 리눅스 재단의 상업적 오픈소스 인프라구조를 중심으로 표 1과 같이 정리하였다. 그리고 글로벌 주요 기업의 오픈소스 거버넌스 사례로 구글, MS, 레드햇을 사례들을 조사하여 표 2로 요약하였다.
    • 분석한 체계에서 공통적으로 오픈소스 거버넌스와 조직의 전략 및 목표의 연계성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다양한 오픈소스 업무 절차 수립 및 가이드 제공, 오픈소스 업무를 위한 조직 구성, 업무 효율화를 위한 기술 인프라 제공, 인식 제고를 위한 개방형 문화 확산과 함께 생산성 측정을 위한 성과 측정들이 포함되고 있었다.
    • 표1 글로벌 주요 오픈소스 거버넌스 체계
      글로벌 주요 오픈소스거버넌스 체계에 대한 테이블
      구성 요소 오픈체인 프로젝트 TODO 그룹 리눅스 재단
      전략 및 정책 - 조직의 오픈소스 목표 설정
      - 라이선스 준수를 위한 오픈소스 절차의 문서화
      - 오픈소스 비즈니스 모델 정보 제공
      - 오픈소스 프로그램 운영 강조
      - 오픈소스의 장점 및 비즈니스 모델
      - 오픈소스의 4가지 전략적 수단(활용, 참여, 기여, 주도)
      절차와 가이드 - 관리 업무 및 지원에 대한 절차
      - 관리 범위, 라이선스 의무사항, 등의 정보 제공
      - 오픈소스 프로그램 설립 및 주요 기능 소개
      * 오픈소스 전담 조직의 주요 업무
      - 정책 추진을 위한 내부 절차 수립 및 가이드 제공 필요
      * 오픈소스 선정, 관리, 기여 방안
      조직 구조 - 오픈소스 프로그램 운영 조직 및 조직 구성원 역할 및 역량 - OSPO는 오픈소스 관련 업무의 중심
      - 다양한 부처들과 협업 관게 구축
      - 오픈소스 프로그램 조직 구성 방안
      * 조직 리더의 역량
      * 오픈소스 전담 조직의 주요 업무
      기술 인프라 - 해당 프로젝트에서 관련 도구(SPDX, 등) 정보 제공 - 오픈소스 협업과 코드 개발 공간
      - 효율적 관리 및 업무 자동화 환경
      - 내외부 개발 환경 및 소통 인프라
      - 오픈소스 관리 자동화 환경
      개방형 문화 - 프로그램 참여자의 인식
      - 프로그램 미 준수시 영향
      - 오픈소스 커뮤니티 이해
      - 오픈소스 상용 생태계 구축 조건으로 성숙한 오픈소스 문화를 지목
      * 개방적인 오픈소스와 폐쇄적인 SW 비즈니스 연계 필요
      - 내부 인식 개선과 지식 전파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강조
      * 오픈소스 전략, 정책, 절차, 도구 등
      평가와 통제 - 오픈체인 인증을 위한 평가 항목 제시 - 오픈소스 ROI 개선, 생산성 향상, 문화 개선을 위한 오픈소스 프로그램의 성과 평가 필요성 제기
      - Angur, Bitergia, CHAOSS 같은 오픈 소스 프로젝트 지표 및 관리 프로젝스 정보 제공
      - 오픈소스 특성을 고려한 평가와 관리 필요성 제기
      * 평가 목적: 오픈소스 프로젝트, 기여도, 협력 평가 등
      * gitdm, GrimorieLab을 활용하여 리눅스 커널 연간 보고서 자료 확보
    • 표2 글로벌 주요 기업의 오픈소스 거버넌스
      글로벌 주요 기업(구글, MS, 레드헷)의 오픈소스 거버넌스 관련 테이블
      구성요소 구글 MS 레드햇
      전략 및 정책 - 내부 혁신 및 SW 생태계 확산에 기여
      - 오픈소스 뿐만 아니라 생태계 전반에 걸친 지원 프로그램 제공
      - 2014년 CEO가 오픈소스에 친화적인 전략 공개 선언
      - 핵심 SW를 오픈소스화
