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연구원 : 권영환, 김항규, 김지은
구성 요소 | 오픈체인 프로젝트 | TODO 그룹 | 리눅스 재단 |
---|---|---|---|
전략 및 정책 | - 조직의 오픈소스 목표 설정 - 라이선스 준수를 위한 오픈소스 절차의 문서화 |
- 오픈소스 비즈니스 모델 정보 제공 - 오픈소스 프로그램 운영 강조 |
- 오픈소스의 장점 및 비즈니스 모델 - 오픈소스의 4가지 전략적 수단(활용, 참여, 기여, 주도) |
절차와 가이드 | - 관리 업무 및 지원에 대한 절차 - 관리 범위, 라이선스 의무사항, 등의 정보 제공 |
- 오픈소스 프로그램 설립 및 주요 기능 소개 * 오픈소스 전담 조직의 주요 업무 |
- 정책 추진을 위한 내부 절차 수립 및 가이드 제공 필요 * 오픈소스 선정, 관리, 기여 방안 |
조직 구조 | - 오픈소스 프로그램 운영 조직 및 조직 구성원 역할 및 역량 | - OSPO는 오픈소스 관련 업무의 중심 - 다양한 부처들과 협업 관게 구축 |
- 오픈소스 프로그램 조직 구성 방안 * 조직 리더의 역량 * 오픈소스 전담 조직의 주요 업무 |
기술 인프라 | - 해당 프로젝트에서 관련 도구(SPDX, 등) 정보 제공 | - 오픈소스 협업과 코드 개발 공간 - 효율적 관리 및 업무 자동화 환경 |
- 내외부 개발 환경 및 소통 인프라 - 오픈소스 관리 자동화 환경 |
개방형 문화 | - 프로그램 참여자의 인식 - 프로그램 미 준수시 영향 - 오픈소스 커뮤니티 이해 |
- 오픈소스 상용 생태계 구축 조건으로 성숙한 오픈소스 문화를 지목 * 개방적인 오픈소스와 폐쇄적인 SW 비즈니스 연계 필요 |
- 내부 인식 개선과 지식 전파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강조 * 오픈소스 전략, 정책, 절차, 도구 등 |
평가와 통제 | - 오픈체인 인증을 위한 평가 항목 제시 | - 오픈소스 ROI 개선, 생산성 향상, 문화 개선을 위한 오픈소스 프로그램의 성과 평가 필요성 제기 - Angur, Bitergia, CHAOSS 같은 오픈 소스 프로젝트 지표 및 관리 프로젝스 정보 제공 |
- 오픈소스 특성을 고려한 평가와 관리 필요성 제기 * 평가 목적: 오픈소스 프로젝트, 기여도, 협력 평가 등 * gitdm, GrimorieLab을 활용하여 리눅스 커널 연간 보고서 자료 확보 |
구성요소 | 구글 | MS | 레드햇 |
---|---|---|---|
전략 및 정책 | - 내부 혁신 및 SW 생태계 확산에 기여 - 오픈소스 뿐만 아니라 생태계 전반에 걸친 지원 프로그램 제공 |
- 2014년 CEO가 오픈소스에 친화적인 전략 공개 선언 - 핵심 SW를 오픈소스화 - 오픈체인 2.0 준수 |
- 오픈소스 기반으로 상용SW 솔루션과 기술지원 서비스 제공 - 오픈소스 개발 모델 장려, 전문가 구인, 개방형 조직 문화 |
절차와 가이드 | - 크게 개발(Creating), 사용(Using), 성장(Growing) 관련 다양한 절차 소개 | - Using, Contributing, Releasing 절차 수립 - Tools&Resources)에 대한 가이드 제공 |
- OSPO, 오픈소스 추진/평가/참여/이슈 추적, 보안 취약점 관리, 등의 잘차 소개 |
조직 구조 | - 2016년 이전 OSPO 구축 - 내부 관리와 외부 협력 업무(컨퍼런스 발표, 홍보, 마케팅 등) |
- OSPO를 중심으로 명확한 정책, 체크 리스트, 가이드 제공 - 오픈소스 집행 위원회, 오픈소스 챔스, 1ES |
