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0.08.07
    • 29050

    인공지능이 미래의 산업과 사회를 견인 할 혁신 성장 동력으로 주목받으면서, 인공지능 연구역량 강화가 중요한 이슈로 부상하고 있다. 연구 역량은 기술혁신에 가장 중요한 무형의 활동으로서 신기술 시장에서 최상의 성과를 달성하는 데 필수적 요소이다. 이에 본고에서는(후략)

    • 2020.08.06
    • 2655
    (원문보기 >>>https://msit.go.kr/web/msipContents/contentsView.do?cateId=_policycom11&artId=3014560) 과학기술&ICT 동향 제172호 입니다. now.k2base.re.kr을 통해서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CONTENTS >------------------------------------- 1 이슈 분석: 1 글로벌 미래사회 전망·예측연구 동향분석 2 주요 동향 14 1) 과학기술 14 미국, 미래 산업 내 리더십 강화 방안 제시 14 미국, 미중 기술 전쟁 심화 16 일본, ‘지역・인재・업무 활성화 방침 2020’ 발표 18 일본, R&D 시설・장비 관련 의제 발표 20 중국, 반도체 기술이 직면한 이슈 논의 22 영국, 디지털 공급망 산업연구 추진 24 독일, EU 정책 우선순위 제시 26 2) ICT 27 디지털 뉴딜 신호탄, 데이터 역량과 5G 기술력이 핵심 동력 27 ICT 규제샌드박스 개선으로 모바일 전자고지・공유주방 등 시장 탄력 31 글로벌 시장에서 중국 기업 제품・서비스 퇴출 움직임 확산 35 TSMC, 화웨이와 거래 중단 공식 선언하며 반도체 업계 촉각 40 일본, 공급망 다변화 추진하며 반도체 등 산업 경쟁력 강화 도모 43 유럽사법재판소, EU-미국 데이터 전송 합의 무효 판결 46 3 단신 동향 48 1) 해외 48 2) 국내 54 4 주요 통계 58
    • 2020.08.06
    • 1647
    (원문보기 >>>https://msit.go.kr/web/msipContents/contentsView.do?cateId=_policycom11&artId=2986327) 과학기술&ICT 동향 제171호 입니다. now.k2base.re.kr을 통해서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CONTENTS >------------------------------------- 1 이슈 분석 1 포스트 코로나 대응 일본 과학기술혁신 관련 주요 정책 방향 2 주요 동향 11 1) 과학기술 11 미국, 반도체 산업 현황 분석 11 미국, 50대 혁신기업 선정 및 성공요인 분석 13 미국, 과학기술 강화를 위한 관련 법안 소개 15 일본, 포스트 코로나 디지털 변혁 가속화 추진 17 일본, ’20년 혁신사업 중점 시책 논의 19 중국, 산업 인터넷 인재 백서 발표 21 영국, 정부 R&D 투자 로드맵 발표 22 독일, 국가 치매 전략 채택 24 2) ICT 26 데이터 경제로의 전환 가속…의료 데이터 시장 활성화 기대 26 5G 스마트폰 시장, 하반기 애플 참전으로 경쟁 심화 전망 30 코로나19가 앞당긴 디지털 피트니스, 차세대 헬스산업 트렌드로 부상 33 일본,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한 과학기술혁신정책 방향 제시 37 美, 국가 AI 연구클라우드 구축하며 중국 AI굴기 대응 40 애플 ‘WWDC 2020’, iOS 14 등 최신 SW 공개・CPU 독립선언 42 3 단신 동향 47 1) 해외 47 2) 국내 54 4 주요 통계 59
    • 2020.08.03
    • 3348

    2020년 7월 GS인증현황 통계가 업데이트 되었음을 안내드립니다.

    SW기업 혁신 현황 > SW품질 인증 현황 > GS인증 현황

    • 2020.07.30
    • 4024

    2019년 소프트웨어산업 실태조사 보고서가 업로드되었습니다.
    ICT실태조사 부가조사 소프트웨어산업실태조사(승인번호 127005호)

    SW통계 홈페이지(Software Stat) > 정보센터 > SW산업실태조사 보고서

    • 2020.07.30
    • 3665

    2020년 상반기 SW통계 정기 업데이트가 완료 되었습니다.

    <주요 업데이트 분야>
    1. SW산업 통계
    2. SW시장 통계
    3. SW산업과 주요경제지표
    4. SW기업 혁신 현황
    5. 타산업의 SW융합 현황
    6. 해외 주요국 SW통계

    • 2020.07.30
    • 7932

    월간SW중심사회 2020년 7월호

    • 2020.07.30
    • 15877

    소프트웨어산업진흥법이 18년 만에 『소프트웨어진흥법』으로 전면 개정되었다. 그간 산업계가 줄기차게 요구해 온 해묵은 소프트웨어(SW)산업 선진화 숙제를 해결하기 위해 48개조에서 78개조로 확대되었으며 원격지개발, 과업변경에 따른(후략)

    • 2020.07.30
    • 15761

    “최소한 수년이 걸릴 디지털 전환이 지난 수개월 만에 이뤄졌다. 위기상황에서 산업과 사회 시스템 유지와 회복, 팬데믹 극복에 디지털 기술이 얼마나 중요한지가 확인됐다. 앞으로 모든 기업과 국가의 경쟁력은 디지털과 데이터, 언택트 수준이 좌우할 것이다.”(후략)

