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거 기반 에듀테크 생태계의 개념과 필요성, 그리고 메타-에듀테크 조직의 역할

날짜2022.07.25
조회수14633
글자크기
  • 윤성혜 러닝스파크 이사(교육공학 박사) shyoon@learningspark.io
  • 1. 들어가며
    • 코로나19는 학교 현장에서 에듀테크를 일상으로 바꾸어 놓았다. 에듀테크, 즉 교육기술은 교수(teaching)와 교육기관의 효과적인 운영을 지원하기 위하여 테크놀로지를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Department for Education, 2019). 선도적인 일부 교사들이나 활용했던 에듀테크는 코로나19를 경험하며 모든 교사와 학생의 일상 속으로 깊숙이 들어왔다. 코로나19로 인해 혼란 스러웠던 학교 현장에서 끊김 없는(seamless) 학습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최선의 대안 역할을 했기 때문이다. 에듀테크의 가능성은 끊김 없는 학습 경험 제공과 함께 새로운 교수-학습 방법의 구현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를테면 에듀테크는 교육계의 오랜 관심사이자 숙제였던 개인 맞춤형 학습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CSCL(Computer-Supported Collaborative Learning, 컴퓨터 기반 협력학습)은 컴퓨터라는 매개 없이는 불가능했던 새로운 협력학습의 경험을 하게 해주기도 한다.
    • 그렇다면 에듀테크의 미래는 장밋빛이기만 할까. 지금으로부터 약 100년 전, 토마스 에디슨은 “책은 곧 쓸모가 없어질 것이다”라고 말했다. 교육용 영화가 책의 자리를 모두 대체할 정도로 교육에 획기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주장이었다(TimeGraphics, n.d.). 주지하다시피 그의 주장과는 달리 100년이라는 시간이 지나는 동안 여전히 학교에서 책은 중요한 매체로 남았고, 기대만큼의 변혁을 만들어내지는 못했다. 이는 한 가지 예일 뿐, 지금까지 교육 장면에서 대부분의 테크놀로지는 이 같은 낙관론과 비관론의 반복된 역사를 거쳐 왔다(Betty et al., 2019). 새로운 테크롤로지가 신기한 기능을 선보이면 마치 그것이 교육의 문제를 획기적으로 해결하고 교육의 모습 전체를 바꿔놓을 것이라는 기대감에 부풀어 있다가, 이내 실망하게 되는 것이다. 최근에는 인공지능과 메타버스에 대한 기대감이 높은데, 이들이 또 다시 실망을 안겨주지 않으리라는 보장이 없다.
    • 2022년 현재, 에듀테크가 이러한 낙관론과 비관론의 반복된 역사를 되풀이하지 않으려면 무엇이 필요할까. 자명하게도 에듀테크가 항상 성공적이지는 않다는 사실을 주지하며, 효과적인 에듀테크를 잘 선택하고, 교육적으로 의미 있게 사용하는 것이 정답일 것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잘’ 선택하고 ‘잘’ 쓸까. 최근의 에듀 테크는 여타 IT 분야와 같이, 개발과 제품 출시 기간이 짧은 특성이 있으며(Newman et al., 2018), 그 과정에서 민간 기업이 아주 큰 역할을 하고 있다(Pellini et al., 2021). 그렇기에 사용자 입장에서는 믿을만한 에듀테크를 선택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과연 에듀테크가 교육적으로 적합한가, 그리고 쏟아지는 제품 카탈로그 속에서 어떤 제품이 교육적으로 우수한지 비교하는 것은 에듀테크 사용자의 공통된 고민일 것이다. 이러한 고민은 결국 공급자의 입장에서 어떻게 ‘좋은’ 에듀테크를 개발할 것인가라는 질문으로도 이어진다. 에듀테크 공급자인 기업들은 ‘만들 수 있는’ 제품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교육 현장에서 의미 있게 ‘선택되고 활용될’ 제품을 만들어야 하기 때문이다.