- 비즈니스 목표 달성을 위해 CTO 산하에 OSPO를 조직 - 오픈소스 업무 체계화 및 부서간 협업 체계 구축 |
기술 인프라 | - 오픈소스 업무 지원 도구 및 자동화 추진 * Arian(일정 및 승인 관리), 내부 저장소 (Git-on-Borg), Cross (분석), google3(내부 소스 저장소), 이슈 추적(GitHub Issue Tracking), 등 다양한 도구 활용 |
- 업무 관리 및 효율 향상을 위해 애저 기반 자동화 환경 * ClearyDefined(오픈소스 정보), CLAAssistant(기여지 관리), GHCrawler(깃허브 정보 수집), Azure Board(비즈니스 점검) |
- 깃허브 활용한 공개 협업, Open Decision Framework, 오픈소스 학습 플랫폼, DevOps 전사 적용, 등 |
개방형 문화 | - 외부 협력 강화를 위한 29개의 단체 및 학교 지원, 학생 지원 프로그램제공 - 다양한 행사 개최 |
- 절차 간소화, 업무 환경 자동화, 의사결정 구조 개선 - 21개의 오픈소스 프로젝트 및 24개의 재단을 공식 지원 |
- 개방형 조직 문화를 많이 강조 * 오픈소스 문화와 함께 조직의 절차, 소통, 구조 등 체계 혁신을 추진 |
평가와 통제 | - BigQuery, GH Archive 활용하여 오픈소스 활동 분석 - 70,000개의 오픈소스 프로젝트 참여 및 40,000개 이상 프로젝트 기여 |
- 깃허브 정보 분석을 통해 오픈소스 관련 부서 목표, 업무 효율성 분석 및 일일 관리를 추진하여 오픈소스 ROI 분석 추진 |
- 프로젝트 건강성 체크리스크 공개 - 비즈니스 성과 측정(OKR) 및 오픈소스 활동 모니터링 |
거버넌스 구성요소 | 심층인터뷰 주요 결과 |
---|---|
전략과 정책 | - 사업 목표(비용절감, 시장 창출, 협업, 등)와 연계된 오픈소스 전략이 중요 - 제품/서비스 별 기술 동향(오픈소스 vs 상용SW), 비즈니스 모델, 내부 역량, 제품/서비스 특성을 고려한 구체화 전략 필요 - 하지만, 위험 관리와 오픈소스 업무 지원 기능은 전사적 제공이 필요할 수 있음 |
절차와 가이드 | - 오픈소스 혁신을 인한 기존 업무 절차 개선 (효율성 향상, 위험 예방)과 확산을 위한 가이드 제공 필요 - 조직 특성을 고려한 명확하고 유연한 수립과 상세 가이드 제공은 전문성을 요구함 |
조직구조 | - 오픈소스 업무 다변화(개발 -> 관리, 지원)에 따른 업무 담당 정의 - 기존 관리 및 지원 업무(기획, R&D, 법무, 마케팅, 인사, 등)에 오픈소스 특성 고려한 업무 배분 필요 (오픈소스 전문가 필요) - 전담조직은 대기업에게 필요하지만 중소기업은 비효율적일 수 있음 - 전담조직은 오픈소스 업무의 중심축으로 다양한 부서 협력 필요 |
기술 인프라 | - 자동화 환경 구축을 통한 효율적 업무 수행 및 체계화 가능(위험 예방) - 작은 규모의 조직에게는 빠른 기술 변화에 대처가 가능하지만 큰 규모는 신중한 접근(다양성 제공) 필요 |
개방형 문화 | - 업무 수행 방식으로써의 오픈소스 문화가 중요해지고 있음 - 수직적이고 체계적인 대기업 환경 보다는 수평적인 스타트업에게 유리 - 인식 개선, 절차 변화, 교육이 모두 필요하며 문화 개선에 시간이 필요 |
평가 및 통제 | - 다양한 성과 지표(비용 절감, 매출 기여, 위험 관리, 이슈 해결)가 있으며 이는 조직 특성에 따라 차별화됨 - 정량적 업무 성과 평가에는 어려움이 있지만, 개발자 사기 진작 차원의 오픈소스 개발 기여에 대한 포상 제도는 보편적으로 제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