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션 2 : SW중심사회와 교육
임성수 (국민대학교 교수) 대학의 SW교육 : 점검과 반성, 변화와 희망
길현영 (SPRi 선임연구원) 초중등 정보과학 교육을 위한 온라인 교육의 효과
사회 : 서정연 (서강대학교 교수)
세션 2 : SW중심사회와 교육
임성수 (국민대학교 교수) 대학의 SW교육 : 점검과 반성, 변화와 희망
길현영 (SPRi 선임연구원) 초중등 정보과학 교육을 위한 온라인 교육의 효과
사회 : 서정연 (서강대학교 교수)
세션 3 : SW중심사회와 안전
윤용철 (LG전자 전무) 자동차 산업에서 SW Safety의 중요성
민상윤 (솔루션링크 대표) ICT융합 시대에 걸맞는 SW 안전성
사회 : 박태형 (SPRi 선임연구원)
세션 1 : SW중심사회와 기업·정부
김명호 (마이크로소프트 상무) Algorithmic Transformation 시대의 기업
황종성 (NIA 정부3.0지원센터 센터장) 정부3.0이 만드는 SW중심사회
김석원 (SPRi 책임연구원) 국가 SW R&D 방향
사회 : 김준연 (SPRi 선임연구원)
세션 1 : SW중심사회와 기업·정부
김명호 (마이크로소프트 상무) Algorithmic Transformation 시대의 기업
황종성 (NIA 정부3.0지원센터 센터장) 정부3.0이 만드는 SW중심사회
김석원 (SPRi 책임연구원) 국가 SW R&D 방향
사회 : 김준연 (SPRi 선임연구원)
세션 1 : SW중심사회와 기업·정부
김명호 (마이크로소프트 상무) Algorithmic Transformation 시대의 기업
황종성 (NIA 정부3.0지원센터 센터장) 정부3.0이 만드는 SW중심사회
김석원 (SPRi 책임연구원) 국가 SW R&D 방향
사회 : 김준연 (SPRi 선임연구원)
온라인 교육 동향, 거꾸로 교실의 현황과 미래. 거꾸로 교실은 교육 혁명. 수업 혁신이 아닌 패러다임 전환에 가까운 교육혁명. 성적 서열화가 아닌 학생 잠재력의 재발견.
동평 중 사례 : 성적 우수 학생을 추월하는 학생들 생김. 성적 서열화로 인해 성적 우수 학생은 도움을 일방적으로 주어야 한다고 생각했으나, 거꾸로 교실 이후 협업이 강조되며 친구들의 각각의 장점과 능력을 발견하고 도움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을 깨달음
특정 학교가 아닌 거꾸로 교실을 실시한 모든 학교에 발견됨. 그동안 환경이 나빠 개선이 어렵다던 학교의 경우에도 성적 향상과 학급분위기 개선이 이루어짐
오일근 교수는 우리나라의 선진국으로의 자격요건 충족을 위해 융합적 가치를 중요하다 역설하였고, 이러한 가치 소유를 위해서는 분야와 학문을 아울러 설명 가능한 표준과 인증이다 주장함
이어서, 자신의 기술지식을 바탕으로 고품격 사회규범을 위한 인증과 표준을 구축하려는 고품격국가 실현을 위한 노력이 절실하다 주장함
교통분야는 90년대 초부터 IT 기술이 접목되었으며 교통센터는 1993년도에 설립되어 통계데이터(교통량, 속도 등)를 생성하였음. 2007년도에는 데이터베이스 센터를 건립하여 데이터를 3년~5년 주기로 보관하였으며 2008년부터는 교통예보가 시작됨.
SW교육에 관심이 높아진 요즘, 많은 분들이 관심은 있으나 두려움을 많이 가지고 계신듯 하여 2015년 1월 23일에, 누리꿈 스퀘어에 있었던 블로거 나눔 바자회에서 했었던 SW교육 관련 강의를 다시 소개시켜드립니다.
PC내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던 웹기술이, 수평적으로는 PC를 벗어난 모든 스마트기기에, 수직적으로는 응용프로그램, OS까지 거의 모든 기술영역에 보편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디자인적 사고(Design Thinking)의 힘: 창조적 자신감(Creative Confidence)을 되찾아라, by IDEO 창업자 David Kelly
내륙 도시 대구의 신성장동력 산업 물류비용 들지 않는 기업 우선해야 YAP 등 유망 모바일 플랫폼 기업들 텍폴에 유치, 비즈니스 생태계 조성> 필자는 대구에서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어언 30년 만에 매일신문의 지면을 통해 지역민들과 소통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된 점에 먼저 무한한 감사를 드린다.
SW중심사회를 맞아 SW개발자들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SW의 특성 상, SW는 모든 산업 분류에 간접적으로 포함되어있으며 'SW개발자' 직군에 대한 명확한 범위가 정의되어 있지 않아 SW개발자들에 대한 정확한 실태조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의견들이 있어왔습니다.
이에 2014년 [국내 SW생태계 견실화 저해요인 및 개선방안 연구] 를 위해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에서는 한국 SW개발자의 현황의 윤곽을 파악하는 수준의 온라인 실태조사를 실시했던 내용을 공유합니다.
2014 디지털 헬스케어 스타트업의 총 펀딩 규모는 41억$(전년대비 125% 증가)로, 한국에서도 Health 2.0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음
무어의 법칙에 따르면 2006년이 IT기술 발전 2년 주기의 32번째 되는 해로써 이미 우리는 기하급수적 발전 양상의 후반부에 접어들었고, 따라서 IT 기술은 의료와 약학 분야의 혁신을 견인할 충분한 잠재력과 가능성이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