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8.12.26
    • 17901
    • 2018년 11월 공개된 슈퍼컴퓨터 순위에서는 미국이 정상의 자리를 이어감
    • 미국과 중국은 슈퍼컴퓨터의 기술패권을 입증할 수 있는 최초의 엑사스케일 슈퍼컴퓨터 구축을 향해 치열하게 경쟁 중(후략)
    • 2018.12.26
    • 25084
    • 자율주행자동차 산업과 기술 발전을 위한 선도적 법·제도 마련과 표준, 안내지침의 지원이 필요하다.
    • 자율주행자동차와 같은 새로운 산업이 도입되기 위해서는 사용자들이 허용할 수 있는 정도로 품질과 안전이 보장되어야 하며,(후략)
    • 2018.12.26
    • 39548
    • 2018년 글로벌 기업이 블록체인에 투자하는 규모는 21억 달러로 전망되며, 2021년에는 4배 가까이 증가하여 블록체인에 대한 지출이 97억 달러에 도달할 전망임
    • 해외에서는 금융 분야 상용화, 공공서비스 포함 他산업으로 기술적용이 확대되고 있으며(후략)
    • 2018.12.26
    • 18251
    • EU 개인정보보호법 발효 후 6개월이 지난 지금 각 국의 사전대비로 큰 혼란이나 변화는 보이지 않으나 그 효과가 서서히 구체화되어 가는 중
    • 국내 기업의 원활한 EU 진출과 EU 거주민 개인정보의 역외 이전을 위해선 EU가 실시하는 개인정보보호체계에 대한 적정성 평가를 통과해야 하지만(후략)
  •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의 제조업 일자리 감소와 국내 경기 침체의 원인으로 중국과의 불공정한 무역을 지목하고, 수입액의 절반에 해당하는 물품에 대해 10~25%의 관세를 부과함(후략)

    • 2018.12.26
    • 14370

    올해부터 중학교와 고등학교는 정보 과목을 신설하여 학생들에게 SW 교육을 시작했고, 초등학교의 경우 내년부터 실과 수업을 통해 학생들이 SW을 배우게 된다. 그래서인지 벌써 몇몇 지역을 중심으로 코딩 사교육 열풍이 후끈 달아오르고 있다. (후략)

    • 2018.12.26
    • 10670

    제4차 산업혁명에서 혁신은 소프트웨어, 그리고 데이터의 흐름이 기반이 된다. 오죽하면 근래 들어 데이터를 원유나 통화(금전)에 비교할까. 데이터를 활용한 산업 육성은 성장을 위한 정부의 가장 큰 의제 중 하나가 되어야 함은, 누구나 공감하고 있는 전략이다.(후략)

    • 2018.12.24
    • 6681

    현재 우리나라는 주요 산업의 불황으로 힘든 상황에 성장 동력원이 필요한 시점임

    철강, 석유화학산업 등 주요 산업의 불황이 계속되고, 중국 및 인도 등 주변국의 산업 경쟁력 강화에 따른 위기 등 우리나라의 성장동력원이 절실해짐(후략)

    • 2018.12.21
    • 2476

    지난 10월 29일부터 11월 20일부터 실시한,

    'SW원격지 개발 활성화' 정책 인식 설문조사의 결과를 안내합니다.

