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Table of Contents 1. 국내외 정책 2. 기업·시장 동향 3. 고용·인력 동향 4. 기술동향
인공지능이 널리 활용됨에 따라 인공지능의 기술적 한계, 기술의 오남용 등의 사회적 역기능이 부각되고 있고, 이에 따라 인공지능 기술, 산업 생태계의 지속 성장 가능성이 도전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 (후략)
혁신 기술이 등장하면서 산업 간 경계가 무너지고 융합기술이 산업경쟁력을 제고시키는 중요 속성으로 작용하고 있다. (후략)
SPRi AI BRIEF 인공지능의 최신 동향 2022년 5월호
메타버스에서 시공간의 제약을 극복하며 유연하게 근무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되면서, 메타버스가 일하는 곳으로 주목받고 있다. 본 고에서는 메타버스 관련 일하는 방식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고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후략)
SPRi AI BRIEF 인공지능의 최신 동향 2022년 4월호
목차 Table of Contents 1. 국내외 정책 2. 기업·시장 동향 3. 고용·인력 동향 4. 기술 동향
1. 퓨 리서치(Pew Research), AI에 대한 인식조사 결과 발표
2. 오픈AI(OpenAI), 문장으로부터 이미지를 생성하는 AI 공개
3. 몬트리올.AI(Montreal.AI), 2021년 AI 도전과제 논의
4. 美 국방예산 중 6조원 이상 AI 연구개발에 투자
1. 세계경제포럼(WEF),「미래일자리 2020 보고서」발간
2. 라이카(Laika), AI로 애니메이션 제작 가속화
3. 아마존 알렉사(Alexa), 사용자에게 배우는 AI 탑재
4. AI 활용 확대를 위한 모델 경량화 연구 본격화
1. 딥마인드, AI로 50년 된 생명과학분야 난제 해결
2. 서비스나우, 엘리먼트AI 인수 발표
3. 유튜브, AI로 유해 동영상에 이어 악성 댓글 관리 강화
4. 구글, AI 학습 방식의 한계에 주목
1. 맥킨지,「2020년 글로벌 AI 실태조사」결과 발표
2. APEC 기업인자문위원회,「APEC 인공지능 보고서」발간
3. 美 차기 정부, AI와 양자정보과학 분야 지원 강화
4. 구글, “AI를 활용해 상상 속 생명체 제작 가능”
미래 국가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요소로 인공지능에 주목하고 있다. 인공지능은 산업과 사회 전반에 영향을 미치며, 2030년까지 전 세계 GDP에 13조 달러 기여 할 것으로 전망되며, 향후 국가의 인공지능 활용 역량에 따라 경쟁력에 큰 차이가(후략)
1. 엘리먼트 AI, 「글로벌 AI 인재보고서 2020」 발간
2. AI 선구자 제프리 힌튼 교수, “딥러닝의 무한한 잠재력 확신”
3. 스탠포드大, 딥페이크 잡는 AI 개발
4. AI로 만든 식물성 우유, 인기몰이 성공
1. 중국, 컴퓨터 비전 분야에서 미국 추월
2. 포브스紙, 차세대 AI 3대 기술 전망
3. 어도비, AI로 사진 속 인물의 나이 조절
4. 구글, AI를 이용한 검색기능 강화 발표
1. 스탠포드大 AI연구소, 美 연방기관의 AI 도입 실태 결과 발표
2. 엔비디아, 암(ARM) 인수로 AI 생태계에서 입지 강화
3. 스위스 향료회사, AI로 조미료 개발
4. 아마존, 이미지 인식 기반 비대면 생체인증 시스템 공개
인공지능 기술의 성숙도가 높아지면서 다양한 산업에서 인공지능을 도입하는 기업이 증가하고 있다. 이와 함께 인공지능 역량을 보유한 인재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고 있으나 인재 양성에 오랜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인재 부족 현상이 점차 심화될 전망이다.(후략)
1. 백악관, AI·양자연구소에 1조원 규모 투자 계획 발표
2. 페이스북, AI로 자막 제작
3. 미 컨슈머리포트, 테슬라 자율주행기술에 부정적 평가
4. GPT-3가 작성한 사설, 잠재력 보였지만 AI에게 저작권 부여는 무리
1. 구글, 올해 안에 AI 윤리 컨설팅 사업 추진
2. 링크드인, AI 편향성 감지 툴킷 공개
3. 영국 정부, 알고리즘을 활용한 성적 산출 시스템 도입 철회
4. 뉴럴링크, 뇌에 칩을 이식해 컴퓨터와 연결하는 기술 공개
1. 데이터과학자의 업무를 대체하는 AutoML의 부상
2. 유네스코, 테크노베이션과 함께 신흥국 여학생 AI 교육 프로그램 운영
3. 페이스북과 뉴욕대 연구팀, AI 활용해 MRI 검사시간 1/4로 단축
4. OpenAI의 GPT-3, AI의 진보인가 재앙인가 논란 촉발
1. CSET, AI 관련 기업 순위 지표 개발
2. 싱가포르국립대, 촉각을 부여한 로봇 손 개발
3. 옥스퍼드大, 공공부문의 AI 도입을 위한 거버넌스 위원회 출범
4. 마이크로소프트, AI 비서 코타나 모바일앱 종료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