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9.01.28
    • 10249

    2019년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김명준 소장 신년사

    • 2019.01.25
    • 12212

    월간SW중심사회 2019년 1월호

    • 2019.01.25
    • 20621
    • ▪ 글로벌 IT 기업들을 중심으로 오픈소스를 활용한 SW 비즈니스 혁신들이 확산되고 있음
    • ▪ 이러한 비즈니스 혁신으로 소프트웨어 수익 모델의 변화, 플랫폼 비즈니스 활성화, IT 인프라 시장의 변화, 오픈소스 기업 가치 상승 등이 있음(후략)
    • 2019.01.25
    • 36589
    • ▪ 2018년 세계 IoT시장에서는 IoT 기업과 타 산업기업 간의 전략적 제휴 및 파트너십 체결 등이 활발히 진행되었음
    • ▪ 통신 인프라 구축 등 기술/인프라 저변 확대로 IoT시장 성장이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되어 이에 대한 전략적 대응이 필요함
    • 2019.01.25
    • 32404
    • ▪ 엣지 컴퓨팅은 클라우드 컴퓨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기술로 데이터 지연(Delay) 문제를 해소하고 서비스의 실시간성을 보장함
    • ▪ IoT, 빅데이터, 인공지능의 확산과 더불어 엣지 컴퓨팅을 갖춘 클라우드의 급성장이 예상되며, 엣지 컴퓨팅이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것으로 보임
    • 2019.01.25
    • 26288

    ▪ 2018년 동안 주요 26개 IT서비스 회사들 중 17개 사에서 총 114건, 회사당 평균 6.7건의 소송이 진행 중이었고, 손해배상 39건, 용역대금 등 반환소송이 26건으로 과반을 넘었으며, 피고로 진행되는 소송이 67건 중 52건이었다.(후략)

    • 2019.01.25
    • 10447

    SW는 프로그래밍 언어로 만들어진 저작물로 HW 등의 기기를 통해서 다양한 가치를 얻을 수 있다. 가장 대표적인 SW는 컴퓨터를 움직이는 SW로 OS(Operating System)라고 부르며 마이크로소프트의 윈도우(Window)가 있으며(후략)

    • 2019.01.25
    • 14374

    제4차 산업혁명이 등장하면서 산업과 사회의 혁명적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해법으로 종종 언급된 것이 바로 규제제거론이다. 그러나 규제 몇 개만 없으면 만사형통일듯이 이야기하는 규제제거론은 혁신의 저해요인을 없애준다는 측면에서는 긍정적일 수 있으나 혁신주체의 유인(후략)

    • 2019.01.24
    • 8661
    • 입찰마감 : 2019.02.07.(목) 15:00까지
    • 접수방법 : NIPA 전자계약시스템을 통한 온라인 접수(http://cont.nipa.kr)
    • 2019.01.24
    • 5561
    공공소프트웨어사업 헤드카운팅 관행에 관한 정책 인식 설문조사를 실시합니다.  < 공공 소프트웨어 사업 헤드카운팅 정책 인식 설문조사 이벤트> ○ 설문 대상 : 공공사업 발주자, 참여기업 담당자 ○ 기간 : ~ 7월 15일까지 ○ 참여방법 :   - 공공사업 발주 담당자 ; https://goo.gl/XTptf4   - 공공 사업 참여 기업 담당자 : https://goo.gl/gd19dp      소프트웨어 헤드카운팅 철폐해야 한다 IT, 소프트웨어 산업에 관련 있거나 관심 있으시는 분들은 자주 듣던 말이시죠? 헤드카운팅(투입인력과 기간)은 발주자가 직접 인력을 관리하는 것을 말하는데요. 이러한 관행은 소프트웨어 산업의 발전 해친다는 의견이 많습니다.  소프트웨어 사업의 대가 선정 방식을 비교해보면 이해가 빠르실 텐데요! 기능점수를 기준으로 SW 대가를 산정하거나,  투입 인력과 기간(Man Month)를 기준으로 대가를 산정할 수 있는데 각각의 방식과 장단점을 통해 비교해보세요. 정부는 이러한 관행을 없애기 위해 정책의 대안을 내놓았습니다.  2016년 12월 미래창조과학부 고시에서는 제안 요청 시 공공 SW 사업 수행자에게 최소한의 핵심인력만 제시하도록 요구하였으며,  2018년 3월 행정안전부 고시에서는 제안 요청 및 사업 수행 시 원칙적으로 투입인력의 수와 기간을 관리할 수 없도록 하고, 일부 사업의 경우 예외를 허용합니다.  이와 관련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오니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 공공 소프트웨어 사업 헤드카운팅 정책 인식 설문조사 이벤트> ○ 설문 대상 : 공공사업 발주자, 참여기업 담당자 ○ 기간 : ~ 7월 15일까지 ○ 참여방법 :   - 공공사업 발주 담당자 ; https://goo.gl/XTptf4   - 공공 사업 참여 기업 담당자 : https://goo.gl/gd19dp  ※ 설문에 참여해주신 분들께 모바일 커피 상품권을 드립니다. (선착순 200명, 중복 응답 시 1회만 인정)        
    • 2019.01.23
    • 3671
    소프트웨어 발전에 걸림돌을 해결할 수 있는 아이디어없을까? SW개발자에게도 좋고, SW기업에게도 좋은 정책은? SW를 이용하는 유저들에게 필요한 정책은? 사소하고 작은 아이디어라도 좋습니다. 당신의 정책 아이디어로 소프트웨어의 미래를 만들 수 있습니다. * 소프트웨어 정책아이디어 제안 이벤트 * ○ 참여방법 : SW정책 오픈커뮤니티에 정책 제안하기   ☞ 홈페이지 : https://spri.kr/posts?code=advice (정책제안 게시판에 글 등록하기)   ☞ 페이스북 : https://www.facebook.com/groups/122992425079035/ (그룹가입하고 새글 또는 댓글 쓰기)        * 페이스북에 남겨주신 정책제안 내용은 홈페이지 정책제안 게시판으로 출처를 밝히고 옮겨질 수 있으니, 참고하세요. ○ 참여기간 : 6.22 ~ 8.15 (8월말 발표) ○ 참여경품 : 우수정책상 (1명, 우수제안자 표창 및 상품권 10만원), 참가상 (10명, 상품권 1만원) 상상이 현실이 되는 세상, 소프트웨어가 만들어갑니다.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참여바랍니다.  
    • 2019.01.23
    • 9694