    • 2018.12.17
    • 3403
    #공공SW사업꿀팁6   SW기술성 평가기준 개정사항을 알아볼까요?     (출처 : https://www.facebook.com/withmsit/photos/pcb.2052420754801843/2052420048135247/?type=3&theater)
    • 2018.12.17
    • 5372
    #공공SW사업꿀팁5   물품 유지관리 하도급 사전승인 간단하게 할 수 있어요!  - 물품의 유지관리 하도급계약 적정성 판단 절차를 생략할 수 있습니다. [SW사업의 하도급 승인 및 관리 지침 제5조 제5항]     (출처 : https://www.facebook.com/withmsit/photos/pcb.2052419568135295/2052417541468831/?type=3&theater)
    • 2018.12.12
    • 3750
    #공공SW사업꿀팁4   SW사업 : 성과품질관리는 OK! 헤드카운팅은 NO!  - 사업대가를 기능점수 방식으로 산정한 SW사업은 투입인력(인력 수 및 인적사항, 투입기간 등)을 요구,관리 할 수 없습니다.  [소프트웨어사업 관리감독에 관한 일반기준 제7조제3항, 제9조제3항]     (출처 : https://www.facebook.com/withmsit/photos/pcb.2049187278458524/2049184275125491/?type=3&theater)  
    • 2018.12.12
    • 3368
    #공공SW사업꿀팁3   민간시장 침해? SW영향평가로!!  - SW사업을 추진하려는 경우 SW사업 영향평가(민간시장 침해 등 SW 산업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가 의무화 되었습니다. [소프트웨어산업 진흥법 제14조의2]   (출처 : https://www.facebook.com/withmsit/photos/pcb.2043791208998131/2043790778998174/?type=3&theater)  
    • 2018.12.12
    • 4508
    공공SW사업꿀팁2 SW 산출물 : 반출하여 활용할 수 있어요. - SW 사업의 계약목적물에 대한 지식재산권은 발주기관과 계약상대자의 공동소유가 원칙입니다. [{계약예규) 용역계약일반조건 제56조]     (출처 : https://www.facebook.com/withmsit/photos/pcb.2042129755830943/2042127922497793/?type=3&theater)
    • 2018.12.12
    • 4398
    공공SW사업꿀팁1 공공SW사업 : 원격지개발 YES! 상주,인근개발 NO!  - 공공SW사업 작업 장소는 상호 협의하여 정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계약예규) 용역계약일반조건 제52조]     (출처 : https://www.facebook.com/withmsit/photos/pcb.2033754623335123/2033753720001880/?type=3&theater)
    • 2018.12.12
    • 2523

    4차 산업혁명의 핵심, SW산업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 자율주행 등 이 같은 산업을 좌우하는 두뇌, SW   하지만 잦은 분쟁이 계속되면서 앞으로 나아가야 할 이때, 법정 다툼으로 돈은 돈대로, 정신은 정신적으로 지쳐가고 힘들어하는 기업이 증가 추세입니다.   SW사업 분쟁조정을 전담하는 기구도 거론되고 있으나, 근본적인 노력은 애초에 '분쟁'을 최소화하는 것 아닐까요?   그래서 묻습니다. SW산업 분쟁을 최소화하기 위해 반드시 개선되어야 할 것은 무엇인가요? 자유롭게 의견을 남겨주세요!  

    • 2018.12.10
    • 22389

    가상화 기술은 클라우드 컴퓨팅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기반기술이다. 서버 자원의 효율적인 활용을 목적으로 등장한 가상화 기술은 크게 하드웨어 기반의 가상화 기술과 소프트웨어 기술로 각각 발전해 왔으며, 클라우드 컴퓨팅에 활용되고 있다. (후략)

