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어령은 인공지능을 어떻게 보았나

날짜2022.03.31
조회수8938
글자크기
    • 지난 2월 26일 이어령 선생이 타계했다. 마지막까지 죽음의 관찰자가 되어 기록으로 남기고자 했던 호랑이 같던 선생은 임인년 봄을 앞두고 영면에 들었다. 이어령 선생은 한국 지성의 대표이자 스승으로 일컬어졌으며 초대 문화부 장관을 비롯해 비평가, 문학가, 교수, 교사, 작가, 크리에이터에 이르기까지 하나로 규정할 수 없는 여러 역할을 감당하셨다. 이 글에서는 한 인간으로서, 인생의 선배로서, 시대의 스승으로서 존경을 담아 선생으로 지칭하고자 한다.
    • 지난 2017년 3월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에서는 ‘대한민국이여, 디지털로 트랜스폼하라!’라는 주제로 Spring 컨퍼런스를 개최했다.1) 당시 기획과 실무를 담당했던 필자는 기조 강연자 로 이어령 선생을 모시고 싶었다. 2016년 3월 알파고 쇼크가 한국을 강타했을 때 인공지능의 정체에 대해, 인공지능이 그릴 미래에 대해 사람들은 궁금해 했고 당시 여든이 넘은 이어령 선생은 편치 않은 몸에도 불구하고 또박또박한 목소리로 자신의 인공지능론에 대해 강연하고 인터뷰했다. 선생이 바라보는 4차 산업혁명 그 시대적 전환기에 대한민국은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 지혜를 듣고 싶었다. 그가 이사장으로 몸담고 있었던 한중일비교문화연구소에 몇 차례 연락해 어렵게 수락을 받았다. 하지만 행사를 며칠 앞두고 혹시나 했던 일이 일어났다. 통상 약속을 어긴 적이 없으신 선생이 급히 병원에 입원해야 할 상황이 생겨 기조 강연을 할 수 없게 된 것이다. 선생은 그 후 스스로 친병(親病) 생활을 해가시면서 종종 인공지능에 대해, 최근에는 메타버스에 이르기까지 자신의 생각을 펼쳐 내셨다.2) 이 글에서는 인공지능 정책을 연구하는 한 연구자로서 마치 폭우 속에서도 공을 차며 즐거워하는 아이 마냥 지적 탐구를 놀이로 승화하며 생명이 다하는 순간까지 지성과 영성의 끝을 향해 매진하셨던 선생이 생전 인공지능에 대해 말씀하셨던 것들을 찾아 반추하고자 한다.
  • 계단과 엘리베이터
    • “어린아이, 노인, 여인, 청년이 계단을 올라가면 힘센 사람이 가장 잘 올라갑니다. 엘리베이터를 타면 어때요? 여인, 노인, 어린아이 똑같이 올라갑니다. AI가 그런거에요. AI를 타면 IQ50이나 300이나 똑같은 겁니다3)
    • 선생은 인공지능을 엘리베이터에 비교했다. 아이와 어른이 계단을 오르는 것을 생각해 보라. 계단 오르기는 힘센 어른이 유리하다. 과거는 체력이 경쟁력의 핵심이었다. 그런데 어느 날 엘리베이터가 등장했다. 엘리베이터에서는 어른과 아이, 노인이 동등하다. 신체적 능력은 평준화가 되었다. 엘리베이터가 존재하는 세상에서 계단은 이제 다른 의미를 갖게 되었다. 건강 단련의 수단이 되기도 하고, 도심의 운치 있는 문화공간으로 탈바꿈한다.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것은 좀 더 생산적인 지적 활동으로 향하는 수단이 된다. 이제 인간의 지성이 평평해진다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 많이 배운자 적게 배운자의 차이가 없어지고 오로지 인공지능을 쓸 수 있는 능력에 차이가 있다면? 엘리베이터를 타고 가는 곳은 어디인가? 인공지능을 타고 닿고 싶은 곳은 어디인가? 질문만이 남을 것이다.
