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문 바로가기
  • 주메뉴 바로가기

SPRi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 연구
    • 전체자료
    • 연구자료
    • 간행물
      • - SW중심사회
      • - 산업연간보고서
      • - 승인통계보고서
      • - AI 브리프
      • - 이전 간행물
  • 행사
    • 전체행사
    • 컨퍼런스
    • 포럼
    • 세미나
  • 통계
    • 통계서비스
    • 간행물
    • 정보
    • 알림
  • SPRi
    • 소개
      • - 연혁
      • - 인사말
      • - 미션+비전
      • - CI소개
      • - 조직
      • - 경영공시
      • - 오시는 길
    • 알림
      • - 공지사항
      • - 미디어
      • - 정보공개
SPRi POPUP3 ENGLISH
SPRi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SPRi POPUP3 ENGLISH
    • 이슈리포트
    • IS-125
    • 김한성
    • 서영희
    • 날짜2021.12.14
    • 조회수11678
    지속 가능한 초·중등 정보(SW·AI) 교육을 위한 정책 진단 : Code.org 연합의 컴퓨터과학교육 정책 진단 프레임으로 본 우리나라 정보교육

    본 연구의 목적은 초·중등학교 정보(SW·AI) 교육 정책과 관련한 다각적 분석을 통해 체계적이고 지속가능한 정책 수립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에 있다.(후략)

    • 교육
    • 정보 교육
    • 소프트웨어 교육
    • SW 교육
    • AI 교육
    • 이슈리포트
    • IS-129
    • 이종주
    • 장지윤
    • 날짜2021.12.06
    • 조회수10956
    슈퍼프리랜서는 어떻게 탄생하는가?

    코로나19 상황에서도 SW산업은 성장하고 있으며, 개발자 수요 역시 증가하고 있다. 기업들은 부족한 인력을 충원하기 위해서 임금인상 경쟁을 펼치고 있는데, 중소벤처기업들은 이러한 임금인상 경쟁에서 버틸 수 없게 되었다.(후략)

    • 소프트웨어프리랜서
    • 개발자
    • 경력개발
    • 경력관리
    • 일자리중개플랫폼
    • 이슈리포트
    • IS-127
    • 김항규
    • 날짜2021.11.23
    • 조회수10983
    유럽 공개SW 정책 분석 및 시사점

    EU(European Union)은 2020년 10월 공개SW 전략을 새롭게 발표하였다. 공개SW(오프소스 SW)의 기술중립성, 재사용성·상호운용성, 개선효율성이 코로나19로 가속화된 디지털전환, 플랫폼·OS 독점으로 인한 디지털 주권, 회원국 간의 협력을 위한 상호운용성뿐만 아니라 공공과 기술 영역에서의 혁신을 가져올 것으로 판단한 것이다. 이를 위해 기존 전략과 대비해 거버넌스와 내부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전반적인 전환을 의미하는 ‘TRANSFORM’을 강조하였다.(후략)

    • 공개SW
    • 오픈소스
    • 유럽
    • 정책
    • 이슈리포트
    • IS-126
    • 이현승
    • 날짜2021.11.12
    • 조회수11960
    공공SW사업자 선정기준 : 가격과 계약이행평가제도에 관해

    이 리포트에서는 미국, 영국의 공공조달제도를 조사하고 국내 제도와 비교분석을 하면서 공공 SW사업자 선정기준과 관련해 가격평가의 배제 또는 축소의 타당성과 기술평가의 개선방안으로 계약이행평가와 계약이행성실도평가를 결합한 계약이행평가제도를 도입하는 것을 검토하였다.(후략)

    • 계약이행평가제도
    • 미국
    • 영국
    • 이슈리포트
    • IS-128
    • 박태형
    • 안성원
    • 한상열
    • 장지윤
    • 날짜2021.11.08
    • 조회수19979
    향후 10년의 메가트렌드를 분석하다: 글로벌 트렌드와 SW 메가트렌드 2030

    세계는 지금 디지털 중심의 메가트렌드가 확산되고 있다.(후략)

    • 메가트렌드
    • SW미래상
    • 이슈리포트
    • IS-124
    • 김준연
    • 박강민
    • 날짜2021.10.27
    • 조회수11519
    포스트 코로나 시대와 글로벌 벨류체인의 재편, 디지털 전환과 리쇼어링

    미중간의 무역분쟁과 코로나19로 인한 방역조치는 글로벌 가치사슬의 불안을 가져왔다. 또한 글로벌 공급망에서 생산을 담당하던 국가의 인건비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면서 글로벌 가치사슬 재편과 본국으로의 생산설비 이전(리쇼어링)이 불가피해 졌다. 이에따라 해외 주요국에서는 기업의 리쇼어링을 정책적으로 지원하고 있다.(후략)

    • 글로벌 벨류체인
    • 글로벌 리쇼어링
    • 월간 SW중심사회 2021년 11월호
    • 이슈리포트
    • IS-123
    • 박강민
    • 김준연
    • 날짜2021.09.03
    • 조회수10904
    산업융합 플랫폼의 부상과 대응 전략

    디지털 플랫폼 비즈니스는 단순히 수요 공급을 연결하는 역할을 넘어 다양한 산업이 융합해 혁신이 창발하는 플랫폼으로 변화 중이다.(후략)

    • 산업융합 플랫폼
    • 플랫폼 비즈니스
    • 이슈리포트
    • IS-122
    • 최혜리
    • 장지윤
    • 날짜2021.08.26
    • 조회수11649
    디지털 주권과 소프트웨어 :현황과 과제

    디지털 경제의 부상은 디지털 분야에서 세계 각국의 치열한 경쟁을 불러오고 있으며, 이는 디지털 주권, 데이터 주권 등에 대한 논의와도 연결된다.