      - 오픈체인 2.0 준수
      - 오픈소스 기반으로 상용SW 솔루션과 기술지원 서비스 제공
      - 오픈소스 개발 모델 장려, 전문가 구인, 개방형 조직 문화
      절차와 가이드 - 크게 개발(Creating), 사용(Using), 성장(Growing) 관련 다양한 절차 소개 - Using, Contributing, Releasing 절차 수립
      - Tools&Resources)에 대한 가이드 제공
      - OSPO, 오픈소스 추진/평가/참여/이슈 추적, 보안 취약점 관리, 등의 잘차 소개
      조직 구조 - 2016년 이전 OSPO 구축
      - 내부 관리와 외부 협력 업무(컨퍼런스 발표, 홍보, 마케팅 등)
      - OSPO를 중심으로 명확한 정책, 체크 리스트, 가이드 제공
      - 오픈소스 집행 위원회, 오픈소스 챔스, 1ES
      - 비즈니스 목표 달성을 위해 CTO 산하에 OSPO를 조직
      - 오픈소스 업무 체계화 및 부서간 협업 체계 구축
      기술 인프라 - 오픈소스 업무 지원 도구 및 자동화 추진
      * Arian(일정 및 승인 관리), 내부 저장소 (Git-on-Borg), Cross (분석), google3(내부 소스 저장소), 이슈 추적(GitHub Issue Tracking), 등 다양한 도구 활용
      - 업무 관리 및 효율 향상을 위해 애저 기반 자동화 환경
      * ClearyDefined(오픈소스 정보), CLAAssistant(기여지 관리), GHCrawler(깃허브 정보 수집), Azure Board(비즈니스 점검)
      - 깃허브 활용한 공개 협업, Open Decision Framework, 오픈소스 학습 플랫폼, DevOps 전사 적용, 등
      개방형 문화 - 외부 협력 강화를 위한 29개의 단체 및 학교 지원, 학생 지원 프로그램제공
      - 다양한 행사 개최
      - 절차 간소화, 업무 환경 자동화, 의사결정 구조 개선
      - 21개의 오픈소스 프로젝트 및 24개의 재단을 공식 지원
      - 개방형 조직 문화를 많이 강조
      * 오픈소스 문화와 함께 조직의 절차, 소통, 구조 등 체계 혁신을 추진
      평가와 통제 - BigQuery, GH Archive 활용하여 오픈소스 활동 분석
      - 70,000개의 오픈소스 프로젝트 참여 및 40,000개 이상 프로젝트 기여
      - 깃허브 정보 분석을 통해 오픈소스 관련 부서 목표, 업무 효율성 분석 및 일일 관리를 추진하여 오픈소스 ROI 분석
      추진
      - 프로젝트 건강성 체크리스크 공개
      - 비즈니스 성과 측정(OKR) 및 오픈소스 활동 모니터링
    • 주요국의 오픈소스 거버넌스 현황은 주로 공공행정 분야에서 비용 절감, 내부 혁신, 공공서비스 개선 목적의 장기적인 오픈소스 활성화 정책 추진을 위해 오픈소스 거버넌스가 구축되고 있다. 미국은 2016년 연방 소스코드 정책을 발표하고 오픈소스 개발의 최소 기준 20%를 권장하며 오픈소스 플랫폼 Code.gov를 구축하여 각 부처의 준수 여부를 관리·공개하고 있다.
    • EU는 오픈소스SW 전략 2020-2023을 발표하면서 유럽 회원국에 오픈소스 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OSPO 설립과 역량센터 개설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영국은 기존의 오픈소스 정책의 세부 지침을 담은 기술 가이드 “Be open and use open source”를 2017년에 제시하였고 오픈소스 전담 조직인 CDDO를 신설함으로써 오픈소스 정책 및 전략적 기능을 강화하였다.
