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 1 장 조사 개요 01. 조사 목적 02. 조사 개요 03. 표본 설계 04. 조사 완료 및 유효표본 05. 주요 조사 내용 제 2 장 조사 결과 01. 일반 현황 및 재무 현황 02. 인력 현황 03. SW 기술 04. 디지털전환 도입 및 수준 현황 05. 데이터 현황 부록 01. 용어 정의 02. 조사 결과 부록표 03. 주요 항목 상대표준오차 04. 조사표

  • 2023 SW산업 실태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SPRi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Software Policy & Research Institute

  • 최근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고 국내 SW융합인력 수요가 급증하면서 자동차, 의료, 도소매업 등 타 산업에서 SW융합인력에게 원하는 역할과 요구사항의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SW융합인력이 방대한 양의 데이터 분석, 제조 공정·보험 설계 등 도메인 지식이 필요한 업무의 디지털화, ChatGPT, 딥러닝과 같은 신기술의 적용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 본고는 지속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 국내 SW융합인력 양성을 위한 시의적절한 정책 수립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1) 관련 현황 및 문제점을 파악하고 2) 채용공고 데이터 기반의 SW융합인력 수요분석 정보를 제공하며 3) 분석 결과에 따른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SW융합인력이란, “SW융합인력에 대해 한국표준산업분류에서 SW산업을 제외한 산업에서 SW융합 활동이 있는 기업에 재직하는 SW인력”으로 정의하였다. 연구진은 온라인 채용정보 데이터를 활용하여 산업별, 지역별, 경력별, 학력별, 직무별, 기술 스택별 SW융합인력의 수요를 분석하였다. 단, 채용인원을 정확히 제시하지 않는 온라인 채용공고 데이터의 한계로, 채용공고 건수를 기준으로 수요를 파악하였다. SW융합인력의 수요가 많은 산업은 전자 부품·컴퓨터, 의료, 자동차, 도매 및 상품 중개업 순이었다. SW 융합인력은 3년 이상의 경력자에 대한 수요가 가장 많았으며, 신입에 대한 수요는 12%에 불과하였다. SW산업과 SW융합산업에서 요구하는 경력별, 학력별, 지역별, 직무별 인력 수요는 다소 차이가 있으며, 이에 따라 요구되는 기술 스택도 상이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SW융합인력의 수요 증가에 대응하여 SW융합인력의 범위, 양성 방향 등에 대한 관련 산업계·학계·연구계의 사회적 합의 도출과 이에 따른 체계적 양성이 시급하다. SW융합인력 수급 지속가능성 제고를 위해 SW융합인력 양성 교육의 실무 적합성과 시의성을 개선, SW융합인력의 장기적 성장 지원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SW융합인력에 대한 면밀한 수요분석을 통해, SW융합인력에 대한 수요가 상대적으로 큰 도메인, 직무 등을 중심으로 전략적으로 양성하는 것이 우선되어야 한다. 수도권 외 지역에 대한 SW융합인력의 원활한 수급을 위해, 지역별 특화산업과 연계된 SW융합인력 양성방안도 고려해야 한다. Executive Summary As digital transformation accelerates and the demand for software convergence workers in Korea is glowing rapidly in recent years, the range of roles for software convergence workers in other industries such as automotive, healthcare, and wholesale and retail is expanding. In order to help establish timely policies to foster software convergence workforce in Korea, which is expected to continue to grow, this paper aims to 1) Identify relevant status and problems, 2) Provide information on demand analysis of software convergence workforce based on job postings data, and 3) Present implication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Software convergence workforce is defined as “Software talent who are employed in companies with SW convergence activities in industries other than the SW industry in the Korean Standard Industrial Classification.” The researchers analyzed the demand for software convergence workers by industry, region, experience, education, job function, and technology stack using online recruitment data. The industries with the highest demand for software convergence workers are electronics&computers, healthcare, automotive, and wholesale. Software convergence workers were most in demand for those with more than 3 years of experience, while only 12% of new employees were hired. In response to the increasing demand for software convergence manpower, it is urgent to derive a social consensus among related industries, academia, and research institute on the scope and direction of manpower and systematic training is urgently needed. To improve the sustainability of manpower supply and demand,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practical relevance and timeliness of software convergence manpower training and establish a support system for the long-term growth of manpower. Through a careful analysis of the demand for manpower, it should be prioritized to strategically cultivate software convergence manpower centered on domains and jobs that have a relatively large demand for software convergence manpower.
  • 자료) 유럽연합 통계청(Eurostat) Annual detailed enterprise statistics for services(2023.3)
    주1) SW개발 및 공급업 : 컴퓨터 게임 출판, 기타 소프트웨어 출판
    주2) 컴퓨터 프로그래밍 및 컨설팅 : 컴퓨터 프로그래밍, 컴퓨터 시설관리, 기타 정보기술 및 컴퓨터 서비스

  • 자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SW산업실태조사(2023.4)
    주1) 신SW 진출 기업 대상으로 한 결과임
    주2) 상대표준오차(RSE)의 범위가 30%~60%인 경우(*로 표시)는 주의와 함께 이용 가능한 수치이며, 60% 이상인 경우(**로 표시)는 이용에 주의가 필요

  • 자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ICT주요품목동향조사(2023.2)
    주1) 월별 수치는 잠정치로 추후 연간조사를 통해 확정치로 대체될 예정
    주2) SW산업 생산 통계는 SW기업이 판매한 SW제품 매출을 집계한 금액으로 기업의 총 매출액과는 차이 있음(예, 기업의 총 매출이 100이고 그 중 SW제품 매출이 60, 비SW제품 매출이 40 일 경우 SW생산액은 60)

