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생성형 AI 등 디지털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국가 간 디지털 인재 확보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으며, 주요국들은 인재 확보를 위한 수단으로 비자 제도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또한Geo-Arbitrage에 기인하여 국경을 초월한 디지털노마드가 확산되고 이와 관련한 비자가 50개국 이상에서 시행되고 있다. 한국은 현재 디지털 인재, 특히 AI 고급인재가 부족하고 인력 유입국으로서의 매력도가 낮은 상황이다. 이에 본 고에서는 우리나라와 주요국의 비자 제도 및 프로그램 현황을 분석하여 한국의 디지털 인재 유치 제도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한국의 최근 비자 제도로는 K-Tech Pass(’25년 시행 예정, 첨단 산업 우수 인재), Startup Korea Special Visa(해외 유망 스타트업), 과학기술 우수 인재 패스트트랙(이공계 특화기관의 석·박사)이 있으며 다양한 맞춤형 혜택을 제공한다. 이 외에도 관련 비자로 D-2(유학), D-4-6(우수사설 교육기관 외국인 연수), D-8(기업투자), D-10(구직), E-3(연구), E-4(기술지도), E-7(특정활동), F-5-9(첨단박사), F-5-10(첨단학사), F-5-11(특정분야 능력 소지자), 디지털노마드 비자 등이 있다.
미국은 H-1B(전문직 취업), J-1(교환방문), O-1(특별재능 소유) 비자에서 취업 기간 연장, 대상자 확대 등을 통해 STEM 분야 인재를 유치한다. 영국은 Global Talent Visa와 High Potential Individual Visa 등을 통해 디지털 분야에서의 학문적·전문적 성과가 뛰어난 인재를 유치하며 AI Futures Grants를 통해 AI 인재에 특정한 비자 혜택을 제공한다. 일본은 고급 전문직 비자, 호주는 국가혁신 비자를 통해 첨단 산업 인재 유입을 강화하였고, 뉴질랜드는 글로벌 임팩트 비자를 통해 창업 생태계 관점에서의 혁신 인재를 유치하고 있다. 디지털 노마드 비자는 국가별 상황에 적합하게 관광과 취업, 그리고 창업 등을 연계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시행되고 있다.
한국은 디지털 인재 유치를 위한 다양한 비자 제도를 시행하고 있으나, 발급 대상 범위, 발급요건, 혜택 및 인센티브, 발급 절차, 비자 간 연계 등의 측면에서 발전을 꾀할 요소가 여전히 존재하며 이에 대한 해외 제도와의 비교분석 결과는 결론 부분에서 다루었다. 또한 ① 디지털 분야 특화 비자/프로그램의 개발 및 개선 ② 혜택 및 편의성 제고를 통한 인재 유인책 강화 ③ 비자 제도 간 연계를 통한 통합 지원 강화에 대한 세부 사항을 디지털 분야 해외 인재 유치를 위한 비자 제도 개선 제언으로 제시하였다.
The rapid advancement of digital technologies, such as generative AI, has intensified the global competition for digital talent, with major countries actively utilizing visa systems as a means of attracting talent. Additionally, the spread of digital nomads across borders, driven by Geo-Arbitrage, has led to the implementation of digital nomad visas in over 50 countries. South Korea is currently facing a shortage of digital talent, particularly high-level AI experts, and is not an attractive destination for acquiring digital talent.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compare and analyze South Korea's visa system and programs with those of leading countries and suggest ways to improve South Korea's system for attracting digital talent.
Recent visa programs in South Korea include the K-Tech Pass (set to launch in 2025, targeting outstanding talent in advanced industries), the Startup Korea Special Visa (for promising overseas startups), and the Science and Technology Fast Track (for Master’s and Ph.D. graduates from science and technology-focused institutions), offering various tailored benefits. Other related visas include D-2 (student visa), D-4 (general training), D-8 (investment), D-10 (job-seeking), E-3 (research), E-4 (technical guidance), E-7 (specific activities), F-5 (professionals), and digital nomad visas.
The United States attracts STEM talent through H-1B (specialty occupation), J-1 (exchange visitor), and O-1 (extraordinary ability) visas, offering extensions and expanding eligibility. The UK uses the Global Talent Visa and High Potential Individual Visa to attract highly skilled individuals in the digital field, while offering targeted benefits for AI talent through the AI Futures Grants. Japan has enhanced its policies for advanced professionals (J-Skip, J-Find), and Australia has strengthened its talent acquisition through the National Innovation Visa. New Zealand attracts innovative talent in the startup ecosystem through its Global Impact Visa. Digital nomad visas ar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country, linking tourism, employment, and entrepreneurship.
While South Korea has introduced various visa programs to attract digital talent, there is still room for improvement in areas such as target scope, eligibility requirements, benefits and incentives, application procedures, and the integration of different visa types. The comparative analysis with international systems is discussed in the conclusion. The paper suggests three main improvements to South Korea's digital talent visa system: ① the development and enhancement of specialized digital field visas/programs, ② strengthening talent attraction through improved benefits and convenience, and ③ improving the integration of visa programs for better suppo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