    • 프랑스는 공공에서 개발한 소스코드를 행정문서로 취급하고 이를 공개해야 하는 디지털공화국법에 제정하였으며 오픈소스 커뮤니티인 BlueHats 지원, 공공 소스코드 플랫폼 code.gouv.fr 구축과 15개 부처의 AMDAC(Departmental Data, Algorithm and Source Code, 부서 데이터, 알고리즘, 소스코드 관리자) 임명 등 다양한 정책 추진으로 오픈소스 거버넌스 기반을 조성하였다.
    • 독일은 연방부처·기관 및 지방정부에서의 자체적인 오픈소스 전략을 통해 오픈소스 프로젝트 추진, 가이드 배포가 추진되었으며 2021년 디지털 주권 강화 전략 발표로 오픈소스 전담 조직 ZenDis 신설, 오픈소스 플랫폼 구축 등 연방정부 주도의 정책을 구체화하였다. 이탈리아는 디지털행정법과 3개년 IT전략을 기반으로 오픈소스 정책을 추진하며 공공행정 분야에서 오픈소스 구매·재사용 가이드, 오픈소스 문화 확산을 위한 Developers Italia, 오픈소스 역량센터 CCROS(Centro di Competenza per il Riuso e l'Open Source) 등 오픈소스 거버넌스 기반을 조성하고 있다.
    • 국내 현황 파악을 위해 오픈소스 거버넌스의 6가지 구성요소에 해당하는 전략과 정책, 절차와 가이드, 조직 구조, 기술 인프라, 개방형 문화, 평가 및 통제에 대하여 오픈소스 분야에서 종사하는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반구조화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우선 1차 인터뷰에서 오픈소스 거버넌스의 정의와 구성요소를 구체화하면서 국내 현황 파악을 위한 2차 인터뷰 항목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2차 인터뷰를 진행하면서 오픈소스 거버넌스에 대한 국내 현황을 파악하면서 표 4로 시사점과 같이 요약하였다.
    • 표4 심층 인터부를 통한 국내 현황 및 시사점
      심층 인터부를 통한 국내 현황 및 시사점에 대한 테이블
      거버넌스 구성요소 심층인터뷰 주요 결과
      전략과 정책 - 사업 목표(비용절감, 시장 창출, 협업, 등)와 연계된 오픈소스 전략이 중요
      - 제품/서비스 별 기술 동향(오픈소스 vs 상용SW), 비즈니스 모델, 내부 역량, 제품/서비스 특성을 고려한 구체화 전략 필요
      - 하지만, 위험 관리와 오픈소스 업무 지원 기능은 전사적 제공이 필요할 수 있음
      절차와 가이드 - 오픈소스 혁신을 인한 기존 업무 절차 개선 (효율성 향상, 위험 예방)과 확산을 위한 가이드 제공 필요
      - 조직 특성을 고려한 명확하고 유연한 수립과 상세 가이드 제공은 전문성을 요구함
      조직구조 - 오픈소스 업무 다변화(개발 -> 관리, 지원)에 따른 업무 담당 정의
      - 기존 관리 및 지원 업무(기획, R&D, 법무, 마케팅, 인사, 등)에 오픈소스 특성 고려한 업무 배분 필요 (오픈소스 전문가 필요)
      - 전담조직은 대기업에게 필요하지만 중소기업은 비효율적일 수 있음
      - 전담조직은 오픈소스 업무의 중심축으로 다양한 부서 협력 필요
      기술 인프라 - 자동화 환경 구축을 통한 효율적 업무 수행 및 체계화 가능(위험 예방)
      - 작은 규모의 조직에게는 빠른 기술 변화에 대처가 가능하지만 큰 규모는 신중한 접근(다양성 제공) 필요
      개방형 문화 - 업무 수행 방식으로써의 오픈소스 문화가 중요해지고 있음
      - 수직적이고 체계적인 대기업 환경 보다는 수평적인 스타트업에게 유리
      - 인식 개선, 절차 변화, 교육이 모두 필요하며 문화 개선에 시간이 필요
      평가 및 통제 - 다양한 성과 지표(비용 절감, 매출 기여, 위험 관리, 이슈 해결)가 있으며 이는 조직 특성에 따라 차별화됨
      - 정량적 업무 성과 평가에는 어려움이 있지만, 개발자 사기 진작 차원의 오픈소스 개발 기여에 대한 포상 제도는 보편적으로 제공
    • 이러한 국내외 오픈소스 거버넌스 분석을 통해 그림 2와 같은 오픈소스 거버넌스 프레임 워크를 제시하며 오픈소스 역량 강화를 위한 거버넌스 관점의 6가지 시사점들을 도출하였다.