  • 동도와 서기
    • “인공지능에 한국의 어질인 ‘仁’ 정신이 융합될수만 있다면 이 기술은 이분법적인 서양인과 달라서 보다 완전한 AI 인간으로 탄생할 수 있다4)
    • 선생은 인공지능에 대한 태도를 ‘동도서기(東道西器)’로 요약했다. 우리의 정신과 신기술이 만나면 천지가 개벽하는 일도 만들어 낼 수 있다는 것이다. 이세돌이 알파고에 무너지면서 인공지능은 기대보다는 두려움으로 다가왔던 무렵 꺼내신 말씀이다. 인간이 만든 피조물이 인간을 역습하는 경우는 문명사에 비일비재했다. 자동차만 해도 그렇다. 선생은 어떤 전쟁도 자동차만큼 사람을 죽이지 못했다며 인공지능을 활용해 자율주행차가 만들어지면 새로운 문명을 만들어 낼 것이라는 기대를 보였다. 시각장애인이 지팡이를 버리고 자동차를 탈 수 있게 만드는 것 그게 바로 인공지능이 하는 일임을 강조했다.5) 선생이 얘기한 동양의 정신은 인, 의, 예, 지, 효, 애 등 인간에 대한 사랑과 존중, 배려와 이해의 정신을 의미한다. 동양적 사상을 서양의 신기술을 통해 어떻게 구현할 것인가에 따라 새로운 문명이 탄생할 수 있다.
  • 메카노필리아와 바이오필리아의 시대
    • “AI는 생명이 못 됩니다. AI가 메카노필리아는 다했는데 생명으로 가는 바이오필리아는 못하는 겁니다6)
    • 선생은 생명이 없는 기계로서의 인공지능의 한계에 대해 분명히 말씀하셨다. 우리는 수렵시대, 농경시대, 산업화 시대, 정보화시대를 거쳐왔다. 그 과정은 도구 즉 기계의 발달사다. 인간의 노동력을 최소화하면서 생산성을 끌어올리는 시대, 기계가 그 중심에 있었고 그 기계의 성능을 최고로 끌어올리는 것에 모든 자원과 역량이 집중되는 시대였다. 그 정점에 인공지능이 등장했다. 그런 의미에서 인공지능은 메카노필리아(mechanophilia) 시대의 종결자라 할 수 있다. 그 이후의 세상은 인공지능이 가진 한계에서 시작되는데 곧 생명 질서의 회복, 사랑과 영성의 시대로 돌입이다. 생명에 대한 더 깊은 관심과 인간다움에 대한 애착이 커지는 바이오필리아(biophilia) 시대에서 인간과 인공지능의 공존 방식을 미리 고민해 볼 필요가 있다.
  • 인간과 말(馬)
    • “AI 두려워하지 마라. 네가 올라타면 너는 천리마가 되는 것이고 네가 뒤쫓아가다가 발길에 차이면 너는 죽어. 오는 걸 콱 잡아서 재갈 물리고 올라타면 기사도 이야기가 생겨나는 거다7)
    • 선생은 나폴레옹이나 알렉산더 대왕도 알파고에 비할 바가 못 된다고 했다. 기껏해야 서로 땅을 차지하는 사람들 간의 경쟁과 전대미문의 지적 능력을 갖춘 인공지능의 탄생은 전혀 다른 것이라는 것이다. 그러면서 당당히 인공지능을 두려워 말라고 했다. 두 발로 달리던 인간이 말을 길들여 탔듯이, 마차를 타던 인간이 자동차에 올라탔듯이, 두려워하지 말고 인공지능에 올라타 고삐를 쥐라고 했다. 말 뒤를 어물쩍 쫓아가다가 뒷발에 차이지 않게 조심하라고 했다. 말 위에 타서 고삐를 쥔 인간이 새로운 기사도(騎士道) 이야기를 쓸 수 있다고 했다. 대한민국이라는 토양에서 성장하고 발전할 인공지능을 만들어 새로운 영웅의 이야기를 쓰는 것이 우리의 선조들과 후대를 위해 지금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이 아닐까.
    • 디지로그 시대를 넘어 생명자본주의 시대로 가는 지금, 기술의 꽁무니에만 매몰되지 않기 위해 4차 산업혁명을 생각혁명으로 연결시키고, 검색에 매달리지 말고 사색에 힘쓰며, 인공지능이 문제가 아니라 인간지능이 문제라고 하던 선생의 말씀을 곱씹어 본다.
    • 1)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2017.3.15.), 2017 SPRI Spring 컨퍼런스
    • 2) 매일경제(2021.12.17.), 가상공간서 모든 경제활동 ‘메이드 인 메타버스’ 시대 열린다
    • 3) CBS초대석 52회(2017.11.)
    • 4) 뉴데일리(2016.12.23.), AI에 한국 '仁' 융합되면 새 인류시대 열린다
    • 5) 2017년 6월 23일, 동아시아의 평화와 현대과학 국제심포지움
    • 6) CBS초대석 52회(2017.11.), 통섭(Consilience)의 저자로 유명한 미국의 생물학자 에드워드 윌슨은 ‘바이오필리아(1984)’라는 책에서 바이오필리아를 생명 사랑으로 메카노필리아를(mechanophilia)를 기계 사랑으로 정의
    • 7) JTBC 뉴스(2022.2.26.), 시대의 지성 이어령 선생 별세. 고인이 남긴 마지막 육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