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 Brain
송지환
SW기반정책·인재연구실
송지환책임연구원
031-739-7313
연구성과물
    • 2017.04.28
    • 25832

    ● 암호화 알고리즘의 취약점 발견과 컴퓨팅 성능의 빠른 발전으로 기존 암호화 알고리즘의 퇴출 주기가 빨라지고 있음
    ● 암호화 알고리즘의 취약점 발견 즉시 수정 패치를 즉시 반영하여 피해 발생을 최소화해야 함
    ● 보안에 민감한 영역에서 SHA-1 사용을 즉시 금지하고 그 이외의 사용에 대해서도 SHA-2 이상으로 전환 권장함
    ● 암호화 알고리즘의 일몰(sunsetting) 기한을 반드시 준수하여 보안 사고를 미리 대비해야 함

    • 2017.03.02
    • 27129

    ■ 사물인터넷의 다양한 활용으로 인터넷에 접속되는 기기의 수 급증
    ■ 스마트시티, 원격검침 등 저전력 장거리 통신이 필요한 서비스 증가로 이러한 특징을 갖는 무선 네트워크 필요성 증가
    ■ 국내의 경우 이동통신사 중심의 저전력 장거리 통신망 구축은 사물인터넷 시장 성장의 견인차 역할 예상
    ■ 기업들은 자신의 사물인터넷 서비스에 적합한 네트워크 서비스를 선택함으로써 서비스 품질 향상과 비용 절감 가능

    • 2016.11.18
    • 25383

    ■ 음성인식 개인비서 서비스가 스마트홈 기기까지 제어하면서 홈 어시스턴트라는 융합 시장이 빠르게 성장
    ■ 해외 홈 어시스턴트 시장은 ‘아마존 에코’, ‘구글 홈’, ‘애플 홈킷’ 등이 선도
    ■ 국내의 경우 최근 들어서야 ‘SKT 누구(NUGU)’가 출시되고 ‘네이버 아미카’가 발표되는 등 아직 시장 초기 단계

    • 2016.09.21
    • 36500

    ■ SSL/TLS는 인터넷 상에서 주고받는 민감정보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고 있으나 관련 보안 이슈로 위협 지속 발생
    ■ 보안에 취약한 SSL 2.0과 SSL 3.0의 사용을 자제하고 TLS 1.0 이상 사용 권장

    • 2016.08.09
    • 4735

    오늘 다룰 주제는 최근 논의가 되고 있는 빅데이터와 알고리즘 시스템에 대한 공정성 이슈인데요,
    혹시 여러분께서는 이러한 이슈를 들어보신 적이 있나요?
    아마도 생소한 내용일거라 생각합니다. (후략)

  • 그간 ICT기술의 발전으로 수많은 기업과 공공기관들은 대량의 데이터를 축적하여 왔는데, 이러한 빅데이터는 최근 ‘21세기의 원유’라고 불릴 정도로 경제적·사회적 가치를 인정받게 되었다. 빅데이터 중에서도 개인에 관한 일반적인 정보, 의료정보, 위치정보, 신용정보 등은 개인정보로 통칭되며, 빅데이터의 수집·분석과 관련된 빅데이터산업은 급속히 성장하고 있으며, 개인정보의 수집과 판매에 집중하는 데이터 브로커들도 미국을 비롯해 전세계적으로 활동하고 있다. (후략)

    • 2016.07.19
    • 25893

    ■ 해외의 경우 빅데이터와 알고리즘 시스템에 관한 논의 주제가 프라이버시 이슈에서 공정성/차별 이슈로 확대되어 나가는 추세
    ■ SNS, 검색엔진, 온라인 광고 등에서 예상치 못한 사회적 차별이 발생할 수 있음을 인지해야 함
    ■ “빅데이터와 알고리즘 시스템은 항상 공정하고 중립적이다”는 명제에 대해 항상 의문을 갖고 빅데이터의 수집 단계와 이를 처리하는 알고리즘 시스템의 설계 단계에서부터 주의를 기울여야 함

    • 2016.07.19
    • 14364

    페이팔의 글로벌 개발부장인 조너선 르블랑(Jonathan LeBlanc)은 IT 컨퍼런스에서 “Kill all Passwords”라는 다소 공격적인 주제로 여러 차례 발표하였다. 발표 내용에 따르면, 사람들은 여전히 ‘123456’, ‘qwerty’, ‘password’와 같은 단순한 패스워드를 사용하고 있으며, 더욱 놀라운 사실은 Top 1,000에 포함되는 패스워드를 사용하는 사람이 무려 91%가 넘는다고 한다. ···

    • 2016.05.25
    • 25956

    ■ 민감 정보에 대한 암호화 시행으로 암호화 솔루션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
    ■ 특히, 기존 레거시(legacy) 시스템과의 호환을 위해 형태 보존 암호화 기술 도입이 활발할 것으로 전망
    ■ 형태 보존 암호화 기술이 미국 NIST의 컴퓨터 보안 표준으로 제정되어 산업계 도입이 순조로울 것으로 예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