    • ① 성과 창출을 위한 오픈소스 전략의 다변화
    • ② 구체적인 오픈소스 업무의 체계화 필요
    • ③ 업무 효율성 향상을 위한 가이드 및 기술 인프라 제공
    • ④ 개방형 문화 확산을 성과 평가의 중요성
    • ⑤ 오픈소스 거버넌스 진화로 인한 OSPO의 역할 확대
    • ⑥ 단계별 오픈소스 거버넌스 구축 필요
    • 그림 2 오픈소스 거버넌스 프레임워크
    • 5. 정책적 활용 내용
    • 오픈소스 생태계는 SW 기술 혁신과 산업 혁신을 주도하고 있으며 이제 다양한 산업 분야로 확장되고 있다. 최근 우리나라는 디지털 선도국 도약을 위한 글로벌 수준의 SW 신기술 역량 확보가 중요하기 때문에 적극적인 오픈소스 생태계 참여가 필요하다. 이미 글로벌 기업과 해외 주요국은 오픈소스 생태계 참여를 통해 SW 신기술 혁신을 주도하고 있으며 이를 활용하여 미래 산업의 영향력을 강화하고 있다. 과거와 달리 오픈소스 생태계 참여는 개발 업무를 넘어서 조직의 전략적이고 체계적인 접근을 요구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오픈소스 거버넌스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 본 연구는 오픈소스 연구개발 활성화를 위한 글로벌 기업 동향 및 주요국 현황을 오픈소스 거버넌스 관점에서 분석하여 오픈소스 역량 강화를 위한 최신 정보와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물은 글로벌 SW 역량 확보를 위해 오픈소스가 활용되는 산업 및 R&D 분야의 글로빌 기술 확보 및 경쟁력 확보를 위한 정책 수립을 위한 참고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다.
    • 6. 기대효과
    • 전 산업에 걸쳐 오픈소스 활용과 개발이 중요해짐에 따라 본 연구에서 제언하는 오픈소스 거버넌스 시사점은 국가 SW 경쟁력 강화와 디지털 전환 시대의 핵심 기술인 인공지능, 빅데이터, 클라우드, 5G 등의 신기술 확보를 위한 연구개발 사업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개선하는 정책의 밑거름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정책들의 성공적 시행은 직접적으로는 국가 SW 경쟁력 확보에 기여할 수 있으며 간접적으로는 성공적인 국가 디지털 전환에 기여함으로써 디지털 선도 국가 도약의 기반 확보에 도움이 될 수 있다.
    • 또한 오픈소스 활용 및 개발을 추진하고자 하는 산학연 모두에게 전략적이고 체계적인 오픈소스 업무 체계 구축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함으로써 국가 산업 기반 강화 및 글로벌 SW 경쟁력 확보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Summary
    • 1. Title: Governance Study to Securing Strategic Open Source Capabilities
    • 2. Purpose and Necessity of the Research
    • As the open source ecosystem emerges as the center of software technology and industry innovation, global companies with open source capabilities are leading the change in the software ecosystem. These companies are actively participating in the open source ecosystem to internalize open source technology and lead SW innovation, and are building a management and support system for efficient and strategic participation in the open source ecosystem.
