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07.19
    • 4196

    https://spri.kr/posts/view/23627?code=magazine_월간 SW중심사회 2023년 7월호 바로가기_QR코드

    • 2023.07.13
    • 2359
    • 접수기간 : 2023년 7월 14일 ~ 2023년 7월 31일 17시까지 (정시 마감)
    • 접수방법 :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채용 홈페이지(spri.brms.kr)에서 온라인 작성
    • 2023.07.11
    • 3381

    1. 개요 2. 중국의 생성 AI 동향 3. 일본의 생성 AI 동향 4. 요약 및 시사점

    • 2023.07.11
    • 2689

    1. 생성 인공지능(AI) 산업 개요 2. 구글 I/O 2023 컨퍼런스 주요 내용 3. Microsoft Build 2023 컨퍼런스 주요 내용 4. 구글과 마이크로소프트의 생성 AI 생태계 구축 동향 5. 요약 및 시사점

    • 2023.07.10
    • 1925

    목차 Table of Contents Ⅰ. 인공지능 산업 동향 브리프 1. 정책/법제 - 미국 텍사스주 연방판사, 법원 출석 변호사에 생성AI에 관한 의무 인증 요구 - 일본 정부, 『지적재산 추진계획 2023』 에서 생성AI의 저작권 이슈 대응 모색 - 유럽의회, AI 법안 협상안 가결로 집행위원회 및 이사회와 최종 협상 돌입 - 영국, 주요 대학의 AI 연구 프로젝트에 5,400만 파운드 지원 2. 기업/산업 - 블룸버그 인텐리전스, 생성 AI 시장 2032년 1조 3,000억 달러로 성장 전망 - 일본 PWC, 기업 내 생성 AI 활용에 관한 실태조사 결과 발표 - WWDC 2023에서 신제품 '비전 프로' 공개한 애플, 생성 AI는 언급 회피 - 맥킨지, 생성 AI가 세계 경제에 최대 4조 4천억 달러의 가치 창출 전망 - 오픈 AI, GPT-3.5 터보와 GPT-4에 신규 기능 추가와 요금 인하 발표 3. 기술/연구 - MIT 연구진, 더 적은 데이터로도 강력한 성능을 발휘하는 AI 모델 개발 - 자연어처리학계, 소규모 데이터로 AI 모델 학습시키는 ‘베이비LM’ 챌린지 대회 진행 - 오픈AI, AI의 환각 문제 개선 방안 공개 - 구글 딥마인드의 알파데브, 기존 대비 최대 3배 빠른 정렬 알고리즘 발견 - 메타, 인간처럼 학습하는 AI 이미지 생성 모델 공개 - 캠브리지대학 연구진, AI 시스템 성능 비교를 위한 벤치마크 테스트의 한계 지적 - 오픈소스 언어모델, 대기업의 모델 모방으로는 성능 개선 미흡 4. 인력/교육 - 보스턴컨설팅그룹, 직장 내 AI 이용에 관한 설문조사 결과 발표 - 할리우드 업계, 생성 AI의 일자리 잠식에 대한 우려 증폭 - 미국 개발자의 92%가 AI 코딩 도구 사용 - 월마트·링크드인·메타, 직원용 생성 AI 도구 제공 Ⅱ. 주요 행사 - AI for Good Global Summit - 대한민국 인공지능 위크 AI for Korea 2023 - Ai4 2023

  • 자료)과학기술정보통신부 ICT실태조사(2023.7)
    주1)기업 수는 단독사업체, 본사, 본점 기준

  • 자료)과학기술정보통신부 SW수출통계조사(연간)(2024.4), SW수출통계조사(월간)(2024.4)

  • 자료) 한국교육개발원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통계조사(2022.12)
    주1) 취업률은 기능대학, 전문대학, 산업대학, 대학, 일반대학원 모두를 포함
    주2) 취업률(=취업자/취업대상자×100)은 매년 12월 31일 기준이며, 취업자는 건강보험가입취업자, 해외취업자, 농림어업종사자, 개인창작활동종사자, 1인창(사)업자, 프리랜서를 포함하며, 취업대상자는 졸업자에서 진학자, 입대자, 취업불가능자, 외국인유학생, 제외인정자를 제외
    주3) 응용SW공학 : 응용소프트웨어공학과, 게임개발학과 등 253개 학과
    주4) 전산・컴퓨터공학 : 전산정보학과, 컴퓨터공학과, 디지털콘텐츠학과 등 380개 학과
    주5) 정보・통신공학 : 정보공학과, 전자통신공학과 등 595개 학과(‘2022년 학과(전공)분류자료집’ 참조)
    주6) SW전공 : 응용SW공학, 전산・컴퓨터공학, 정보・통신공학

