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1.01.28
    • 6555

    월간SW중심사회 2021년 1월호

    • 2021.01.28
    • 19245

    코로나19 이후 디지털 소비 및 온라인 비즈니스 보편화로 디지털 무역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코로나19 이후 글로벌 콘텐츠 소비량은 이전 대비 60% 이상 증가하였으며, 글로벌 빅데이터 시장규모는 올해 1,389억 달러 기록 후 2025년까지 연평균 10.6%의 성장률이 예상된다.(후략)

    • 2021.01.28
    • 16475

    최근 코로나19로 급진전 중인 비대면 사회로의 일상화, 온라인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 디지털 플랫폼 기업들의 영향력 확대와 이를 둘러싼 주요국의 견제, 국가 간 첨단기술 기술 경쟁 등 코로나19는 2020년에 이어 2021년에도 모든 국가 경제 사회 변화의 핵심 동인이 될 전망이다.(후략)

    • 2021.01.28
    • 7263
    • 접수기간 : 2021년 1월 28일(목) ~ 2월 15일(월) 17시까지 (정시 마감)
    • 접수방법 :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채용홈페이지 (https://spri.brms.kr)에서 온라인 작성 및 제출
    • 2021.01.21
    • 11580

    SW융합실태조사 보고서

    • 2021.01.19
    • 6124
    • 접수기간 : 2021년 1월 19일(화) ~ 2월 3일(수) 17시까지 (정시 마감)
    • 접수방법 :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채용홈페이지 (https://spri.brms.kr)에서 온라인 작성 및 제출
    • 2021.01.19
    • 6355
    • 접수기간 : 2021년 1월 19일(화) ~ 2월 3일(수) 17시까지 (정시 마감)
    • 접수방법 :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채용홈페이지 (https://spri.brms.kr)에서 온라인 작성 및 제출
  • 1. 퓨 리서치(Pew Research), AI에 대한 인식조사 결과 발표

    2. 오픈AI(OpenAI), 문장으로부터 이미지를 생성하는 AI 공개

    3. 몬트리올.AI(Montreal.AI), 2021년 AI 도전과제 논의

    4. 美 국방예산 중 6조원 이상 AI 연구개발에 투자

    • 2021.01.05
    • 6742
    • 입찰마감 : 2021.01.20.(수) 10:00까지
    • 서류접수 : 나라장터 e-발주시스템(http://www.g2b.go.kr/index.jsp)
    • 2021.01.05
    • 3046

    2021년 1월 기준 SW품질인증현황_GS인증현황 통계가 업데이트되었음을 안내드립니다.

    • 2021.01.05
    • 2731

    2020년 12월 기준 SW품질인증현황_GS인증현황 통계가 업데이트되었음을 안내드립니다.

    • 2020.12.31
    • 28267

    안녕하십니까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공정한 SW사업 계약 환경조성을 위해 SW분야 표준계약서 6종을 개발하여 '20.12.31부터 산업현장에 배포·시행합니다.(후략)

    • 2020.12.28
    • 5866
    • 입찰마감 : 2021.01.19.(화) 14:00까지

    • 서류접수 : 나라장터 e-발주시스템(http://www.g2b.go.kr/index.jsp)
    • 2020.12.28
    • 7930

    월간SW중심사회 2020년 12월호

    • 2020.12.28
    • 22281

    안녕하세요! 2020년 마지막 포커스 원고로 올해 SW중심사회에 기고해주셨던 필진과 함께 코로나19와 디지털 전환을 주제로 2020년 회고와 2021년 전망에 대해 말씀을 나눠보려고 합니다. 올 한 해 코로나19가 우리 사회의 모습을 많이 바꿨습니다.(후략)

  • 비대면 수요 증가에 대응한 온라인 가상공간 활용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XR 기술에 대한 관심은 지속적으로 커지고 있다. 최근 미국, 유럽, 중국, 일본 등 주요국과 국내에서 활발히 진행 중인 XR 정책 지원 활동들을 알아보고, XR 산업 발전 및(후략)

