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9.03.20
    • 12047
    • 주제 : SPRi 창립 5주년을 맞아, 지난 5년간의 SW 정책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미래이슈 논의의 장 마련
    • 일시 및 장소 : 2019. 4. 12.(금) 13:00~18:00, 한국과학기술회관 대회의실
    • 주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주관 :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 2019.03.15
    • 2457

    IT 뿐만 아니라 전 업계 관련해서 거래의 가장 기본이 되고 기준이 될 수 있는 법부터 만들어 주세요. 규제 말고...거래가 누군가에게 유리하게 적용되는 법말고요.., 기업의 문제도 있지만 일하는 사람들의 마음가짐에도 문제 있습니다. 정당한 거래가 가능한 최소한의 법부터 만들어 주세요~ (규제 아닙니다.^^)    

    • 2019.03.08
    • 2377
    (원문 보기 >> https://www.msit.go.kr/web/msipContents/contentsView.do?cateId=mssw65&artId=1642618 )   PART 01 주요 동향 1  1. 과학기술 1   ❶ 미국, 과학기술정책 이슈 논의 1   ❷ 미국, 데이터 경제시대 지식재산권 보호 이슈 제시 3   ❸ 일본, 이공계 인재 육성사업 활성화 방안 수립 5   ❹ 일본, 과학연구비 개혁 방향 제시 7   ❺ 중국, 슝안신구(雄安新區) 전면적 개혁개방 확대 지원방안 수립 9   ❻ 중국, ‘커넥티드 카 산업발전 행동계획’ 발표 11   ❼ 독일, ‘국가 산업전략 2030’ 발표 12   ❽ EU, 유럽 혁신 모델 수립 방안 제시 13  2. ICT 15   ❶ 미국, 첨단 기술 경쟁력 위해 ‘AI 이니셔티브’ 구체화 15   ❷ 세계 AI 분야 100대 스타트업, 미국 중국 각축전 17   ❸ 보안 논란의 중심 ‘화웨이’를 둘러싼 글로벌 주요국 행보 20   ❹ 중국, 블록체인에 집중… ’18년 세계 투자규모 특허 절반 독식 25   ❺ 4차 산업혁명 메가트렌드를 주도하는 ‘Lighthouse Factories’ 28 PART 02 단신 동향 32  1. 해외 32  2. 국내 39 PART 03 주요 통계 43
    • 2019.03.08
    • 2398
    (원문 보기 >> https://www.msit.go.kr/web/msipContents/contentsView.do?cateId=mssw65&artId=1502084 )   PART 01 주요 동향 1  1. 과학기술 1    ❶ 미국, 2019년에 의회에서 논의될 주요 기술정책 전망 1   ❷ 미국, ‘국가양자이니셔티브’ 법안 발표 3   ❸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 성과(’17~’18) 발표 5   ❹ 일본, 종합과학기술·혁신회의(CSTI) 논의 결과 발표 7   ❺ 일본, 항공 모빌리티 혁명 로드맵 발표 9   ❻ 중국, 국무원 제 2차 신규 혁신 지원 정책 발표 11   ❼ 중국, 2019년 과학기술사업 중점 추진업무 발표 13   ❽ 영국, 국가 사이버 보안전략 정책과제 제시 14  2. ICT 16   ❶ 중국 첨단기술 연구, 30개 분야 중 23개에서 1위 차지 16   ❷ '19년 미국 유망 스타트업, 우버 리프트 슬랙 등에 주목 19   ❸ 주요 외신 및 시장조사기관이 전망한 '19년 기술 트렌드 21   ❹ WIPO, 세계 특허 경쟁력…韓中日위상 단연 두각 26   ❺ 한국IDC, 2019년 국내 ICT 시장 10대 전망 발표 30   ❻ 韓, 5세대(5G) 이동통신 스마트폰 초기 도입률 세계 1위 전망 32 PART 02 단신 동향 35  1. 해외 35  2. 국내 41 PART 03 주요 통계 46
    • 2019.03.08
    • 2313
    (원문 보기 >> https://www.msit.go.kr/web/msipContents/contentsView.do?cateId=mssw65&artId=1589741   PART 01 이슈 분석 : DARPA(미 국방고등기술기획국) 평가제도 분석 1 PART 02 주요 동향 18  1. 과학기술 18   ❶ 미국, 2019년도 주목해야 할 정책 트렌드 전망 18   ❷ 미국, 2019년도 기술 트렌드 발표 20   ❸ 일본, 기초연구력 강화 방안 논의 22   ❹ 일본, 지역혁신 생태계 구축 프로그램 공모 24   ❺ 중국, 디지털 비즈니스와 반도체 산업 전망 26   ❻ 영국, ’17~’18 지식이전네트워크(KTN) 성과 발표 28   ❼ 영국, ‘청정대기전략(2019)’ 확정 30   ❽ EU, 노딜 브렉시트(No-Deal Brexit) 대응 방안 발표 32  2. ICT 34   ❶ 'CES 2019' 핵심 키워드…'AI‧5G‧자동차' 등이 화두 34   ❷ 'CES 2019' 주요 이슈와 트렌드…현실화된 ‘초연결 시대’ 41   ❸ 수소경제, 새로운 성장전기를 마련할 수 있는 대안으로 부상 46   ❹ 드론 규제에 엇갈린 대응…완화하는 미국, 강화하는 영국 51   ❺ 일본 아베 총리, 다보스포럼에서 글로벌 데이터 유통제도 확립 촉구 54   ❻ 중국 블록체인 서비스 및 콘텐츠 규제안 2.15일 발효 56 PART 03 단신 동향 58  1. 해외 58  2. 국내 64 PART 04 주요 통계 69
    • 2019.03.08
    • 2212
    (원문 보기 >> https://www.msit.go.kr/web/msipContents/contentsView.do?cateId=mssw65&artId=1483515 )   PART 01 이슈 분석 : 최근 주요국 과학기술혁신 정책 이슈 및 시사점 1 PART 02 주요 동향 11  1. 과학기술 11   ❶ 미국, 2019년도 10대 과학기술 이슈 전망 11   ❷ 미국, 미래 노동시장 변화 현황 분석 13   ❸ 미국, ‘국가 STEM 교육 전략계획’ 발표 15   ❹ 일본, 통합이노베이션전략 추진회의 이슈 발표 17   ❺ 중국, 인공지능 반도체 개발 현황 19   ❻ 영국, 주요국의 연구 지원기관 현황 조사 21   ❼ 영국, 산업 분야별 민관협약 체결 23   ❽ 유럽, 2018년 유럽 기업 연구개발 현황 발표 25  2. ICT 27   ❶ EU 7개국, 블록체인 산업 활성화를 위한 공동선언문 채택 27   ❷ 일본 지자체, 블록체인 활용해 지역 경제 활성화 도모 29   ❸ Dell Technologies, 2019년 Tech 분야 6대 트렌드 전망 32   ❹ 구글 웨이모, 세계 최초 자율주행자동차 상용 서비스 시작 35   ❺ 포브스, '19년 블록체인‧가상화폐 주요 4대 트렌드 선정 38   ❻ '18년 시가총액으로 살펴본 주요 IT 기업 동향과 시장 트렌드 40 PART 03 단신 동향 44  1. 해외 44  2. 국내 51 PART 04 주요 통계 57
    • 2019.03.08
    • 2106