  • 자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SW산업실태조사(2023.4)

  • 자료) 중국 산업정보기술부(MIIT) 소프트웨어 및 정보 기술 서비스 산업 연간 통계(2023.9)

  • 자료) 중국 산업정보기술부(MIIT) 소프트웨어 및 정보 기술 서비스 산업 연간 통계(2023.9)

  • 자료) 산업통상자원부 이러닝산업실태조사(2023.5)

  • 자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SW산업실태조사(2023.4)
    주1) SW 전문인력은 SW사업 부문에 종사하는 인력에서 경영지원/전략기획, 영업/마케팅 인력을 제외한 연구소, 기술/사업부문, 운영, 고객지원서비스센터 인력을 의미함
    주2) 각 년도 10월 조사시점 기준 수치임
    주3) 협의 SW는 협의의 SW산업을 의미하며, 패키지SW, IT서비스, 게임SW를 포함
    주4) 인터넷SW(정보서비스)는 한국표준산업분류(KSIC 10차 개정) 기준 호스팅 및 관련 서비스업(63112), 포털 및 기타 인터넷 정보매개 서비스업(63120), 데이터베이스 및 온라인정보 제공업(63991)을 포함
    주5) 전체는 광의의 SW산업을 의미하며, 패키지SW, IT서비스, 게임SW, 인터넷SW(정보서비스)를 포함

    • 2023.07.04
    • 5692

    2023 SPRi Forum생성AI가 촉발하는 SW산업의 변화(결과)

    • 2023.07.04
    • 1636
    • 입찰마감 : 2023.07.18.(화) 12:00까지
    • 서류접수 : 나라장터 e-발주시스템(http://www.g2b.go.kr/index.jsp)
    • 2023.07.04
    • 1689
    • 입찰마감 : 2023.07.18.(화) 12:00까지
    • 서류접수 : 나라장터 e-발주시스템(http://www.g2b.go.kr/index.jsp)
  • 제1장 조사 개요 1. 일러두기 2. 조사개요 3. 조사 모집단 및 표본 4. 조사항목 및 용어해설 제2장 조사 결과 1. 일반현황 2. 경영 실적 3. 사업 현황 4. 인력 현황 5. 기술 개발 환경 6. 신소프트웨어 7. 해외진출 현황 제3장 부록 1. 세부통계표 2. 조사설문지 3. 소프트웨어산업 품목 분류체계

  • 제1장 조사 개요 1. 일러두기 2. 조사개요 3. 조사 모집단 및 표본 4. 조사항목 및 용어해설 제2장 조사 결과 1. 일반현황 2. 경영 실적 3. 사업 현황 4. 인력 현황 5. 기술 개발 환경 6. 신소프트웨어 7. 해외진출 현황 제3장 부록 1. 세부통계표 2. 조사설문지 3. 소프트웨어산업 품목 분류체계

  • 제 1 장 조사개요 01. 조사 목적 02. 조사 개요 03. 표본 설계 04. 조사 완료 및 유효표본 5. 주요 조사 내용 제 2 장 조사 결과 01. 일반 현황 및 재무 현황 02. 인력 현황 03. SW 기술 04. 디지털전환 도입 및 수준 현황 05. 데이터 현황 부록 조사표 01. 용어 정의 02. 조사 결과 부록표 03. 주요 항목 상대표준오차 04. 조사표

  • 제 1 장 조사개요 01. 조사 목적 02. 조사 개요 03. 표본 설계 04. 조사 완료 및 유효표본 5. 주요 조사 내용 제 2 장 조사 결과 01. 일반 현황 및 재무 현황 02. 인력 현황 03. SW 기술 04. 디지털전환 도입 및 수준 현황 05. 데이터 현황 부록 조사표 01. 용어 정의 02. 조사 결과 부록표 03. 주요 항목 상대표준오차 04. 조사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