  • 1. 세계경제포럼(WEF),「미래일자리 2020 보고서」발간

    2. 라이카(Laika), AI로 애니메이션 제작 가속화

    3. 아마존 알렉사(Alexa), 사용자에게 배우는 AI 탑재

    4. AI 활용 확대를 위한 모델 경량화 연구 본격화

    • 2020.12.21
    • 11105

    오랫동안 SW업계의 IT서비스 분야의 개발자 처우와 관련해 지속적으로 문제가 제기 되어 왔다. 이러한 문제의 원인이 다단계 하도급에 있어서 SW산업진흥법을 정비하였으나, 산업측면이 아닌 노동측면에서 개발자의 근로환경 개선 효과는 낮은 것으로 보인다.(후략)

    • 2020.12.18
    • 3538
    2021 SW산업 10대 이슈 전망 연구 개요 o 조사 목적 향후 중요하게 부각될 가능성이 높은 SW산업 이슈들을 발굴 및 전망 o 연구 방법 언론기사 데이터 요약을 통해 이슈 후보를 도출한 후 전문가 설문을 통해 핵심 이슈를 선정 연구 방향 ​ o 분석의 주안점 • 전문가의 인지 평향을 견제 : 기준점 평향, 확증 편향 등 • 균형감 있는 후보 선정 : 언론 노출도, 연구 책임자의 전문 분야 등에 영향 최소화 • SW산업에 실질적인 파급력을 끼칠 것으로 예상되는 시기를 이슈 순위에 고려 ​ o 이슈 후보 선정에 언론 데이터 활용 ▸ IT분야 언론 기사 분석을 통해 이슈 후보 도출 과정의 균형감·객관성을 보완 연구 모델 언론기사 분석 결과 온라인 설문조사 o 조사 목표 • 국내 SW분야 전문가 1000명을 대상으로 이슈 후보 19건 중 향후 국내 산업에 큰 영향을 끼칠 주요 이슈를 선택하도록 함으로써 SW산업 10대 이슈 선정을 위한 순위 데이터 도출 ​ o 조사 방법 1. 예비조사 - 전문가 대상 파일럿 테스트 - 설문 문항 수정 및 보완 2. 설문 실사 - 조사기간: 2020.10.14 ~ 2020.10.23 - 조사방식: 온라인 조사 - 조사대상: 전자신문, SPRi, 조사업체 DB - 유효 응답: 1,000명 설문 응답자 기초 통계 SW산업 10대 이슈 1위: 에듀테크 SW시장 확대 2위: 제조업 머신비전 도입 본격화 3위: 마이데이터 시대 협쟁의 시작 4위: 데이터 뉴딜 기대감 증폭 5위: 지능형 협동 로봇 6위: 원격의료 찬반 과열 7위: 핀테크 친화적 금융 체계 개편 8위: 딥택트의 확산 9위: 국산 OTT의 승부수, 실감 콘텐츠 10위: 휴먼인더루프 AI 1위: 에듀테크 SW시장 수요 확대 o 에듀테크는 국내외 주요 SW기업의 인기 투자처 • 에듀테크 VC투자 규모는 최근 10년간 약 14배 증가(5억 달러(‘10)→70억 달러(‘19)→49억 달러(‘20 상반기 기준)) • 글로벌 SW기업은 일찍이 에듀테크에 투자해 한 개 이상의 교육 서비스를 보유 (구글 : 클래스룸, 지스위트 등, 애플 : 클래스룸, MS : 오피스365 에듀케이션, 아마존 : 인스파이어, 래피드 등) ​ o 코로나 19發 비대면 교육 환경 • 국내 에듀테크 기업 다수가 이미 AI기반 솔루션 보유(노리 : AI기반 수학 교육, 뤼이드 : AI기반 어학 솔루션 등) • 정부의 ‘AI 국가전략(‘19.12)’은 초등 저학년을 대상으로 한 AI 기반 교육을 포함. 교육부 관련 제도 실행 예고(‘20.10) 2위: 제조업 머신 비전 도입 본격화 o 최근 들어 국내외 제조 산업에 AI 기반 검수 자동화 솔루션이 본격적으로 도입되기 시작 • 국내 : 5G 스마트팩토리 비전(KT), AI NDE(두산 중공업), AI기반 자동 검수 프로세스(한국타이어) 등 • 해외 : 자율 머신 비전(BMW, 독일), 이미지 분석 시스템(Fujitsu, 일본), 드론 기반 항공기 검사 시스템(Airbus, 네덜란드) 등 ​ o 머신비전 SW의 상용화가 국내 제조업 생산성에 긍정적 영향을 견인 할 것으로 예상되는 한편, 일부 AI 