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의 승리가 시사하는 점

날짜2016.03.10
조회수10735
글자크기
  • 현재의 알파고
    •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안성원 연구원
    • 전 세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는 알파고와 이세돌 9단과의 경기에서 알파고가 첫 승리를 거두었다. 그동안 인공지능의 정복되지 않았던 영역으로 여겨졌던 바둑이 점차 정복되어 가고 있는 것이다.
    • 대국전부터 전문가들은 대부분 ‘이세돌 9단의 승리’를 예견했었다. 대국이 벌어진 날 각 언론사의 바둑중계 해설진들은 알파고가 놀랍다는 평을 대국이 진행되는 동안에도 자주 언급했다. 보도에서도 알파고가 마치 인간의 마음을 꿰뚫어 보는것처럼 표현을 하기도 하고, 또는 ‘실수를 자책’한다거나, ‘상대를 떠 본다’거나 ‘악수를 두었다’ 하는 평들도 많았다.
  • 알파고가 정말로 그랬을까?
    • 인간은 의미부여하기를 좋아한다. 사물이나 현상에 자신들이 생각하는 바를 입혀 해석하는 경향이 두드러진다. 단순히 응결된 수증기 집단인 구름을 보면서 사람을 닮았다고 하거나 하늘의 보름달을 보며 달 속에 방아 찧는 토끼가 있다고 하는 것이 그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겠다.
    • 같은 맥락에서 보자면,
    • 알파고는 현재 바둑 프로그램이다. 물론, 이미 구글에서도 밝혔듯이 알파고의 알고리즘이 다른 분야로 얼마든지 응용되어 질 수는 있다. 하지만 적어도 바둑에서만큼은 대국에서 승리하는 것이 목적인 프로그램이다. 알파고는 학습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매 수마다 상대의 수를 고려한 십만여 번의 계산을 하며 최선의 수를 선택한다. 이번 대국에서도 현재의 바둑판 형세를 입력값으로 받아들여 열심히 계산한 후 출력으로는 스스로 가장 최적이라 판단되는 수를 모니터에 투사했다.
    • 알파고에는 감정이나 ‘후회’와 같은 인식은 프로그램되어 있지 않다. 그저 매순간 계산에 의한 최적의 수를 선택했을 뿐이다. 우리가 ‘실수’라고 평가했던 수도 버그가 아닌 이상 알파고 스스로의 계산에 의해 판단한 최적의 결과였다.
    • 이번 승리는 복잡한 계산을 할 수 있는 컴퓨팅 파워와 효율적인 학습 알고리즘이 거둔 성과라고 할 수 있다. 때문에, 이번 승리가 마치 당장 인공지능이 인간을 뛰어넘어 그 이상으로 이어질 것처럼 받아들일 필요는 없다. 다만, 그 가능성을 더 가깝게 보였다는 것은 중요하다.
  • 우리의 미래
    • 인공지능이 궁극적으로는 인간의 ‘완전한 편의’를 위해서 발전되어 갈 것이지만, 그렇게 연결되기 위해서는 아직도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이 노력에는 인공지능 기술 R&D뿐 아니라 인공지능의 발전과 그 영향에 대한 고려도 당연히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 일단 앞으로 인공지능이 점점 더 발전할 환경에 놓일 것임은 분명하다. 컴퓨팅 파워도 점점 더 강력해 질것이고 소프트웨어적으로나 하드웨어적으로나 더 나은 알고리즘, 더 효율적인 데이터 저장 공간도 마련될 것이다. 그때에 가서는 인간의 감정조차 완벽에 가까울 만큼 인공지능에 의해 묘사될지도 모르겠다. 어쩌면 그 이상으로, 심지어 인간의 의지나 의식조차도 모방되어질지도 모를 일이다. 아마도 인공지능은 점점 인간을 닮아갈 것이다.
    • 이러한 측면에서 인공지능의 영향력과 그 의미에 대한 의견은 사실 많은 이들 사이에서 분분하다. 지난 11월 인공지능 학회에서 키노트 연설을 한 Christof Koch 박사는 인공지능이 얼마만큼 발전할 것인지를 묻는 질문에 대해 ‘절대 인간의 의지를 대신할 수는 없을 것’ 이라고 못 박았다. 과연 그럴까?
    • 인간의 감정이나 의지도 매우 복잡하긴 하지만 일련의 계산과 상태전이들로 묘사가 가능하다고 본다. 결국엔 인간의 생각도 컴퓨터에 의해 모방되어질 수 있다고 귀결되는 알론조 처치와 앨런 튜링의 수십년전 이론이 정확할 수 있다. 이런 인공지능이 실현된다면 상당한 파장이 예상된다.
    • 그 파장의 부정적인 측면을 상상해 보자면, 스티븐 호킹 박사나 테슬라 모터스의 CEO 앨런 머스크가 언급한 것처럼, 인공지능의 발달은 인류의 멸망을 초래할 수 있다는 말도 가능은 하다. 컴퓨터의 입장에서 보자면, 인간은 오류투성이에 감성적이고 비효율적인 존재일 수 있기 때문이다. 그쯤 되면, 끔찍하게도 인공지능이 인간을 ‘청소대상’으로도 볼 수 있다는 얘기다.
    • 반면, 긍정적인 측면을 보자면 인간의 감성과 의지를 모방함으로써 인공지능은 더욱 인간친화적인 많은 일들을 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가장 효율적이고 편의적인 지능사회의 실현을 바라볼 수 있다.
    • 위 상반된 내용에 대한 답은 앞으로 인공지능을 어떻게 발전시키고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선과 악을 따져가자면 철학적인 얘기로 빠질 수 있겠지만, 분명한 것은 인공지능은 인간과 집단의 이익을 위해 사용된다는 것이고, 이것이 잘못된 쪽으로 나가지 않게 잘 컨트롤 하는 것이 이 문제에 대한 해답이다. 당연한 결론이지만 이것을 실천하는 것이 반드시 쉽지만은 않을 것이기 때문에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 우리는 인공지능이 단지 바둑 프로그램에 그치는 것이 아닌 ‘인간을 위한 생각하는 인공지능’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영화와 소설 속에서나 상상하던 나쁜 일이 실제로 일어날 수도 있음을 그저 불안해하기 보다는, 선택의 기로에 서서 우리의 현명한 처세가 필요한 시점이다. 인공지능이 인류에게 재앙이 될지, 축복이 될지는 전적으로 우리의 의지에 달려있다.
    • 인공지능으로 이룰 수 있는 가능성은 무한하다. 그래서 그 가능성을 인류를 위한 방향으로 잡고 나아가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