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은 SW교육이 필수화되었으나, 소프트웨어 교육을 위해 당장 투입할 자원이 부족한 상황이다.
지금까지 교육 현장을 바꾸어 놓은 온라인 교육 방법들을 적용한 온라인 소프트웨어 교육이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
▮ 기술史 연구가 보여준 것들
- “기술 Technology” 개념이 모호, 19세기 후반에야 현재와 같이 추상명사화
- 원래는 테크닉들을 모은 책, ‘개별’ 기술을 구체적으로 논의하기는 용이함
2016년도는 본격적으로 VR/AR 테마의 기술과 제품 및 컨텐츠가 본격적으로 성장하는 형태가 될 것이다. 특히 VR/AR 제품이 다양한 형태로 출시되고 있는데, 이를 세 가지 형태로 분류해서 그 방향성을 제시해본다.
지금 세계는 스타트업의 열풍이 불고 있다. 노트북 하나 들고 더욱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 보겠다는 열정으로 창업의 길로 들어서는 젊은이들을 지구촌 어디에서나 볼 수 있다.(후략)
- 지능형 신기술에 대한 법적 대응은 기존 규제 프레임을 변경하거나 산업을 성장할 수 있도록 규제 완화를 하고 문제가 생기면 규제를 할 것인지 결국 크게 이 두 가지 방식의 규제 프레임에서 선택이 필요
- 이를 위해 법전문가와 신기술관련 전문가 간의 많은 대화와 협력이 필요
우리가 주목해야 할 것은 컴퓨터로 없어질 일자리가 아니라 기술진보와 더불어 새로 생길 일자리가 되어야 한다.
▮ 연구결과 - SW 대한 부정적 인식은 점차 줄어드는 추세 (17.6% ➔ 15.8% ➔ 14.0%)
4차 산업혁명 - 미래일자리
아리랑TV 2016년 1월28일 방송
본 보고서는 2015년 SPRi이슈리포트(2015-008호)로 발간한 ‘청년·대학생 위주의 창업정책, SW스타트업에 적합한가?’의 후속보고서로서, 해당 이슈리포트의 데이터와 사례, 연구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작성하였다. 두 보고서 공히 SW스타트업에 관련한 정부정책을 분석하여, SW스타트업 관련 정책대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소프트웨어 안전성 확보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시험, 평가, 인증체계의 개선을 통해, 단기적으로는 대상 소프트웨어 또는 시스템의 안전성을 제고함과 동시에 중기적으로는 국가 전반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장기적으로는 고부가가치 산업으로서의 소프트웨어 안전 분야에서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여 글로벌 시장에서 제도적·기술적 선도적인 국가로서의 위상을 확보할 것으로 기대한다.
장애인들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가장 확실한 수단은 직업(profession)
장애인들이 보다 수준 높은 직업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교육과 훈련 (education and training)이 필요
소프트웨어 문화 확산 및 가치 실현을 위한 법제 개선방안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