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인공지능산업 실태조사(2023.4)
자료) SPRi SW산업실태조사(2017.12)
※ 직종별 SW전문인력은 한국고용직업분류표(KECO) 기준으로 조사한 결과를 한국표준직업분류(KSCO) 기준으로 재분류 하여 수록하였음
※ 2017년 잠정치 기준
※ 한국표준직업분류(KSCO)를 참고하였으며, 정책적 활용 목적으로 PM 등 일부 항목을 추가하였음
※ SW분석가 : 설계 및 분석, 네트워크 아키텍트, 데이터베이스 아키텍트, 정보보안 전문가
※ SW개발자 : 시스템SW 개발, 응용SW 개발, 테스팅/품질관리
※ 웹 전문가 : 웹 개발, 웹/디지털 인터페이스 디자인
※ 정보시스템운영 및 지원 : 데이터베이스 관리, 정보시스템 관리, 네트워크 운영지원, 사용자 지원
※ 월별 수치는 잠정치로 추후 연간조사를 통해 확정치로 대체될 예정
※ SW수출액은 매월 입금된 금액을 기준으로 집계함
※ 2017년 6월 변경된 新ICT통합분류체계를 적용하여 조사된 결과임
[spri_webponent_chart id=28] [spri_webponent_grid id=82] * 자료) SPRi, SW수출통계조사(2018.8) 월별 수치는 잠정치로 추후 연간조사를 통해 확정치로 대체될 예정 SW수출액은 매월 입금된 금액을 기준으로 집계함 2017년 6월 변경된 新ICT통합분류체계를 적용하여 조사된 결과임
※ ICT통합분류체계 개정(2017년 개정, 2016년 기준 조사부터 적용)에 따라 2015년과 2016년 이후 세부 품목별 통계치에 단절이 있음
※ 2016년 조사부터 ICT통합모집단(SW부문)이 확충(SW수출기업 모집단 증가)되어 패키지SW와 IT서비스 수출액 합계가 전년대비 큰 폭으로 증가함
※ 2017년 잠정치는 SW수출통계조사(월간) 기준으로 2018년SW수출통계조사(2019.1)를 통해 확정치로 대체 예정
※ ICT통합분류체계 개정(2017년)에 따라 게임SW 부문이 SW수출통계조사에 포함되었으나 모집단 과소, 회수율 등 조사 초기년도 제약이 있어 게임SW수출액은 한국콘텐츠진흥원(KOCCA) 자료를 인용함
※ 월별 수치는 잠정치로 추후 연간조사를 통해 확정치로 대체될 예정
※ 2017년 6월 변경된 新ICT통합분류체계를 적용하여 조사된 결과임
※ SW산업 생산 통계는 SW기업이 판매한 SW제품 매출을 집계한 금액으로 기업의 총 매출액과는 차이 있음(예, 기업의 총 매출이 100이고 그 중 SW제품 매출이 60, 비SW제품 매출이 40 일 경우 SW생산액은 60)
자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ICT주요품목동향조사(2018.6)
※ 월별 수치는 잠정치로 추후 연간조사를 통해 확정치로 대체될 예정
※ 2017년 6월 변경된 新ICT통합분류체계를 적용하여 조사된 결과임
※ SW산업 생산 통계는 SW기업이 판매한 SW제품 매출을 집계한 금액으로 기업의 총 매출액과는 차이 있음(예, 기업의 총 매출이 100이고 그 중 SW제품 매출이 60, 비SW제품 매출이 40 일 경우 SW생산액은 60)
※ SW생산 통계는 SW품목 매출을 집계한 금액으로 기업의 총 매출액과는 차이가 있음
※ ICT통합분류체계 개정(2017년 개정, 2016년 기준 조사부터 적용)에 따라 2015년과 2016년 이후 세부 품목별 통계치에 단절이 있음
※ 2017년 수치는 ICT품목동향조사(월간) 기준 잠정치로 ICT실태조사(연간)를 통해 확정치로 대체 예정(2019.4)
■ 최근 대졸자 증가, 채용 감소하는 취업시장 상황에서도 소프트웨어 전공 졸업자는 높은 취업률을 유지하고 있음
■ 2015년 소프트웨어 전공 취업률은 70.2%, 진학률은 7.6%, 1년 동안 취업을 유지한 비율은 7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