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 KSIDI Report, 미국 노동통계국(2014)
    주1) 상대임금수준은 전체 직업의 임금대비 수준
    주2) 연평균 임금은 직업별 시간당 평균임금 추정치에 2,080시간을 곱해서 계산되며, 경우에 따라서 시간당 평균임금을 제공하지 않는 경우 조사된 연임금 값을 사용
    주3) SW직업 인력 평균은 SW직종별(하단 음영 표시) 데이터의 평균치임

    • 2015.05.22
    • 11798

    월간SW중심사회 2015년 5월호

    • 2015.05.22
    • 3941

    미국 학생의 99%가 초고속 인터넷망에 접속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ConnectED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저소득층에게 무료전자책을 제공
    노스캐롤라이나주 무어스빌 중학교를 방문한 자리에서 해당 이니셔티브를 최초 발표(2013. 6. 6)
    오바마 대통령은 최근 주례라디오 연설에서 워싱턴DC 빈민가인 애너코스티어 공립도서관에서 해당 지역 중학생들과 나눈 이야기를 소개하면서 ConnectED의 중요성을 재차 언급하며 무료전자책 지원 계획을 공개

    • 2015.05.22
    • 3419

    웨어러블 스마트 기기의 효과적인 국제표준화 추진을 위해 2015년 웨어러블 스마트 디바이스 국제포럼을 개최
    최근 정부에서 발표한 19대 미래성장동력 중 하나로 선정된 착용형 스마트기기의 표준을 통한 산업육성 지원이 주요 목표
    웨어러블 핵심기술 동향 및 표준화를 주제로 미국, 일본, 중국 등 5개국 전문가들과 협력해 방안을 모색할 계획

    • 2015.05.22
    • 4097

    지방자치단체가 소프트웨어 사업 발주 시 업체들의 덤핑수주를 차단하도록 입찰 제도를 개선
    소프트웨어의 일자리 창출효과가 크고, 부가가치 제고 기여도가 높으나 저가 가격경쟁으로 인해 기술경쟁력이 취약한 상황
    협상계약 방식으로 발주하는 모든 사업을 최저입찰가격 평가를 기존 60% 미만 일 경우 60%로 평가해왔으나 이를 80%까지 상향 평가토록 함으로써 저가경쟁을 차단

    • 2015.05.22
    • 3583

    클라우드컴퓨팅 발전법 시행령안 입법예고 (2015. 5. 1)
    지난 3월 27일 공포된 클라우드컴퓨팅 발전 및 이용자 보호에 관한 법률의 시행령안을 마련하고 이해관계자 등 국민의 의견수립을 위해 입법예고 공포
    시행령안은 대통령령으로 규정하도록 위임한 사항과 기타 법률의 시행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

    • 2015.05.22
    • 17981

    IoT 플랫폼이 확산되는 추세와 더불어 시큐어 코딩의 중요성이 증가
    국내 감리대상 사업의 시큐어코딩 적용 범위가 늘어남으로써 이에 따른 시큐어코딩 솔루션 업체의 경쟁이 본격화
    해외 시큐어코딩 표준이 모바일 영역으로 확장되는 가운데, KISA는 2013년도 가이드라인 갱신 이후, 2015년도 개발보안 가이드라인 개정을 준비 중에 있음

  • 2015년 3월 초, 클라우드컴퓨팅 발전 및 이용자 보호에 관한 법률(클라우드 발전법) 통과와 함께 2015년 9월 정식 시행을 앞두고 글로벌 클라우드 기업의 국내 시장 진출이 본격화될 전망
    정부는 시행령안과 지원 사업 등 발표, 국내 SW 기업은 제품의 클라우드화를 통해 대응하고 있으나, 경쟁력 있는 생태계 조성을 위한 기반 마련 시급

    • 2015.05.22
    • 19065

    의료분야에서 음성인식 SW는 세부 시장에 따라 전략적 접근 필요
    음성기반 전자의무기록(EHR/EMR) 지원 SW는 의료분야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나 국가별 의료 관련 제도와 규제 고려한 접근 필요
    개인용 의료보조 기기의 제어와 음성인식을 통한 언어 장애, 개인 감정 및 건강 상태 분석 SW로서 글로벌 잠재력 보유

    • 2015.05.22
    • 14204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의 확산에 따라 자동차와 인터넷을 연결하는 ‘커넥티드 카’ 등장
    반면, 자동차 제조사와 스마트폰 OS 업체의 경쟁구도로 인한 확산의 정체 현상 발생
    커넥티드 카에 대한 기술들은 개발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나, 자동차 제조사와 스마트 폰 OS 업체의 주도권 경쟁으로 인해 도입이 정체됨
    결국은 SW 기술에 경쟁 우위를 가지고 있는 스마트폰 OS 기업 위주의 ‘커넥티드 카’가 정 착될 것이며 새로운 스마트폰 OS간의 격전지가 될 것으로 예상됨