    • 2018.12.10
    • 2238
    (원문 보기 >> https://www.msit.go.kr/web/msipContents/contentsView.do?cateId=mssw65&artId=1441882) PART 01 이슈 분석 : AI 기술의 공공서비스 활용과 전망 1 PART 02 주요 동향 16   1. 과학기술 16    ❶ 미국, 중고등학교 과학·공학교육 학습 강화 방안 제언 16    ❷ 미국, 전기자동차의 보급 지연 원인 분석 18    ❸ 일본, Society 5.0 방향성 논의 20    ❹ 일본, 데이터 경제 변혁 글로벌 사례 소개 22    ❺ 중국, 디지털 경제발전 현황 분석 24    ❻ 중국, 베이징시 금융기술 개발계획(2018~2022) 발표 26    ❼ 영국, 해외 투자유치 성공요인 분석 28    ❽ OECD, 디지털 시대의 혁신 정책 발표 30   2. ICT 32    ❶ OECD, AI 권고안 기본방향 합의…국내도 대응방안 마련 32    ❷ 미국 증권거래위원회, ICO(가상화폐 공개)에 증권법 적용 본격화 34    ❸ 일본, 5G 상용화 시대를 대비한 주파수 재편 계획 마련 36    ❹ 중국, 유니콘 강국으로 부상…미국 제치고 세계 1위 배출 38    ❺ 구글, 동남아 6개국 인터넷 경제규모 '25년 2,400억 달러 전망 41    ❻ 농업과 첨단 ICT를 접목한 '스마트팜', 세계 각국에서 확산 45 PART 03 단신 동향 49   1. 해외 49   2. 국내 56 PART 04 주요 통계 60
    • 2018.12.10
    • 2295
    과기정통부, 중소방송사(PP) 콘텐츠의 아시아 시장 진출 지원 -아시아 최대 견본시(ATF)에 한국 방송콘텐츠 홍보관 운영 및 투자상담- (2018. 12. 04)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 이하 ‘과기정통부’)는 12월 5일(수)부터 12월 7일(금)까지 싱가포르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콘텐츠 견본시(見本市)인 ATF(Asia TV Forum &Market)*에 참가하여, 한국 방송콘텐츠 홍보관을 운영하고 국내 중소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의 완성형 콘텐츠 해외 진출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 아시아 권역의 최대 콘텐츠 견본시로서, 매년 60여 개국 700개 이상의 기관 및 사업자가 참여하며 국가별 공동관, 전시회, 콘퍼런스 등을 운영   올해로 3회째 참가하는 이번 행사에는 ‘18년 방송프로그램 제작지원 사업(‘18.3월)과 ATF 한국 홍보관 참가사 모집 공모(‘18.9월)를 통해 선정된 10개* 중소 방송사(42개 프로그램)가 참여하여, 3일간의 콘텐츠 홍보와 싱가포르, 중국, 프랑스, 일본, 대만, 호주 등의 해외 방송사·투자사·배급사와의1대1 투자상담회 등을 진행할 예정이다.    * 사업자(프로그램 수) : ㈜엠블라컴즈(5), ㈜머니투데이방송(6), ㈜미디어OBS(5), ㈜스카이라이프TV(3), ㈜베리미디어(2), ㈜씨엔티브이(4), ㈜뉴법률방송(2), KCTV제주방송(2), ㈜한국낚시채널(7), 해피독TV(6) 특히, 올해부터는 과기정통부의 포맷형* 방송프로그램제작지원을 통해 완성한 콘텐츠를 한국 홍보관에 참가 지원함으로써, 정부 지원으로 제작된 콘텐츠가 해외 투자유치를 통한 매출 향상과 중소 방송사의 자체 제작역량 강화까지 이어질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 특정 프로그램에서 각각의 에피소드마다 변하지 않고 지켜지는 프로그램의 핵심구성안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앞으로도 해외 콘텐츠 견본시(見本市) 참여 기회를 더욱 확대하여, 역량있는중소 방송사들이 국내 시장에 머물지 않고 해외시장을 적극적으로 개척해 나갈 수 있도록 더욱 힘쓸 것” 이라고 밝혔다. (출처 : https://www.msit.go.kr/web/msipContents/contentsView.do?cateId=mssw311&artId=1438469)
    • 주제 : 제4차 산업혁명 시대에 무인화·자동화 기술의 위험 분석(Hazard Analysis)과 위험 평가(Risk Assessment) 기술 국제 동향 및 국내 자동차·항공 분야 산업 동향 소개 및 논의
    • 일시 : 2018년 11월 29일(목) 09:00~16:40
    • 주제 : 코엑스 그랜드볼룸 104호, 105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