    • 2020.07.30
    • 15511

    4차 산업혁명 이후 데이터의 중요성은 커져 가고 있다. 국회에서 데이터청 설립 논의가 진행 중이다. 하지만 데이터의 권리에 대한 명확한 정립이 없어서 데이터를 보유한 민간기업이 시장에 데이터를 제공할 동인이 없다. (후략)

  • 자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SW융합 실태조사(2020.4)

  • 자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SW융합 실태조사(2020.4)

  • 1. 바이두, AI 포함 향후 10년 투자 계획 발표

    2. 美 국방부, 차세대 전투기에 AI 적극 활용, 개발 가속화

    3. 구글, 자동 완성 코딩으로 진화하는 AutoML-Zero 공개

    4. 美 컴퓨터교사협회, AI 융합 교육에 대한 논의의 장 개최

    • 2020.07.20
    • 3498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국내 소프트웨어산업 발전에 기여한 유공자를 포상하고자 다음과 같이 「2020년도 소프트웨어산업 발전 유공자 포상계획」을 공고합니다. ​ 포상신청 및 추천 대상으로는 ㅇ 소프트웨어 산업 육성 및 국가경쟁력 강화에 공헌한 자 ​ ㅇ 우수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여 수출증대 및 해외시장 개척에 공헌한 자 ㅇ 소프트웨어 융합 신 시장 창출 등 소프트웨어산업 일자리 창출에 공헌한 자 ㅇ 소프트웨어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기여한 아키텍트․개발자 ​ 추천 기준은 일반기준과 자격기준으로 나눠집니다. ​ ㅇ 일반기준 ​ - 소프트웨어 산업분야에 종사하고 구체적․객관적 공적이 입증된 자 - 국가관․사명감이 투철하고 봉사와 선행에 앞장서는 등 능력과 품성을 겸비한 자 ​ ㅇ 자격기준 ​ - 훈장은 해당분야에서 15년 이상 공적을 쌓은 자 - 포장은 해당분야에서 10년 이상 공적을 쌓은 자 - 표창(대통령․국무총리)은 5년 이상 해당분야에서 공적을 쌓은 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표창은 해당분야에서 3년 이상 공적을 쌓은 자 포상 신청서 제출기한은 2020. 8. 14(금) 24:00까지 입니다. 제출 방법은 이메일로 제출이며 이메일 제출이 불가능할 경우 우편으로 제출 가능합니다. ※ 서명 등이 있는 원본은 PDF파일로 제출하되, 작성된 한글파일(hwp)도 함께 제출 ※ 우편 접수 시 마감일자 소인까지 유효 보다 자세한 사항은 (https://bit.ly/2WC3rRy) 통해 확일하실 수 있습니다. ​ 출처 : https://www.nipa.kr/main/selectBsnsVsnNttWebView.do?key=103&bsnsVsnNo=1&bsnsDtlsIemNo=9&businesscode=business5&bsnsDtlsIemNttNo=1681
    • 2020.07.17
    • 9493
    • 접수기간 : 2020년 7월 17일(화) ~ 8월 3일(월) 18시까지 (정시 마감)

    • 접수방법 :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채용 홈페이지(https://spri.brms.kr)에서 온라인 작성 및 서류접수시 제출서류(석박사학위 논문 PDF 파일 제출)등
    • 2020.07.13
    • 5307

    #이슈토론 디지털 뉴딜과 국내 SW 산업 활성화 방향 SW 관련 디지털 뉴딜 정책 규모 공공분야

  • 1. 美 AI4K12 이니셔티브, 초중등 AI 교육 가이드라인 업데이트

    2. 일본, AI 특화 슈퍼컴퓨터 개발 통해 세계 1위 탈환

    3. AI 연구자 집단, 범죄 예측 AI 연구 논문 철회 요청

    4. 구글, 새로운 음성추출 AI 개발

    • 2020.07.08
    • 2276
    (원문보기 >>>https://msit.go.kr/web/msipContents/contentsView.do?cateId=_policycom11&artId=2959383) 과학기술&ICT 동향 제170호 입니다. now.k2base.re.kr을 통해서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CONTENTS >------------------------------------- 1. 이슈 분석: 1 주요국의 AI 인재양성 정책 동향 및 시사점 2. 주요 동향 13 1) 과학기술 13 미국, 바이오 산업 현황과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13 미국, 전기자동차와 내연기관 자동차 환경 영향 관련 비교 15 일본, 과학기술 예측 조사 결과 발표 17 중국, 2020년 빅데이터 청서 발표 19 중국, 베이더우 위성항법 시스템 완성 21 영국, 연구 청렴도 현황 조사 22 독일, ‘ZEUS’ 프로젝트 착수 예정 24 EU, 포스트 코로나 Horizon 2020 정책 제언 26 2) ICT 28 데이터 경제로의 전환 가속…의료 데이터 시장 활성화 기대 28 韓, 글로벌 5세대(5G) 이동통신 경쟁력 압도적 1위 31 삼성전자・TSMC, 파운드리 시장 주도권 경쟁 심화 33 글로벌 IT기업, AI 기능 탑재한 무선 이어폰 경쟁 각축 36 인권・윤리 논쟁 등 안면인식 기술 둘러싼 美・中 행보 엇갈려 40 스마트워치, 의료・헬스케어 서비스 강화하며 성장일로 42 3. 단신 동향 46 1) 해외 46 2) 국내 53 4. 주요 통계 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