    2018.11.30. 기술혁신연구 26권 4호
    박강민(1저자), 김준연(교신저자)

    • 2019.01.18
    • 11759

    최근 국내 패키지SW 시장 성장률은 세계시장의 성장률 평균을 밑도는 상황으로, 이러한 원인에는 국내 패키지SW 시장이 성숙기로 접어들었다는 점 외에도 산업 활성화를 저해하는 요인들이 존재한다. 일반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시장에서는 SW 가치에 대한 낮은 인식과 단순한 가격책정으로 인해 (후략)

    • 2019.01.16
    • 2403

    [공공SW사업꿀팁2 ] SW 산출물 : 반출하여 활용할 수 있어요 ! 라는 제목의 메일을 받았습니다.  카드 이미지 형태로 만들어진 안내 자료였는데, 메일을 완전삭제해서 받을수가 없네요. 관련하여 홈페이지에서  내용을 확인하고 싶은데요.   url이나  관련 자료를 요청드립니다.    

  • 제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그 어느 때보다 소프트웨어 개발자의 역할이 주목받고 있다. 역량 있는 정규직 인력 수급에 한계가 생기면서 프리랜서 인력들에 대한 수요도 늘고 있다. 특히 프리랜서 인력을 활용해 신기술을 적용하는 프로젝트들이 증가하고 있다. (후략)

    • 2019.01.16
    • 2295

    관련 성과나 기술력보다 더 우선해 온 기준이 바로 사업 수주 경험. 더 많은 수주 횟수를 기술경쟁력으로 여겨온 관행때문에 수주경험이 없는 기업들은 적정대가 미만으로 입찰에 참여하기도 했습니다. 또는, 관련 분야 전문기업이 아닌 수주경험만 많은 기업이 사업을 수주하곤 했죠. 자연스럽게 산출물의 완성도는 낮아지고, 다양한 문제점이 불거져 왔죠. 그래서 나온 목소리는 차라리 적절한 기준을 마련해, 제대로 참여 기업의 성과를 등록해 관리하자는 안 단순한 사업 수주 횟수보다, 관련 사업 성과를 등록해서 관리하자고 한다면,  발주자는 요구사항과 인수조건을 명확히 해야 할 것이고,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할 수 있겠죠. 그래서 궁금합니다! SW개발 현장에서 근무하고 계시는 개발자님들, 공공부문의 발주자님들,  수주횟수가 아닌 유사 프로젝트 성과를 SI기업의 기술력을 측정하는 지표로 쓸 수 있을까요? 의견을 남겨주세요!

    • 2019.01.15
    • 10062
    • 일시 :2019년 1월 29일(화) 16:00~18:00
    • 장소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대회의실
    • 2019.01.11
    • 2022

    안녕하세요.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에서 연구하는 내용들을 메일로 받아 보는 것은 어려운 일인가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2018.12.28
    • 3146

    2018년 4월, SW정책 오픈 커뮤니티가 더 많은 SW산업 관계자분들과 소통하고자 홈페이지/ 블로그로 채널을 확장하였습니다. ​ 그동안 SW정책과 관련된 다양한 주제로 이슈토론을 진행하고, 정책 아이디어에 대한 제안도 듣고, 정책 자료를 소개하기도 했습니다.   지난 11월 말 진행된 SW정책 오픈커뮤니티의 만족도 조사 결과를 발표합니다. 아쉬운 점, 개선사항을 잘 분석하고 적용하여 내년에는 더욱 알차고 깊게 소통할 수 있는 오픈 정책 커뮤니티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2018.12.26
    • 11514

    월간SW중심사회 2018년 12월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