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 KOSA SW기술자 임금실태조사(2022.12)
주1) 응답업체수 : 1,092업체
주2) SW기술자 평균임금은 기본급+제수당+상여금+퇴직급여충당금+법인부담금을 모두 포함
주3) 시간평균임금은 일평균÷8시간, 일평균임금은 월평균÷근무일수(20.6일)로 각각 산정함
주4) 연평균 임금은 월평균 임금을 12개월로 계산한 수치임
자료) KOSA SW기술자 임금실태조사(2022.12)
주1) 응답업체수 : 1,092업체
주2) SW기술자 평균임금은 기본급+제수당+상여금+퇴직급여충당금+법인부담금을 모두 포함
주3) 시간평균임금은 일평균÷8시간, 일평균임금은 월평균÷근무일수(20.6일)로 각각 산정함
주4) 연평균 임금은 월평균 임금을 12개월로 계산한 수치임
자료) 통계청 서비스업 조사(2023.3)
주1) 평균급여액은 전체종사자를 기준으로 산출(급여총액/종사자수)
주2) 패키지SW : 시스템·응용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58220)
주3) IT서비스 : 컴퓨터 프로그래밍, 시스템 통합 및 관리업(620)
주4) 게임SW : 게임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58210)
주5) 인터넷SW(정보서비스) : 자료 처리, 호스팅 및 관련 서비스업(63110), 포털 및 기타 인터넷 정보매개 서비스업(63120), 그 외 기타 정보 서비스업(63990)
자료)과학기술정보통신부 ICT실태조사(2023.7), ICT인력동향실태조사(2023.9)
주1)2019년을 기준으로 패키지SW와 IT서비스 업종 간 주산업 분류기준이 조정됨
자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SW산업실태조사(2023.4)
주1) 상대표준오차(RSE)의 범위가 30%~60%인 경우(*로 표시)는 주의와 함께 이용 가능한 수치이며, 60% 이상인 경우(**로 표시)는 이용에 주의가 필요
주2) 한국표준직업분류(KSCO, 7차 개정)를 기준으로 분류하였으며, 일부 직종은 정책 목적에 따라 세분화 함
주3) 컴퓨터시스템 분석가 : 시스템 분석 및 설계, 네트워크 아키텍트
주4) SW개발자 : 시스템SW 개발, 응용SW 개발, 테스팅/품질관리
주5) 웹 전문가 : 웹개발, 웹/앱 UI/UX 디자인
주6) 정보 시스템 운영 및 지원 : 정보시스템 관리, 네트워크 운영지원, 웹 운영, 사용자 지원
주7) 데이터 전문가 : 데이터설계 및 프로그래머, 데이터 분석가, 데이터베이스 관리
자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SW산업실태조사(2023.4)
주1) 전공구분은 한국교육개발원 ‘2020년 학과(전공)분류자료집’을 기반으로 SPRi에서 재구성함
주2) SW계열 : 응용소프트웨어 공학, 전산·컴퓨터 공학, 정보·통신 공학
주3) 공학계열 : 건축, 교통·운송, 기계·금속 등 SW계열 전공을 제외한 공학계열
주4) 자연계열 : 농림·수산, 생물·화학·환경, 생활과학, 수학·물리·천문·지리
주5) 기타 : 교육계열, 사회계열, 예체틍계열, 의약계열, 인문계열
자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SW산업실태조사(2023.4)
주1) 복수응답
주2) 상대표준오차(RSE)의 범위가 30%~60%인 경우(*로 표시)는 주의와 함께 이용 가능한 수치이며, 60% 이상인 경우(**로 표시)는 이용에 주의가 필요
주3) Visual 계열 : Visual Basic, Visual C++, .NET
주4) 기타 : Assembly language, Delphi/Object Pascal, MATLAB, Pascal, R 등
자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SW산업실태조사(2023.4)
주1) 상대표준오차(RSE)의 범위가 30%~60%인 경우(*로 표시)는 주의와 함께 이용 가능한 수치이며, 60% 이상인 경우(**로 표시)는 이용에 주의가 필요
주2) 2022년 수치는 조사시점(2022.10) 연구개발비를 기준으로 연말 기준 연구개발비를 추정한 수치임
자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SW산업실태조사(2023.4)
주1)연구개발 집약도(R&D Intensity)는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 규모로 기업의 혁신성을 평가하는 주요 지표로 활용됨, 연구개발집약도 = 연구개발비 / 개별매출액 × 100
주2) 2022년 수치는 연구개발비와 개별매출액의 2022년 예측치를 기반으로 연구개발 집약도를 계산한 수치임
자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ICT실태조사(2023.7)
주1) 기업 수는 단독사업체, 본사, 본점 기준
자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SW산업실태조사(2023.4)
주1) 신SW 진출 기업 대상으로 한 결과임
자료) 한국거래소 KRX Indices(2023.4)
주1)각 년도 말일 기준 주가지수 기준
주2)코스닥 산업별 지수 기준시점은 1996. 7. 1, 기준지수 1,000으로 시작(단, 운송은 2000. 6. 4. 기준)
주3) 코스닥 IT SW/서비스 주가지수는 총 180개 기업(2022년 4월 기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시가총액기준 대표기업은 카카오게임즈, 펄어비스, 위메이드, 넥슨게임즈, 디어유 등의 순임
자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SW산업실태조사(2023.4)
주1) SW기업 전체를 대상으로 한 결과임
자료) NIPA 공공부문 SW·ICT장비 수요예보(확정)(2023.3)
주1) 기타 항목에는 DBMS, 미들웨어 등이 포함
자료) NIPA 공공 SW·ICT장비 수요예보(확정) 결과(2023.3)
자료) IDC Worldwide Blackbook(2023.9)
주1) SW시장규모는 최종 수요자의 SW Spending 기준이며, 패키지SW와 IT서비스 시장만을 포함
자료) 패키지SW, IT서비스 : IDC Worldwide Blackbook(2023.9), 게임SW : 한국콘텐츠진흥원 대한민국게임백서(2023.1)
주1) SW시장규모는 최종 수요자의 SW Spending 기준, IDC에서는 모든 시장 데이터에 대해 전년도 기준 환율로 재환산하여 발표하므로, 매년 시장 규모는 기존 발표 데이터와 차이 있음
자료) IDC(2023.5)
주1) SW시장규모는 SW Revenue기준
자료) 패키지SW, IT서비스 : IDC Worldwide Blackbook(2023.9), 게임SW : 한국콘텐츠진흥원 대한민국게임백서(2023.1)
주1) SW시장규모는 최종 수요자의 SW Spending 기준, IDC에서는 모든 시장 데이터에 대해 전년도 기준 환율로 재환산하여 발표하므로, 매년 시장 규모는 기존 발표 데이터와 차이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