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W산업은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어 SW개발 등과 같은 산업 종사자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정부는 산업으로 SW인력을 유치하기 위해서 각종 지원 정책을 실시하고, 민간 기업은 인센티브 제도를 도입하는 등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후략)
2017년 8월 시작된 SW산업진흥법 전부개정작업이 2020년에 SW진흥법이라는 결실을 맺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 연구보고서에서는 새롭게 전부개정될 SW진흥법의 원활한 시행을 위해 하위법령 중 신규로 제정되어야 하는 대통령령과 고시 위주로 그 제정방향을 살펴보았다. (후략)
이 연구는 SW산업의 소송정보를 수집하고 DB로 구축한 첫 번째 시도이다. 다양한 실태조사를 통해 SW기업들의 기술경쟁력, 인재확보, 재무상태, 사업실적, 정부지원요청 등에 관해서는 많은 정보가 축적되어 있다. 그러나, 다른 분야에서는 기업의 소송에 대해 연구된 선행사례가 있었으나(후략)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도래하여 인공지능, 빅데이터, 클라우드, 사물인터넷 등의 신기술 등을 중심으로 전 세계적으로 기술 개발 및 산업분야에 현재 적용 되고 있다. 이에 더불어 4차 산업혁명의 주요 인프라로 블록체인이 급부상 하고 있다.(후략)
자율자동차, 드론, AI 등 소프트웨어 기술 발전에 따라 소프트웨어의 복잡성이 증가하고 소프트웨어 편의성 증가로 많은 분야에서 소프트웨어 의존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해 소프트웨어의 제어를 받는 시스템이 증가하게 되어서 소프트웨어 결함으로 인한 사고의 발생 확률이 증가하고 있다. 결국은 과거와 달리 소프트웨어 문제로 인해 발생하는 사고의 피해의 영향력도 같이 커지고 있기 때문에 소프트웨어 안전관리가 국민의 안전 확보에 (후략)
1. IDC, 코로나로 인한 경기침체 속 AI 시장 및 고용 전망 상향 조정
2. 코로나 치료를 위한 AI 성과 속 한계 지적
3. 백악관, COVID-19 학술 정보 분석 AI 경진 대회 개최
4. 구글, AI 칩 설계에 AI 활용 시도
(원문 보기 >>> https://msit.go.kr/web/msipContents/contentsView.do?cateId=_policycom11&artId=2801752 ) 과학기술 ICT 동향 제163호입니다. now.k2base.re.kr을 통해서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해당 홈페이지에서 주제별, 국가별 검색도 가능합니다.) -------------------------------------< CONTENTS >------------------------------------- ① 이슈 조사 1 2020년 일본 산업 10대 키워드 및 시사점 1 ② 주요 동향 14 1. 과학기술 미국, 2020년 에너지 혁신 10대 우선순위 발표 14 미국, 2030년 전기차 시장 전망 16 미국, KPMG 글로벌 기술혁신 허브 2020 발표 18 일본, 농업 분야 AI·데이터 계약 가이드라인 마련 20 일본, 제조업 인에이블러 필요성 강조 22 중국, 'ZERO TO ONE 기초연구사업 강화방안' 발표 24 EU, '오픈 사이언스 클라우드(EOSC)'확대 권고 25 WEF, 코로나바이러스 대응방안 모색 27 2. ICT CB Insights, 유망 인공지능(AI) 100대 스타트업 선정 29 국내 이통사, 코로나19 계기로 AR·VR 기반 콘텐츠 개발 활기 33 중국 스마트폰 제조사, 폴더블·롤러블 등 폼팩터 경쟁 활발 36 일본, 첫 5G 서비스 개시일 발표…순차적으로 확대 추진 39 국내 OTT 시장, 토종·해외 기업의 합종연횡 등으로 경쟁 심화 41 새로운 기술과 폼팩터 혁신으로 거듭나는 차세대 TV 시장 45 ③ 단신 동향 49 1. 해외 49 2. 국내 57 ④ 주요 통계 62
1. AI로 코로나바이러스 구조 분석, 바이두 등 대응책 개발 박차
2. 어그테크 기업, AI+클라우드 날개 달고 고공 성장 전망
3. 딥페이크 기술을 선용(善用)하는 사례 속속 등장
4. 美 에너지부, AI for Science 보고서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