    • In line with these global trends, the Korean government is promoting open software (open source) research and development to strengthen SW technology capabilities through the full revision of the SW Promotion Act. It provides an all-round support policy for activating open source. Therefore, in order to advance the government's open source activation policy, we intend to draw implications by analyzing the governance for securing strategic open source capabilities of global companies and major countries.
    • 3. Composition and Range
    • This study consists of 5 chapters as shown in Figure 1. First, the contents and methods of this study are introduced in the introduction.
    • Chapter 2 derives the need for systematic open source management according to changes in the open source ecosystem and the components of open source governance. The derived components of open source governance were used as a framework for overseas research in Chapter 3 and in-depth interview in Chapter 4.
    • Chapter 3 is an overseas open source governance case, and the main open source governance system, major corporate cases, and the status of major countries are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omponents of open source governance derived from Chapter 2.
    • Chapter 4 is an in-depth interview with domestic experts, and the domestic situation is analyzed focusing on open source governance components in Chapter 2 targeting domestic experts.
    • Chapter 5 presents the necessary governance implications for strengthening open source capabilities based on the analysis of domestic and foreign open source governance cases.
    • Finally, Chapter 6 concludes this report.
    • Figure 1 Research Composition and Method
    • 4. Main Contents and Results
    • TBD
    • 5. Political Usage
    • The open source ecosystem is leading SW technology innovation and industrial innovation, and is now expanding into various industrial fields. In recent years, Korea needs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open source ecosystem because it is important to secure global-level SW technology capabilities for a leap forward as a digital leader.
    • Global companies and major foreign countries are already leading the innovation of new software technologies through participation in the open source ecosystem, and using this, they are strengthening the influence of future industries. Unlike the past, participation in the open source ecosystem requires an organization's strategic and systematic approach beyond development work, and the importance of open source governance is being emphasized for this purpose.
    • This study presents the latest information and implications for reinforcing open source capabilities by analyzing global corporate trends and the current status of major countries from the perspective of open source governance for revitalizing open source R&D.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reference materials for establishing policies for securing Gloville technology and competitiveness in industries and R&D fields where open source is used to secure global SW capabilities.
    • 6. Research Implication and Expected Effects
    • As the use and development of open source becomes more important across all industries, the implications of open source governance suggested in this study are to strengthen national SW competitiveness and secure new technologie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big data, cloud, and 5G, which are core technologies in the era of digital transformation. It can serve as a basis for policies that improve the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of R&D projects.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se policies can directly contribute to securing national SW competitiveness and indirectly contribute to successful national digital transformation, helping to secure the foundation for a digital leading nation.
    • In addition, it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strengthening the national industrial base and securing global SW competitiveness by providing implications for the establishment of a strategic and systematic open source work system to both industry, academia and research institutes who want to promote the use and development of open source.
목차 상세
    • 제1장 서론
    • 제1절 연구 배경
    •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 제2장 오픈소스 거버넌스
    • 제1절 오픈소스 관리 필요성
    • 제2절 오픈소스 거버넌스와 구성 요소
    • 제3장 해외 오픈소스 거버넌스 분석
    • 제1절 주요 오픈소스 거버넌스 체계
    • 제2절 주요 해외 기업 사례
    • 제3절 해외 주요국 현황
    • 제4절 요약 및 시사점
    • 제4장 국내 전문가 심층 인터뷰
    • 제1절 심층 인터뷰 설계
    • 제2절 심층 인터뷰 주요 내용
    • 제3절 심층 인터뷰 시사점
    • 제5장 오픈소스 역량 강화를 위한 시사점
    • 제6장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