  • 2. 증거 기반 에듀테크 생태계의 의미
    • 교육 현장에서 늘어난 에듀테크 예산을 교육적으로 적합한 제품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려면, 그리고 교육 현장에서 의미 있게 선택되고 활용될 에듀테크를 만들기 위해서는 증거(evidence)가 필요하다. 지난 3월에 영국 런던에서 개최된 Bett Show에서 영국 교육부 Nadhim Zahawi 장관이 언급한 ‘모든 학교에서 증거 기반 테크놀로지 사용의 새로운 문화(Department for Education, 2022)’도 이를 강조한 것이다. 증거는 에듀테크가 사용자에게 실제로 영향을 미치고 효과를 야기할 수 있는가에 대해 과학적인 절차와 방법을 통해 확보된다. 증거는 엄격한 실험·현장 연구를 통해서, 교육자의 전문적 경험과 평가를 통해서 혹은 사용자의 가치 판단을 통해서 만들어진다(Cukurova & Luckin, 2021). 이렇게 만들어진, 신뢰할 수 있는 타당한 증거는 에듀테크에 대한 올바른 의사결정에 기여할 수 있다.
    • 그러나 현재 우리 교육 현장에서 에듀테크에 대한 증거는 ‘부족하거나’ 혹은 ‘정체되어’ 있다(EdTech Evidence Exchange, 2021; Luckin, 2016; Weatherby, Clark-Wilson, Cukurova, & Luckin, 2022). 교사를 비롯한 학교 구성원들은 코로나19를 겪으며 에듀테크 사용에 대한 도전과 실패의 역사가 쌓였을 것이 분명하지만, 이러한 경험을 문서화하고 공유할 매커니즘은 개인적 동기를 제외하면 매우 제한적이다. 또 대학을 중심으로 하는 에듀테크 연구자들은 새로운 에듀테크 프로토타입을 개발하거나, 특정 에듀테크를 활용한 교실 수업의 효과성을 실험연구 또는 준실험연구를 통해서 탐구하고 있지만, 실험실에서 개발된 프로토타입이 제품화되거나, 연구의 결과를 현장에서 증거로 활용하는 경우는 흔치 않다. 연구의 결과물인 논문을 읽는 독자는 같은 위치에 있는 연구자들 대다수이다. 한편 에듀테크 개발의 큰 역할을 하고 있는 스타트업을 비롯한 에듀테크 기업들은 기술을 중심에 놓고 제품을 설계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물론 교육적으로 의미 있는 에듀테크 제품들도 많지만, 스타트업을 포함한 중소기업이 이에 대한 근거를 만들 시간, 비용, 역량을 갖추고 있기는 어렵다.
    • 즉, 에듀테크 생태계의 주요 주체들은 에듀테크라는 하나의 우산 아래에서 에듀테크라는 정체성을 공유하고 있지만, ‘각자’ 열심히 하고 있는 것이 지금의 문제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University College London(UCL)의 Rose Luckin 교수도 이러한 에듀테크 생태계의 사일로(silo) 현상, 즉 서로 소통하지 않고 정보가 내부에서만 흐르는 현상을 지적했다. 그는 사일로 현상을 해결할 수 있는 증거의 골든 트라이 앵글(‘Golden Triangle’ of evidence)을 제안했다. 에듀테크 제공자, 연구자, 사용자가 최고의 연구 증거와 실천에 접근할 수 있게 함으로써, 에듀테크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Luckin, 2016).
    • [그림 1]은 Rose Luckin 교수가 이끄는 UCL EDUCATE의 골든 트라이앵글 개념을 시각화한 것이다. 에듀테크 제공자인 기업은 교사와 학생에게 제품이 효과적인지 알고 싶고, 교육 현장은 에듀테크를 사용 했을 때 교육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고 싶다. 그에 대한 증거는 연구자들에 의해 과학적으로 수집될 수 있다. 이들의 협력적 관계 속에서 증거가 원활하게 소통되면, 교수-학습의 효과성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구자에게는 연구가 현장에 더 큰 임팩트를 줄 수 있게 되고, 에듀테크 기업들은 더 많은 판매로 이어질 수 있다(Cukurova & Luckin, 2021).
    • 그림 1 EDUCATE 증거 기반 에듀테크의 골든 트라이앵글_출처: Cukurova, M., & Luckin, R. (2021). Creating the Golden Triangle of Evidence-Informed EdTech.