    • 디지털 주권
    • 소프트웨어
    • 이슈리포트
    • IS-120
    • 남현숙
    • 날짜2021.07.29
    • 조회수11178
    글로벌 XR 기업의 특허 분석

    코로나19로 인해 사회·경제 활동이 크게 위축되면서 비대면 기반 원격협업과 소통을 구현하는 가상융합기술(XR)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후략)

    • 가상융합기술
    • 메타버스
    • 이슈리포트
    • IS-121
    • 장지윤
    • 이종주
    • 날짜2021.07.23
    • 조회수11428
    SW 개발자의 일자리 환경 : 개발자의 직업 가치와 일자리 만족도

    디지털 전환의 전면화 및 벤처 창업 붐으로 IT 기업뿐만 아니라 일반기업에서도 SW 개발자에 대한 인력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기업들은 인력 확보를 위해 경쟁적으로 개발자의 임금을 인상 시켰으나, 대기업과 중소기업 모두 여전히 인력 부족을 토로하는 상황이다. 과열된 개발자 채용 경쟁 상황에서, 고액의 연봉 외에 SW 개발자들이 원하는 직업 가치(Work Value)를 살펴보는 것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고에서는 SW 일자리 특성에 대한 문헌 연구와 데이터 분석을 통해 국내 SW 개발자들의 특성을 파악하고 SW 개발자를 채용하고자 하는 기업의 HR 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SW 개발자
    • SW 일자리
    • 이슈리포트
    • IS-119
    • 유호석
    • 최혜리
    • 이현승
    • 강송희
    • 날짜2021.07.20
    • 조회수13372
    글로벌 SW산업의 서비스화 패러다임과 성공사례

    본 이슈 리포트에서는 먼저 클라우드 기술 모델로서의 SaaS, 과금 모델로서의 구독형SW, 서비스모델로서의 인터넷 서비스를 포괄하는 SW서비스의 개념을 제시한다. 이러한 개념적 정의하에서 글로벌 1위 SaaS인 세일즈포스, 삼성의 물류BPO서비스, 국제기구인 UNCTAD의 ASYCUDA를 SW서비스의 대표적 성공사례로 제시한다. 해당 성공사례들은 기업 하나가 단독으로 SW서비스를 제공한 것이 아니라, 산업 내, 산업 간, 국가 간 다양한 파트너를 참여시켜 협력했다는 공통점이 있었다. 특히 세일즈포스의 경우에는 인터넷 서비스(B2C)에 주로 적용되는 양면 플랫폼 전략을 기업용SW(B2B)에 적용함으로써 글로벌 확장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 글로벌 SW산업
    • 상용SW
    • SaaS
    • 이슈리포트
    • IS-117
    • 강송희
    • 이현승
    • 유호석
    • 날짜2021.06.29
    • 조회수11781
    디지털 전환을 촉진하는 NoCode와 RPA

    SW개발의 생산성을 향상시켜 디지털 전환을 촉진하기 위한 그간의 노력을 정리하고 로우코드·노코드와 RPA의 적용 가능성과 한계에 대해 검토한다.(후략)

    • RPA
    • NoCode
    • LowCode
처음 이전 34567891011 다음 마지막
SPRi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대왕판교로 712번길 22 글로벌 R&D센터 연구동 B 4층     개인정보처리방침

Copyright © 2014-2021 By Software Policy & Research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출처표시,변경금지) 웹접근성인증마크
뉴스레터 구독하기
다양한 소프트웨어 관련 소식을 전달해드립니다.
구독을 하시면 이메일을 통해 매달 <SPRi 뉴스레터>를 보내드립니다.
개인 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안내 (필수)
  • 뉴스레터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 정보를 수집·이용 및 제공하고자 합니다.
    내용을 자세히 읽으신 후 동의 여부를 결정하여 주십시오.
  • 가입자는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으며,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최소한의 개인정보 수집에 동의하지 않을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능할 수 있습니다.
항목, 수집목적, 보유기간 내용이 담겨있는 표
항목 수집목적 보유기간
이메일 SPRi 뉴스레터 발송, 신규 콘텐츠, SPRi 소식 등 제공 수신거부 시 까지

뉴스레터 구독 해지 하기
뉴스레터 구독을 해지하시면 뉴스레터 발송을 위해 저장되었던 이메일 정보가 삭제되며,
제공되던 뉴스레터 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