    • 2015.05.22
    • 14869

    IBM은 왓슨 기반 개방형 헬스 클라우드 플랫폼 구축 추진
    왓슨의 인공지능 역량을 기반으로 방대한 데이터를 수집·분석할 수 있는 생태계를 조성하여 개인 건강 및 의료 서비스의 혁신이 가속화될 전망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 주도권을 잡기 위한 해외 기업의 움직임이 빨라지고 있어 국내 기업의 신속한 대응과 정부의 규제개선이 필요

    • 2015.05.22
    • 10148

    국내 IT Spending 가운데 통신서비스 부문이 약 36조 원으로 가장 높았으며 그다음으로 IT 서비스(약 19조 원), 디바이스(약 19조 원), 소프트웨어(약 5조 원), 데이터센터(약 2조 원) 순으로 나타남

    • 2015.05.22
    • 9014

    소프트웨어 생산 현황, 소프트웨어 수출 현황 통계

    • 2015.05.22
    • 9128

    SW혁명이라고 할 만큼 모든 산업부문에서 SW에 의한 혁신이 진행되고 있는 상황인데, 정작 많은 사람들의 인식은 이에 미치지 못하는 것 같다는 얘기가 많다. 왜 그럴까?
    세 가지 정도의 이유를 생각해 볼 수 있다. 먼저, 눈에 보이지 않는 SW의 특성이 SW 자체에 대한 인식을 어렵게 한다.

    • 2015.05.22
    • 9016

    SW중심사회는 SW의 광범위한 사용을 통해 삶의 질이 향상되고, SW가 개인, 기업 그리고 국가의 경쟁력이 되는 사회를 말한다. SW가 모든 산업의 기반기술이 될 뿐만 아니라, SW로 혁신이 일상적으로 일어나는 사회이며, SW기업이 성장을 주도하는 사회로 특징되기도 한다.

    • 2015.05.22
    • 11962

    플랫폼을 간단히 “컴포넌트(Components)와 룰(Rule)의 집합”이라 정의하는 것이 일반적인 정의이나 그 의미와 필요 요소들을 정확히 집어내기에 너무 포괄적이다. 때문에 플랫폼 비즈니스를 표방하는 수 많은 비즈니스 모델 중에서 그 본질을 스스로 정의하지 못하고 수행하는 경우를 종종 보게 된다.

    • 2015.05.22
    • 8807

    영화 ‘어벤져스2’에는 각기 다른 능력을 갖춘 영웅들이 등장한다. 현실의 한계를 돌파할 힘의 원천이 팀워크에 있다는 메시지를 던지는 이 영화에 관객들의 반응이 뜨겁다. 닷컴 버블이 붕괴되던 2000년 당시 김형곤 대표는 공학경영 전문가인 최용호 대표, 기술적 혜안을 가진 송화준 CTO, 경영전략 전문가 김영현 넥사웹재팬 대표와 손잡고 투비소프트를 설립한다.

    • 2015.05.21
    • 5057

    [embedyt alt="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한국게임이 갖춰야 할 것"]https://www.youtube.com/embed/f2IRO0_NmCc[/embedyt] 최근 몇 년간 사람들의 삶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디지털 기기는 스마트폰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개인의 여가시간 중, 스마트폰을 통해 여행지를 찾거나, 책이나 기사를 읽고 그보다 더 직접적으로는 게임을 하기도 합니다. ... (후략)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양병석 연구원]

    • 2015.05.19
    • 8546

    일반 대중에게 가장 영향이 클 것으로 예상되는 영역은 스마트 홈 영역으로 보안, 난방, 전기 에너지 컨트롤, 환기, 전등 컨트롤 등을 포함하고 있음
    비콘 기술도 진화 중: 1년 사용 가능한 3mm 두께 스티커형 비콘이 출현하면서 사용성이 다양화됨
    최근 웨어러블의 새로운 시도는 Quantified Self를 바탕으로 체온 변화 측정, 자세 교정, 수면 측정 등을 아우르고 있으며 웨어러블끼리의 결합도 나타나고 있음
    한국 IoT 정책은 특정 기술, 분야의 스타 중소기업을 육성하고 중소기업간 네트워크를 구축하며 소프트웨어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쪽으로 발전하는 것이 좋을 것

    • 2015.05.18
    • 4010

    세션 2 : SW중심사회와 교육
    임성수 (국민대학교 교수) 대학의 SW교육 : 점검과 반성, 변화와 희망
    길현영 (SPRi 선임연구원) 초중등 정보과학 교육을 위한 온라인 교육의 효과
    사회 : 서정연 (서강대학교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