기술이 전통산업의 노동력을 대체하는 수준에 근접했음에 주목할 필요 • 글로벌 제조업의 AI기술 시장 전망 : 11억 달러(’20) → 167억 달러(’26) (Markets and Markets, 2020) 3위: 마이데이터 시대, 협쟁(co-petition)의 시작 o 개인정보보호에서 마이데이터로, 데이터 주권 국가로의 첫 걸음 • 마이데이터 사업 : 본인 정보를 직접 내려 받거나 동의 하에 제3자에게 제공하여 개인데이터 활용 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하는 개념으로, 개인에게 데이터 관리 및 활용 권한을 돌려주어 개인정보 활용체계를 전환하는데 의의를 둠(과기정통부) • 정부 지원 : 총 6개 분야(의료,금융,공공,교통 등) 8개 과제를 각 협력기업으로 구성된 컨소시엄을 통해 실증 사업 추진 중 ​ o 데이터 관리 권한이 기업→개인으로 변화되어 분야별 선점 기업의 독점 완화가 기대되는 상황으로, 그간 볼 수 없던 기업간 데이터 협력 관계 속 新SW 서비스 진검 승부가 벌어질 것으로 전망 4위: 데이터 뉴딜 기대감 증가 ​ o 데이터 댐은 투자 규모, 수혜 대상, 환경 조성 등 모든 측면에서 압도적 규모의 공공 사업 • 데이터 댐 프로젝트 7대 사업 투자 규모 : 약 5,000억 원 • 주요 기대효과 : 일자리 창출(AI 학습용 데이터 구축), 신사업 발굴(AI 바우처), 기업 디지털 전환(AI+X, 클라우드 플래그십 등) ​ o 산업의 AI 도입 문턱을 낮추는 정책으로 국가 전체 SW시장 저변의 확대가 기대되는 가운데, 데이터 품질 관리가 정체되어 고인 댐이 되지 않도록 지속적 투자를 이끌어내는 것이 관건 • MS COCO(’14). Google Open Images(‘16) 등 6년 이상 관리 된 데이터 또한 라벨링 정확도(각각 83%, 43%)의 이슈 존재 5위: 지능형 협동 로봇 ​ o 국내 공장이 비대면 사각지대로 이슈화 됨에 따라 협동 로봇(co-robot)에 대한 관심 증가 • 공장 설비 자동화는 도입 및 관리 비용이 높아 중소규모의 전통 공정에 단기간 내 적용하기에 한계 존재 • 협동 로봇은 기존 공정에서 인간의 업무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활용되는 보조수단으로서 상대적인 도입비용이 낮고 공정 내 근로자의 역할에 따른 ‘재프로그래밍’이 가능해 공장 근로자의 비대면 근무 지원에 용이 ​ o 관련 기업의 AI 기술 도입이 활발한 상황으로 향후 SW 기업의 적극적 시장 진출이 기대 • (정책) 관계부처 지능형 로봇 실행계획(‘19-20)을 통해 협동 로봇의 AI.5G기반 기능 강화 및 지원 사업 확대 • (기술) 협동 로봇용 AI OS 발표(Qobotix, ‘20), 음성인식 협동 로봇 발표(현대-KT,’19), 딥러닝 기반 협동 로봇(뉴로메카,’20) 등 6위: 원격의료 찬반 과열 ​ o 원격의료 쟁점의 본질은 의료 서비스의 주도권 • (국내) 원격의료의 주체와 수혜자를 ‘의료인’에 한정 : 의료법 상으로 의료인이 의료인을 위해 IT기술을 통해 지원 • (미국) 원격의료의 주체는 불분명, 수혜자는 다양 : 의료서비스 주체를 별도 명시하지 않으며 수혜자로는 격오지 의료기관, 환자, 의료 공급자로 명시(美보건자원서비스청) • 원격의료 논쟁은 SW 기업의 디지털 헬스케어와 의료 플랫폼 시장 형성을 봉쇄하는 문제를 야기해 시급한 해결이 필요한 과제 ​ o 원격의료 규제 완화가 글로벌 추세이고 정부 주도의 규제자유특구 운영* 등이 추진되고 있어,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 국내 기업의 내수시장 진출 기대는 지속될 것 • 강원 규제자유특구 : 디지털헬스케어 규제 완화를 통한 실증 사업 진행 7위: 핀테크 친화적 금융 