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S-138

SW역량체계 현황 분석 및 시사점

날짜2022.05.25
조회수10490
글자크기
요약문 상세
    • 최근 세계적 디지털 전환으로 인해 산업계의 SW기술 수요가 증가하였고 SW인재의 양적·질적 수급 격차 문제가 정책 선상에서 본격적으로 논의되고 있다. 최근 관련 기사에 따르면 인터넷 기업들을 중심으로 입사축하금 5천만 원 지급 또는 아파트 제공, 1억 원의 스톡옵션 부여 등 ICT 기업들은 우수 SW인재를 확보하기 위한 전쟁을 치르고 있으며 SW인재난은 전 산업으로 확산 중이다. 이에 따라 SW인재 채용플랫폼 시장에서는 기존의 단방향적 정보 제공 및 중개 형태의 채용 지원에서 양방향 정보 제공 및 역량 관리 중심으로 비즈니스 방식이 변화하는 현상들이 포착된다. 정부 또한 시장 수요에 맞춘 민관 협력 기반의 소프트웨어 인재 양성 대책을 2021년 6월에 발표한 바 있고 새롭게 출범되는 윤석열 정부는 주요 국정과제 중 하나로 디지털 인재 양성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전망이다.
    • 급증하는 SW인재 수요 대비 관점에서, 복잡해지는 일자리 수요기술에 대한 인재 공급을 최적화하고 SW인재의 역량을 체계적으로 발전시켜 나가기 위해서는 그에 적합한 SW관련 역량 관리 및 활용이 필요하다. 정부 주도의 대표적인 SW역량체계로 우리나라의 ITSQF, 미국의 O*NET, 영국의 SFIA 등이 있으며, 국내·외 주요 채용 플랫폼들은 맞춤형 일자리 수요-공급 매칭을 위해 고유의 기술스택 세트를 구성하고 이를 비즈니스에 활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현존하는 주요 SW역량체계와 스킬셋을 살펴보고 산업인재 수요 대응 관점에서 효과적 활용이 가능한 SW역량체계 만족조건 및 개발 방향성을 정립하였다.
    • 현존하는 대표적인 SW역량체계를 살펴본 결과, ITSQF는 top-down 방식의 기술/지식 세트 표준화 및 NCS 연계로 인해 경직성이 높고 SFIA는 skill이 직업 및 직무와 직접 연계되지 않으며 O*NET는 국내 표준직업분류 직업코드와의 매핑 한계점이 있어 이들을 국가 차원의 산업인재 수급차 대응에 직접 활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따라서 국내 SW산업인재 양성 및 수급차 관리 목적에 적합한 새로운 SW역량체계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국내 대표 플랫폼들을 살펴본 결과, 이들은 기업이 요구하는 SW인력 상세 수요 및 역량 관련 정보와 세분화된 기술스택 분류를 기반으로 개인화 및 기업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어 새로운 SW역량체계 개발 시 해당 정보를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채용 플랫폼들은 디지털 전환 시대에 각 산업에서 필요로 하는 융합역량을 다루고 있지는 않다.
    • 결론에서는 위 분석 내용을 기반으로 국가 차원에서 동적으로 SW인재 수급 대응 및 역량관리를 지원할 수 있는 새로운 SW역량체계가 갖추어야 할 조건을 제시하고 실시간으로 변하는 시장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수요기술의 변화 동향을 파악할 수 있는 플랫폼 개발을 제안하였다. 산업 인재 수급 관점에서 SW역량체계가 유의미하게 작동하기 위해서는 ① 채용시장에서 통용되는 지식·기술 언어와의 일치, ② SW인재가 갖추어야 할 새로운 지식·기술의 신속한 반영, ③ 산업계에서 요구하는 SW인재 융합역량의 포괄, ④ 국가 차원의 SW인재 역량 강화 포트폴리오 전략 수립이 가능한 구조와 같은 조건을 만족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SW역량체계와 플랫폼이 개발된다면 향후 더욱 심화될 SW인재 수급차 문제에 대해 국가 차원에서 보다 현명한 의사결정과 성과관리를 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될 것이다.
  • Executive Summary
    • Recently, the industry's demand for SW technology is increasing and the problem of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upply and demand gap of SW talent is deepening. Companies are fighting a war to secure excellent SW talents, such as paying 50 million won in congratulations for joining the company, providing apartments, granting 100 million won stock options, and spreading signing bonuses. In the SW field job market, a change in business method is observed from the existing one-way information provision and brokerage to the two-way information provision and competency management. The government also announced a plan to nurture 413,000 SW talents by 2025, focusing on the middle and advanced level. Now, the situation has come where we need to focus not only on preparing for the quantitative shortage of SW talent, but also on strengthening our capabilities, which is a qualitative aspect for talent development.
    • In order to systematically develop the capabilities of SW talents from the perspective of talent supply and demand gaps or to optimize the supply of talents in increasingly complex job demand technologies, a software-related competency framework suitable for them is required. Representative SW competency frameworks led by the government include Korea's ITSQF, US‘ O*NET, and UK's SFIA. Recruitment platforms also have their own skillsets to advance job demand-supply matching and apply them to business. Therefore, this paper examines the existing major SW competency systems and skillsets, and establishes the conditions and development direction for the SW competency framework that can be effectively utilized from the viewpoint of supply and demand for industrial talent.
    •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and implications, it is present the conditions for a new SW competency framework and big data platform that can dynamically support SW talent supply and demand response and competency management at the national level. In order for the SW competency framework to work meaningfully from the point of view of supply and demand for industrial talent, ① coincide with the knowledge and technology language commonly used in the job market, ② quickly reflect new knowledge and technology that SW talent should have, ③ converge SW talent required by the industry It will have to satisfy conditions such as inclusion of competencies, and ④ a structure that enables the establishment of a portfolio strategy for strengthening the capabilities of SW talent at the national level. If a software competency framework and platform that satisfy the above conditions are developed, the foundation for smarter decision-making at the national level will be laid on the issue of supply and demand for SW talent, which will intensify in the future.
목차 상세
    • Ⅰ. 배경 및 목적
    • Ⅱ. 국내·외 주요 SW역량체계
    • 1. 한국 ITSQF
    • 2. 영국 SFIA
    • 3. 미국 O*NET
    • 4. 주요 SW역량체계 요약 및 시사점
    • Ⅲ. 채용플랫폼 사례 및 활용 동향
    • 1. 채용플랫폼의 유형 및 사례 선정
    • 2. 전통적 및 SW 분야 특화 채용플랫폼 ‘사람인’ 및 ‘점핏’
    • 3. SW개발자 역량관리 중심 플랫폼 ‘프로그래머스‘
    • 4. 채용플랫폼 사례 요약 및 시사점
    • IV. 대응 방향 및 정책 제언
    • 별첨
    • 1. SFIA 7 및 SFIA 8의 기술(skill) 구성
    • 2. 사람인 IT/인터넷 분야 직무 및 기술 분류
    • 3. 프로그래머스 기술스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