Educate. https://www.educateventures.com/evidence-and-the-golden-triangle
  • 3. 증거 기반 에듀테크 생태계에서 메타-에듀테크 조직의 역할
    • [그림 1]의 골든 트라이앵글은 단지 이론적 주장에 그치지 않았다. 영국은 위와 같은 증거기반 에듀테크 생태계를 여러 주체들이 참여하는 개방형 시스템으로 만들어나가는 좋은 선도 사례를 보여준다. Rose Luckin 교수가 이끄는 UCL EDUCATE, 영국 교육산업 협회 BESA(British Educational Suppliers Association),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터 F6S, 그리고 사회혁신 재단 NESTA가 참여하는 에듀테크 테스트베드는 에듀테크 기업이 연구 결과(증거)에 기반하여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를 개발하도록 돕는 시험대이자 중개 플랫폼이다(윤태영, 김승진, 2020). 공급자, 연구자, 교사, 학생이 함께 에듀테크를 설계하기도 하고(co-design), 에듀테크 공급자가 학교에서 제품을 테스트하여 개선하기도 한다(test & learn). 학교와 정책 결정자가 공급자 및 연구자와 함께 제품 효과성 증거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evidence hub), 이를 공유하며 서로 교류한다(EdTech network)(Batty, Wong, Florescu, & Sharples, 2019). 또한 Edtech Impact(n.d.)는 교육적 효과를 비롯한 각 제품에 대한 정보를 플랫폼에 차곡차곡 쌓아두고, 카테고리, 사용 연령, 가격 등 조건별로 제품을 조회할 수 있게 해준다.
    • 증거 기반 에듀테크 생태계를 만들고자 노력하고 있는 것은 영국만이 아니다. 미국에서는 버지니아대학교 교육 및 인재개발 학부를 중심으로 EdTech Evidence Exchange가 “교육자가 테크놀로지에 대해 증거 기반의 더 나은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돕는다”를 미션으로 내걸고 있으며, 2021년에는 EdTech Genome Project를 통해 에듀테크 이니셔티브를 둘러싼 맥락적 변수를 도출하기도 했다(EdTech Evidence Exchange, 2021).
    • 핀란드의 Education Alliance Finland는 학습 제품과 서비스의 영향에 대한 증거를 제공하고, 학습 목표, 교수-학습 방법(pedagogy), 사용성을 기준으로 품질 인증을 실시한다. 110여 명의 훈련된 평가자 풀을 확보하고 있으며, 각 제품별로 외부 평가자 3명, 내부 평가자 1명의 총 4명의 평가자가 기준에 근거하여 평가하여 그 결과를 리포트로 제공한다(Education Alliance Finland, n.d.).
    • 영국의 Edtech Impact, 미국의 EdTech Evidence Exchange, 핀란드의 Education Alliance Finland와 같은 조직은 ‘메타-에듀테크’1)라는 이름으로 개념화해볼 수 있다. 메타-에듀테크는 에딘버러 대학의 Ben Williamson 교수가 학술저널 ‘Learning, Media and Technology’ 편집자의 글에서 제안한 개념으로, 에듀테크 생태계가 성숙해감에 따라 등장하게 된 새로운 조직들을 일컫는다. Williamson(2021)에 의하면 메타-에듀테크는 ① 에듀테크의 임팩트에 대한 증거를 수집하고 유통하는 ‘증거 중개자(evidence intermediaries)’, ② 데이터 기반 플랫폼을 통해 에듀테크 기업들의 시장 가치를 평가하고 벤처 캐피탈이 우수한 기업에 투자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시장 조성자(market makers)’, ③ 연구자들이 중심이 되어 에듀테크에 대한 보다 신중하고 비판적인 분석을 함으로써 시장 주도의 접근 방식에 대한 대안적 시각 제공하는 ‘비판적 메타-에듀테크(critical meta-edtech)’를 포함한다. Williamson(2021)은 앞으로 이러한 메타-에듀테크 조직의 역할이 보다 확대될 것으로 보았다.
    • 정리해보면, 교육적으로 의미 있고 지속가능한 에듀테크 생태계를 만들기 위해서는 학교 수요자의 적절한 의사결정과 에듀테크 공급 기업의 사용자 중심 설계를 지원할 수 있도록 에듀테크 기업, 학교, 그리고 연구소 사이에서 증거를 매개하는 메타-에듀테크 역할이 필요하다. 그러한 메타-에듀테크 조직은 영국, 미국, 핀란드 등 에듀테크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주요 국가들에서 발견된다.