  • 자료) 한국교육개발원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통계조사(2022.12)
    주1) 졸업자는 기능대학, 전문대학, 산업대학, 대학, 일반대학원 모두를 포함
    주2) 응용SW공학 : 응용소프트웨어공학과, 게임개발학과 등 253개 학과
    주3) 전산・컴퓨터공학 : 전산정보학과, 컴퓨터공학과, 디지털콘텐츠학과 등 380개 학과
    주4) 정보・통신공학 : 정보공학과, 전자통신공학과 등 595개 학과(‘2022년 학과(전공)분류자료집’ 참조)
    주5) SW전공 : 응용SW공학, 전산・컴퓨터공학, 정보・통신공학

  • 자료) KOSA SW기술자 임금실태조사(2022.12)
    주1) 응답업체수 : 1,092업체
    주2) SW기술자 평균임금은 기본급+제수당+상여금+퇴직급여충당금+법인부담금을 모두 포함
    주3) 시간평균임금은 일평균÷8시간, 일평균임금은 월평균÷근무일수(20.6일)로 각각 산정함
    주4) 연평균 임금은 월평균 임금을 12개월로 계산한 수치임

  • 자료) 통계청 서비스업 조사(2023.3)
    주1) 평균급여액은 전체종사자를 기준으로 산출(급여총액/종사자수)
    주2) 패키지SW : 시스템·응용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58220)
    주3) IT서비스 : 컴퓨터 프로그래밍, 시스템 통합 및 관리업(620)
    주4) 게임SW : 게임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58210)
    주5) 인터넷SW(정보서비스) : 자료 처리, 호스팅 및 관련 서비스업(63110), 포털 및 기타 인터넷 정보매개 서비스업(63120), 그 외 기타 정보 서비스업(63990)

  • 자료)과학기술정보통신부 ICT실태조사(2023.7), ICT인력동향실태조사(2023.9)
    주1)2019년을 기준으로 패키지SW와 IT서비스 업종 간 주산업 분류기준이 조정됨

  • 자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SW산업실태조사(2023.4)
    주1) 상대표준오차(RSE)의 범위가 30%~60%인 경우(*로 표시)는 주의와 함께 이용 가능한 수치이며, 60% 이상인 경우(**로 표시)는 이용에 주의가 필요
    주2) 한국표준직업분류(KSCO, 7차 개정)를 기준으로 분류하였으며, 일부 직종은 정책 목적에 따라 세분화 함
    주3) 컴퓨터시스템 분석가 : 시스템 분석 및 설계, 네트워크 아키텍트
    주4) SW개발자 : 시스템SW 개발, 응용SW 개발, 테스팅/품질관리
    주5) 웹 전문가 : 웹개발, 웹/앱 UI/UX 디자인
    주6) 정보 시스템 운영 및 지원 : 정보시스템 관리, 네트워크 운영지원, 웹 운영, 사용자 지원
    주7) 데이터 전문가 : 데이터설계 및 프로그래머, 데이터 분석가, 데이터베이스 관리

  • 자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SW산업실태조사(2023.4)

  • 자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SW산업실태조사(2023.4)
    주1) 전공구분은 한국교육개발원 ‘2020년 학과(전공)분류자료집’을 기반으로 SPRi에서 재구성함
    주2) SW계열 : 응용소프트웨어 공학, 전산·컴퓨터 공학, 정보·통신 공학
    주3) 공학계열 : 건축, 교통·운송, 기계·금속 등 SW계열 전공을 제외한 공학계열
    주4) 자연계열 : 농림·수산, 생물·화학·환경, 생활과학, 수학·물리·천문·지리
    주5) 기타 : 교육계열, 사회계열, 예체틍계열, 의약계열, 인문계열

  • 자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SW산업실태조사(2023.4)
    주1) 복수응답
    주2) 상대표준오차(RSE)의 범위가 30%~60%인 경우(*로 표시)는 주의와 함께 이용 가능한 수치이며, 60% 이상인 경우(**로 표시)는 이용에 주의가 필요
    주3) Visual 계열 : Visual Basic, Visual C++, .NET
    주4) 기타 : Assembly language, Delphi/Object Pascal, MATLAB, Pascal, R 등

  • 자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SW산업실태조사(2023.4)
    주1) 상대표준오차(RSE)의 범위가 30%~60%인 경우(*로 표시)는 주의와 함께 이용 가능한 수치이며, 60% 이상인 경우(**로 표시)는 이용에 주의가 필요
    주2) 2022년 수치는 조사시점(2022.10) 연구개발비를 기준으로 연말 기준 연구개발비를 추정한 수치임

  • 자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SW산업실태조사(2023.4)
    주1)연구개발 집약도(R&D Intensity)는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 규모로 기업의 혁신성을 평가하는 주요 지표로 활용됨, 연구개발집약도 = 연구개발비 / 개별매출액 × 100
    주2) 2022년 수치는 연구개발비와 개별매출액의 2022년 예측치를 기반으로 연구개발 집약도를 계산한 수치임

  • 자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ICT실태조사(2023.7)
    주1) 기업 수는 단독사업체, 본사, 본점 기준

  • 자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SW산업실태조사(2023.4)

  • 자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SW산업실태조사(2023.4)
    주1) 신SW 진출 기업 대상으로 한 결과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