    (원문 보기 >>https://www.msit.go.kr/web/msipContents/contentsView.do?cateId=mssw65&artId=1454007 ) PART 01 주요 동향 1  1. 과학기술 1   ❶ 미국, 2018년 올해의 혁신 성과 최종 후보 발표 1   ❷ 미국, 자율주행차로 인한 운송・자동차 산업 변화 전망 3   ❸ 일본, 차세대 슈퍼컴퓨터 ‘케이’ 중간 평가 발표 5   ❹ 일본, 수급 일체형 재생에너지 활용 방안 논의 7   ❺ 중국, 대・중소기업 융통발전 촉진 3년 실행계획 발표 9   ❻ 중국, 상하이 과학기술 발전 성과 분석 10   ❼ 독일, 보건연구 기본프로그램 발표 12   ❽ OECD, 주요국의 공공 연구정책 거버넌스 분석 14  2. ICT 16   ❶ 중국 세계 첫 AI 공원, ICT 기술 총망라…미래 공원의 모습 16   ❷ 초연결시대, 디지털 블랙아웃(대정전)…대비책 마련 필요 19   ❸ 포스포인트, '19년 사이버 보안 7대 트렌드 전망 22   ❹ 한국, 5G 상용화 포문…기업용 시장부터 서비스 개시 25   ❺ 금융플랫폼시장, 韓・中・日연합체 구성해 영토 확보 경쟁 30   ❻ 중국 전기자동차 시장 확대와 함께 프라이버시 침해 논란 32 PART 02 단신 동향 34  1. 해외 34  2. 국내 40 PART 03 주요 통계 46