    • 물론 우리나라도 에듀테크 증거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며, 공공과 민간에서 각각 이를 위한 시도를 하고 있다. 2021년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주도로 전국 3개 권역에 개소한 에듀테크 소프트랩은 사용자와 이해관계자가 제품을 검토, 테스트, 경험하고, 이를 에듀테크의 설계, 개선 및 평가의 근거로 활용하기 위한 장을 열어두고 있다(정종원, 김현진, 이성진, 2021).
    • 한편 민간 주도로는 ㈜러닝스파크가 우리나라의 메타-에듀테크의 역할을 자처하며, 에듀테크 제품 개발 주기별 증거 생산 및 매개 모델을 제안한 바 있다. [그림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에듀테크 제품 개발 초기에는 ① 에듀테크 기업, 학교, 연구소가 함께 현장에서의 요구와 교육학적 의미에 부합하는 에듀테크 제품을 해커톤 및 워크숍의 형태로 공동 설계할 수 있으며, ② 이런 과정을 통해 개발된 초기 프로토타입 또는 MVP(Minimum Viable Product, 최소기능제품)은 일부 학교 현장을 대상으로 빠르게 테스트해봄으로써 개선 및 기능강화를 위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③ 어느 정도 개발이 진행되면 보다 많은 대상에게 현장 연구를 실시함으로써 에듀테크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신뢰할 수 있고 타당한 근거를 확보할 수 있으며, ④ 현장 교사들을 중심으로 에듀테크 활용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을 연구하고, 우수사례를 확산할 수 있다. ⑤ 마지막으로 사용자의 리뷰는 NPS(Net Promoter Score)의 형태로 한데 모아 제공할 수 있다. ㈜러닝스파크는 이러한 전 과정에서 도출되는 증거들을 한데 모으기 위해 AskEdTech(www.askedtech.com)를 론칭하였고 에듀테크 지식 및 역량강화 플랫폼으로 꾸려 나가고 있다.
    • 그림 2 러닝스파크 에듀테크 증거 모델_출처: 윤성혜, 정훈 (2022). 증거기반 에듀테크 생태계 구축을 위한 탐색적 연구. 2022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춘계학술대회. 일부 업데이트. MONTHLY SOFTWARE ORIENTED SOCIETY 009
  • 4. 나가며
    • 우리나라에서 증거 기반 에듀테크 생태계를 위한 노력은 주요 선진국들에 비해 아직 초기 수준에 불과하다. 그러나 에듀테크 생태계를 이루는 여러 주체들 사이에 증거의 중요성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으며, 공공과 민간에서 증거기반 에듀테크 생태계를 만들기 위한 여러 시도들이 이뤄지고 있는 것은 긍정적 신호로 감지된다. 이러한 관심을 기초로 증거 기반 에듀테크 생태계를 더욱 더 발전시켜 나가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제안을 하고자 한다.
    • 첫째, 에듀테크 제품 개발 과정에서 학교 현장의 목소리가 보다 잘 반영될 수 있도록 제도적·문화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 에듀테크 제품을 개발하는 많은 중소기업과 스타트업은 현장 교사와의 협력을 희망하지만 제한된 자원과 역량으로 어려움이 있으며, 반면 학교 현장의 일부 교사들은 초기 제품에 대한 체험과 정보 획득, 의견 제시에 관심이 있지만 어떻게 그러한 기회를 가질 수 있는지 알기 어려운 실정이다. 현재 에듀테크 소프트랩이 제한적으로 이러한 기회를 제공하고 있으나, 학교 현장과 에듀테크 스타트업을 연결하기 위한 시도는 앞으로 보다 확대될 필요가 있다. 나아가 보다 적극적인 협력을 위해서는 제도의 유연화도 필요하다. 예컨대 에스토니아에서는 교장이 에듀테크 스타트업에서 2년간 인턴으로 일할 수 있는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Sall, 2021). 이를 통해 스타트업은 제품 개발 시 교육 전문성과 학교 현장 수요에 대한 이해를 도모할 수 있고, 학교는 스타트업의 기업가 정신을 배울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이러한 혁신적 시도를 가능하게 하려면 제도의 유연화가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 둘째, 연구자가 학교 및 에듀테크 산업 현장과 보다 밀접하게 연결될 수 있게 하는 기회의 확대와 그러한 필요성에 대한 인식 확산이 필요하다. 교육공학과 같은 유관 분야의 연구자들은 실천학문 연구자로서 학교 현장과 에듀테크 공급 기업과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현장중심의 제품 개발과 과학적 증거 생산에 기여할 수 있다. 이러한 역할을 적극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기초 연구뿐만 아니라 설계 및 현장 연구를 보다 촉진하여야 하며, 연구자 또한 이러한 역할을 학문적 소임으로 인식해야 할 것이다.
