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이후 세계적으로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다. 반면 국내 기업의 디지털 전환 추진율은 세계적인 수준에 비해 여전히 낮다. (후략)
코로나-19 이후 세계적으로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다. 반면 국내 기업의 디지털 전환 추진율은 세계적인 수준에 비해 여전히 낮다. (후략)
[spri_webponent_chart id=117] [spri_webponent_grid id=126] * 자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SW융합 실태조사(2022.6) 주1) SW 투자액 : IT투자액 중 HW구매를 제외한 SW 구매, 컨설팅, SW 개발 및 유지보수, 교육 등의 제반 비용을 모두 포함 [download id=22604]
[spri_webponent_chart id=118] [spri_webponent_grid id=127] * 자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SW융합 실태조사(2022.6) 주1) SW 연구개발 투자액 : 라이센스・프로그램・미디어 등 SW 유무형자산, SW 연구원 인건비, SW기술 구매비, SW 연구개발 경비 등을 포함 [download id=22605]
[spri_webponent_chart id=119] [spri_webponent_grid id=128] *자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SW융합 실태조사(2022.6) 주1) 각 년도 10월 조사시점 기준 수치임 주2) CDO는 2020년 신규 조사 분류로 2019년에는 조사되지 않음 [download id=22606]
[spri_webponent_chart id=120] [spri_webponent_grid id=129] * 자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SW융합 실태조사(2022.6) 주1) 각 년도 10월 조사시점 기준 수치임 [download id=22607]
[spri_webponent_chart id=121] [spri_webponent_grid id=130] * 자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SW융합 실태조사(2022.6) 주1) 각 년도 10월 조사시점 기준 수치임 [download id=22608]
[spri_webponent_chart id=122] [spri_webponent_grid id=131] * 자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SW융합 실태조사(2022.6) 주1) 각 년도 10월 조사시점 기준 수치임 [download id=22609]
[spri_webponent_chart id=123] [spri_webponent_grid id=132] * 자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SW융합 실태조사(2022.6) 주1) 복수응답 주2) 각 년도 10월 조사시점 기준 수치임 [download id=22610]
[spri_webponent_chart id=124] [spri_webponent_grid id=133] * 자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SW융합 실태조사(2022.6) 주1) 2020년 조사시점 기준 [download id=22611]
[spri_webponent_chart id=142] [spri_webponent_grid id=151] * 자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SW융합 실태조사(2022.6) 주1) 복수응답 주2) 각 년도 10월 조사시점 기준 수치임 [download id=22897]
제 1 장 조사개요 01. 조사 목적 02. 조사 개요 03. 표본 설계 04. 조사 완료 및 유효표본 5. 주요 조사 내용 제 2 장 조사 결과 01. 일반 현황 및 재무 현황 02. 인력 현황 03. SW 기술 04. 디지털전환 도입 및 수준 현황 05. 데이터 현황 부록 조사표 01. 용어 정의 02. 조사 결과 부록표 03. 주요 항목 상대표준오차 04. 조사표
제 1 장 조사개요 01. 조사 목적 02. 조사 개요 03. 표본 설계 04. 조사 완료 및 유효표본 5. 주요 조사 내용 제 2 장 조사 결과 01. 일반 현황 및 재무 현황 02. 인력 현황 03. SW 기술 04. 디지털전환 도입 및 수준 현황 05. 데이터 현황 부록 조사표 01. 용어 정의 02. 조사 결과 부록표 03. 주요 항목 상대표준오차 04. 조사표
4차 산업혁명의 핵심 동력인 인공지능(AI)은 향후 국가 및 산업 경쟁력을 좌우하는 주요 기술로 부상하며 글로벌 시장의 성장세가 확대될 전망이다. 아마존, 구글, 애플 등 주요 기업들은 AI 분야 주도권 확보를 위해 시각·언어지능, 기계학습 등 AI 기술에 대한 R&D 투자를 경쟁적으로 확대하고 있다.(후략)
□ 코로나19의 장기화가 예상되고, 또 다른 감염병과 환경변화 위험이 언제든 재현될 수 있는 상황임
□ 20.5월 스승의날 대통령 메시지에서 ‘전국 학교 원격교육 설비 도입’ 언급
□ 초기의 원격수업이 ‘접속’에 중점을 두었다면, 이제는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학교•학생•학부모에 대한 장기적인 인프라 제공을 검토해야 함
자율자동차, 드론, AI 등 소프트웨어 기술 발전에 따라 소프트웨어의 복잡성이 증가하고 소프트웨어 편의성 증가로 많은 분야에서 소프트웨어 의존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해 소프트웨어의 제어를 받는 시스템이 증가하게 되어서 소프트웨어 결함으로 인한 사고의 발생 확률이 증가하고 있다. 결국은 과거와 달리 소프트웨어 문제로 인해 발생하는 사고의 피해의 영향력도 같이 커지고 있기 때문에 소프트웨어 안전관리가 국민의 안전 확보에 (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