    • 2019.03.07
    • 10438
    • 입찰마감 : 2019.3.18(월) 15시까지
    • 접수방법 : NIPA전자계약시스템을 통한 온라인 접수(http://cont.nipa.kr)
  • 현재 각 산업 측면에서 인공지능, 블록체인, IoT와 같은 SW신기술은 기존의 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핵심 동인으로써 자리매김하고 있다. SW는 농업, 관광, 금융, 제조, 의료 등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각 분야에서 스마트 농업, 스마트 관광, 정밀 의료 등의 새로운 혁신을 야기하고 있다. (후략)

    • 2019.03.05
    • 24072

    ▪ 국내외적으로 공공 분야 클라우드 도입 노력이 진행되는 가운데, 미국·영국을 중심으로 민간 솔루션을 활용하는 공공 부문 공용 클라우드 도입이 적극적으로 추진되고 있음▪ 최근 미국과 영국 사례에서 나타난 공공 부문 클라우드 도입 과정의 불신 현안을(후략)

    • 2019.03.05
    • 28522

    ▪ 식품(Food)과 기술(Tech)이 결합한 푸드테크(Food-tech) 산업이 배달음식 주문 서비스를 시작으로 식품 생산과 유통 등 다양한 분야로 성장 중▪ SW기술을 활용한 수요예측과 저온유통 시스템으로 생산자와 소비자를 연결하여 복잡한 유통구조를 개선하는 스타트업이 등장하고 있음(후략)

    • 2019.03.05
    • 19054

    ▪ SW정책 오픈커뮤니티 이용자들에게 원격지 개발 활성화 정책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정책에 대한 인지 수준이 낮은 반면 효과에 대한 기대치는 높았고, 인프라 지원과 시범사업 추진 등을 개선 사항으로 제시하였음 ▪ 2019년부터 SW기업이 제시하는 작업장소를 발주자가 우선 검토하도록 의무화하고(후략)

    • 2019.03.05
    • 86825

    ▪ 유튜브는 이미 동영상을 넘어 음악, 뉴스, 검색 등 다양한 기능과 콘텐츠를 제공하는 다면 플랫폼(Multi Platform)으로 진화하고 있음▪ 기업들은 사업전략 수립 시 유튜브를 통해 소비자 행동의 변화를 고려하고, 정부는 인터넷 개인방송으로 야기되는 사회문제에 주목하고(후략)

    • 2019.03.05
    • 14674

    핀테크는 무엇이고 어떤 개념일까? 금융산업은 IT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많은 기술적 발전을 거듭하였는데 최근 들어 왜 핀테크라는 단어가 부각되었을까? 인터넷 전문은행은 핀테크일까 아닐까?(후략)

    • 2019.03.05
    • 13148

    행간(行間)을 읽는 일이란 참으로 어렵다. 비록 분명하게 그 숨은 뜻을 얘기하지 않더라도, 누군가가 말하고자 하는 속내를 이해하거나 어떤 상황 속에서 일어나는 일련의 일들을 이해한다는 것이다. 행간을 잘 읽다 보면, 전체적인 맥락(脈絡)을 짚어낼 수 있다. (후략)

    • 2019.03.04
    • 11339
    • 접수기간 : 2019년 3월 4일(월) ~ 3월 18일(월) 18시(정시 마감)
    • 접수방법 :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채용 홈페이지(https://spri.scout.co.kr)에서 온라인 작성 및 제출(박사학위 논문 PDF 파일 제출)
    • 2019.03.04
    • 5135

    20192월 기준 SW품질인증현황_GS인증현황 통계가 업데이트되었음을 안내드립니다.

    • 2019.02.28
    • 12594

    월간SW중심사회 2019년 2월호

    • 2019.02.28
    • 2677

    안녕하세요, 소프트웨어 정책연구소에서 보낸 메일을 수신하고 있습니다. 이제 그만 받아보려고 하는데, 메일 하단에 있는 [수신거부]를 클릭하면 "페이지를 찾을 수 없습니다" 라는 에러가 발생합니다. 확인 부탁 드립니다.    

    • 2019.02.22
    • 5101

    201810월 기준 SW생산(월별) 통계가 업데이트 완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