체계 개편 ​ o ‘20.7월 금융위원회 발표 서 SW기업이 기존 은행의 기능 대부분을 서비스 가능하도록 제도적 기회가 개방 • 지급지시전달업(MyPayment) 신설(쟁점X) : 이용자의 결제∙송금 지시를 받아, 은행이 이체를 실시하도록 전달하는 업종 • 종합지급결제사업자 지정(쟁점O) : 기존 금융의 예금, 대출 기능을 제외한 모든 서비스가 가능한 플랫폼 사업자 ​ o 현재 빅테크-금융사간 치열한 주도권 협의가 진행 중이나, 기존 금융권의 우려 및 저항으로 특히 종합지급결제사업자 논쟁*은 내년까지 지속될 것으로 전망 • 종합지급결제사업자로 선정 시 은행권과 동일한 금융결제망을 이용하게 되나, 망 관리 주체인 한국은행의 우려 표명으로 제도 시행까지의 시일이 걸릴 것으로 예상 8위: 딥택트(Deep contact)의 확산 ​ o 전통 산업은 익숙한 방식의 혁신 플랜을 필요로 한다 • (기존) 기술우선주의(Technology First)에 의한 혁신의 압박à 성공의 명확한 목표와 정교한 프로세스 부재(P&G, 2020) • (딥택트) 강력한 고객관계 구축 목표à 기준 업태 + 비대면 기술(SW) 도입으로 디지털 전환 달성 ​ o 딥택트 현상의 직관적 목표 수립은 전통 기업의 SW기술 도입의 진입장벽을 낮춤으로써, SW산업의 먹거리를 늘리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으로 전망 • 도미노 피자는 디지털 기술 도입을 통한 고객 접근성 확대에 성공한 딥택트의 대표 사례(최근 10년간 주가 3,200% 상승) 9위: 국산 OTT의 승부수, 실감콘텐츠 ​ o OTT(Over The Top) 국내 컨텐츠 경쟁력을 높이는 것은 미디어 시장의 주요 현안 • 토종 OTT는 해외 OTT에 큰 폭으로 뒤쳐진 상황으로, 그 원인으로 양질의 콘텐츠 부재, 플랫폼 분절 등이 꼽힘 • 인터넷 동영상 플랫폼 또한 ‘Youtube’에 잠식 된 상황으로 2018년 기준 국내 85.6%의 점유율을 기록했으나 현재는 더 악화되었을 것이란 관측이 지배적(Wiseapp, 모바일 동영상 앱 사용시간 점유율, 2018) ​ o 토종 OTT 경쟁력 확보 차원의 실감콘텐츠 개발, 플랫폼의 AI 기술 도입 등이 추진되는 가운데, 특히 실감콘텐츠 현재 정부 주도의 산업 진흥 정책이 추진되고 있어 향후 전망이 밝음 • 실감콘텐츠 산업 진흥 정책 수립 및 관련 통계 개발, 공공사업 등은 과학기술정통부, 문화체육관광부가 주도적으로 참여 10위: HITL(Human in the Loop) AI ​ o 인간은 온전히 인공지능에 의해 도출된 결과를 신뢰할 수 있는가? 두가지 접근이 대표적 • Explainable AI(XAI) : 인공지능의 결과를 인간에게 납득가능하도록 설명하기 위해 합리적인 근거를 추출하는 기술 • Human in the Loop AI(HITL AI) : 인간은 본질적으로 인공지능에 의해 도출 된 결과에 신뢰할 수 없으므로, 결과 도출 과정에 반드시 인간의 피드백을 학습 시키도록 하는 개념적 용어 ​ o 최근 인공지능 기술은 범용성을 확보하는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어 설명가능성을 확보하는 것과 더불어 인간과 AI의 협업을 전제로 한 시스템이 주목받고 있음 • 과거 AI는 데이터 선별 후 모델을 구축하는 방향을 선호했으나 최근 연구는 모든 데이터를 통합 후 범용 모델을 구축하는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어, 설명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해 분석해야 할 데이터 커버리지(coverage)가 넓어지는 이슈가 존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