    • 셋째, 위와 같은 일을 촉진하고 실행할 수 있는 메타-에듀테크 조직에 대한 지원이 강화되어야 한다. 메타-에듀테크 조직은 그 자체로서 지속가능한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할 필요가 있지만, 그 역할을 볼 때 공공의 이익에 기여하는 바가 큰 것도 사실이다. 따라서 이러한 조직이 동력을 잃지 않고 그 역할을 강화해 나갈 수 있기 위해서 공공 자금 지원이나 임팩트 투자를 고려해볼 수 있을 것이다. 메타-에듀테크 조직의 역할과 기여는 에듀테크 생태계의 성숙도를 가늠할 수 있는 지표라고 할 수 있는 만큼, 우리나라 에듀테크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 투자가 필요한 영역으로 보인다.
    • 앞으로 공공과 민간의 경계를 넘어 공급자, 수요자, 연구자 간의 긴밀한 소통과 협력관계를 통해 낙관론과 비관론의 역사를 되풀이하지 않는 건강한 에듀테크 생태계가 만들어지기를 기대한다.
  • 참고문헌
    • Batty, R., Wong, A., Florescu, A., & Sharples, M. (2019). EdTech testbeds: Models for improving evidence. nesta.
    • Cukurova, M., & Luckin, R. (2021). Creating the Golden Triangle of Evidence-Informed EdTech. Educate. https://www.educateventures.com/evidence-and-the-golden-triangle
    • Department for Education (2019). Realising the potential of technology in education: A strategy for education providers and the technology industry. Department for Education of the UK.
    • Department for Education (2022). Education Secretary delivers speech at BETT show. https://www.gov.uk/government/speeches/education-secretary-delivers-speech-at-bett-show
    • EdTech Evidence Exchange (2021). The EdTech Genome Project Report. EdTech Evidence Exchange.
    • Edtech Impact (n.d.). https://edtechimpact.com/
    • Education Alliance Finland (n.d.). Improving the Learning Experience. Retrieved June 27, 2022 from https://educationalliancefinland.com/
    • Luckin, R. (2016). Mainstreaming innovation in educational technology. Advances in Scholarship of Teaching and Learning, 3(1), 1-10.
    • Newman, D., Jaciw, A. P., & Lazarev, V. (2018). Guidelines for Conducting and Reporting EdTech Impact Research in US K-12 Schools. Empirical Education Inc.
    • Pellini, A., Nicolai, S., Magee, A., Sharp, S., & Wilson, S. (2021). A Political Economy Analysis Framework for EdTech Evidence Uptake. EdTech Hub.
    • Sall, K. (2021). A Headteacher Interning at a Start-Up: Only in Estonia!. Veriff. Retrieved from https://www.veriff.com/our-people/headteacher-interning-at-a-start-up
    • TimeGraphics, (n.d.). Jan 1, 1913 - Thomas Edison, "Books will soon be obsolete." Retrieved June 27, 2022 https://time.graphics/event/17263
    • Weatherby, K., Clark-Wilson, A., Cukurova, M., & Luckin, R. (2022). The Importance of Boundary Objects in Industry-Academia Collaborations to Support Evidencing the Efficacy of Educational Technology. TechTrends, 1-14.
    • Williamson, B. (2021). Meta-edtech. Learning, Media and Technology, 46(1), 1-5, DOI: 10.1080/17439884.2021.1876089
    • 윤성혜, 정훈 (2022). 증거기반 에듀테크 생태계 구축을 위한 탐색적 연구. 2022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춘계학술대회.
    • 윤태영, 김승진 (2020). 영국의 에듀테크 활성화 지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 정종원, 김현진, 이성진 (2021). 에듀테크 소프트랩 실증 모델 개발. 한국교육학술정보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