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은 RSA 컴퓨터 보안 컨퍼런스의 극명한 남성 편향적 연사 초청이 사회적으로 문제화 되어, 여성 기술자의 근본적인 성차별 문제를 지적하는 계기로 작용 (후략)
미국은 RSA 컴퓨터 보안 컨퍼런스의 극명한 남성 편향적 연사 초청이 사회적으로 문제화 되어, 여성 기술자의 근본적인 성차별 문제를 지적하는 계기로 작용 (후략)
▪ 미국에서 기술인력 이민의 핵심수단이었던 유학생 취업(OPT)과 취업비자(H-1B) 제도가 트럼프 정부의 계획대로 폐지될 경우, 이민자 출신의 SW인력이 대거 본국으로 귀환하게 될 것으로 예상
▪ 미국 유학생과 실리콘밸리 출신의 SW인력 유입을 촉진하는‘ Welcome back to Korea’정책을 검토할 필요성이 있음
“SW개발자 중 남자가 많은 게 문제가 되나?”
SW개발에 종사한 경험이 있고, 일의 강도나 특성을 경험해 보았다면 위와 같은 반응이 일반적인 인식이자 통념이다.
ㅇ 최근 클라우드, 빅데이터,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등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모든 사물이 연결되고 보다 지능화된 사회로 진화하는 ‘4차 산업혁명’의 시대가 도래하고 있고,
이를 실현하는 핵심 동력인 소프트웨어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음
ㅇ 본 연구는 전통산업에서의 소프트웨어 기반 혁신활동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소프트웨어 융합 전략, 소프트웨어 기반 혁신을 위한 투자와 개발환경 조성, 기술수준, 인력현황, 애로사항 등을 조사하고, 산업별 SW융합수준과 기업의 소프트웨어중심 혁신 수준을 파악하고자 함
(R&D체계) 미국은 민간기업의 SW연구소 및 글로벌R&D 네트워크를 갖추었고, 중국은 글로벌기업의 R&D센터를 자국내에 유치하여 인력양성, 창업 등 기반 제공
(인력) 미국은 SW엔지니어와 창업 인적자원도 풍부, 중국은 미국 ,영국 등 선진국 유학 경력의 귀환인력과 방대한 개발자 인력자원 기반 성장
(생태계) 미국은 다양한 자금체널이 존재하고, 중국은 국내외 기술 M&A와 IPO를 통한 성장모델이나, 한국은 특허 중심의 벤처캐피탈 의존 모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