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의료정보 활용의 현실적 제약을 알아보고 의료기기 관련산업의 국내정책 동향을 짚어본다. 나아가 의료산업 핵심 기술 내용을 보고 그 가운데 빅데이터 기술을 이용한 보건의료정보 플랫폼을 구축하는 과정, 해외의 의료기술 동향을 확인하고 보건의료정보 시스템의 구축 과제와 전망을 들어본다.
보건의료정보 활용의 현실적 제약을 알아보고 의료기기 관련산업의 국내정책 동향을 짚어본다. 나아가 의료산업 핵심 기술 내용을 보고 그 가운데 빅데이터 기술을 이용한 보건의료정보 플랫폼을 구축하는 과정, 해외의 의료기술 동향을 확인하고 보건의료정보 시스템의 구축 과제와 전망을 들어본다.
ㅇ 사회현안과 공중보건에서의 데이터 활용
ㅇ 의료정보기술의 현황과 SW 정책방향
▪ 중국에서는 만성적인 의료 분야 과소 투자와 의료 자원의 분산으로 인해 이를 인터넷 플랫폼으로 통합하여 전체 사회가 공유하는 의료 공유가 부상
한국을 포함한 미국, 중국, 일본 등 각국은 현재 노인인구 증가, 만성질환 중심의 질병구조 변화 등으로 의료비 지출이 빠른 속도로 증가하여 헬스케어 시스템 혁신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각국은 의료 시스템의 질을 높임과 동시에 비용을 절감해야 하는 압력에 직면해 있다. (후략)
국내는 전국민을 대상으로 한 보건의료빅데이터를 장기간 보유하고 있는 특수성이 있으며 심평원은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보건의료데이터를 유의미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빅데이터 개방 플랫폼을 구축하여 빅데이터의 유용성과 접근성을 높여 나가고 있음, 향후 심평원의 데이터와 외부 데이터의 연계·융합하여 새로운 가치창출에 기여하고자 함
Healthcare에서의 AI 적용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므로 실제 국내 의료 현장의 현황을 살펴봄으로서 현재와 미래를 대비하고 AI의 핵심으로 부상한 의료 정보를 활용하기 위해 개인정보보호법을 비롯한 각종 법률 체계의 검토·개선이 필요함
IoT, Cloud, BigData 등의 SW기술은 데이터에 기반한 근거주의 의료혁신을 일으키며 연관된 다양한 산업들이 성장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하에 국내의 의료IT 현황을 살펴보고 표준화된 심사평가 시스템을 제안한다.
2014 디지털 헬스케어 스타트업의 총 펀딩 규모는 41억$(전년대비 125% 증가)로, 한국에서도 Health 2.0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음
무어의 법칙에 따르면 2006년이 IT기술 발전 2년 주기의 32번째 되는 해로써 이미 우리는 기하급수적 발전 양상의 후반부에 접어들었고, 따라서 IT 기술은 의료와 약학 분야의 혁신을 견인할 충분한 잠재력과 가능성이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