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8.07.02
    • 2009
    과학기술 ICT 동향 제121호 (원문 : http://www.msip.go.kr/web/msipContents/contentsView.do?cateId=mssw65&artId=1387031)   PART 01 주요 동향 1  1. 과학 기술 1   ❶ 미국, 사이버보안 인력 양성 촉진방안 제출 1   ❷ 미국, 연구자 행정 부담 완화 방안 제안 3   ❸ 일본, 데이터 활용 및 사례 분석 5   ❹ 일본, 지역 경제산업정책 방향성 논의 7   ❺ 중국, 뇌 과학 연구프로그램 추진 현황 보도 9   ❻ 중국, 2017년도 중국 대학생 혁신창업 인식조사 분석 10   ❼ 독일, 독일인의 과학기술 인식조사 분석 12   ❽ WEF, 지속가능한 에너지 혁신 촉진방안 발표 14  2. ICT 16   ❶ 글로벌 ICT 기업, 금융 산업 진출 본격화 16   ❷ '18년 1분기 세계 AI 스피커 출하량, 전년대비 278% 증가 19   ❸ 자율주행 기술력, 웨이모 단연 선두…GM, 다임러‧벤츠 순 21   ❹ 자율주행자동차를 둘러싼 업계 판도 변화에 이목 집중 23   ❺ 일본, ICT 정책을 전담하는 총괄부서 설립 움직임 26   ❻ EU, 개인정보보호법(GDPR) 발효…국내에서도 촉각 28 PART 02 단신 동향 31  1. 해외 31  2. 국내 38 PART 03 주요 통계 44
    • 2018.07.02
    • 1961
    과학기술 ICT 동향 제120호 (원문 :  http://www.msip.go.kr/web/msipContents/contentsView.do?cateId=mssw65&artId=1385879)   PART 01 이슈 분석 :  사례로 살펴보는 제조업의 서비스화 현황 1 PART 02 주요 동향 14  1. 과학기술 14   ❶ 미국, 트럼프 정부의 AI 기술 지원 방안 14   ❷ 미국, 혁신 클러스터의 성공․실패요인 분석 16   ❸ 미국, 3D 프린팅이 고용 및 안보에 미치는 영향 분석 18   ❹ 일본, 과학기술 이노베이션 정책 변천 발표 20   ❺ 일본, 주요국 연구개발형 스타트업 지원 현황 22   ❻ 중국, 주요 3대 도시 간 이노베이션 시스템 비교 24   ❼ 중국, 중관촌 혁신 플랫폼 구축 지원방안 구체화 26   ❽ 영국, 생명과학 산업의 경제 기여도 분석 27  2. ICT 29   ❶ 맥킨지, 인공지능의 잠재적 경제 효과 전망 29   ❷ T모바일․스프린트 합병…美 통신사 3강 체재로 재편되나 31   ❸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 2분기 연속 역성장하며 성장 둔화 33   ❹ 일본, '22년 자율운항선박 상용화 행보 가속 35   ❺ 일본, '지역 IoT 구현 추진 로드맵' 개정…IoT 시대 준비 강화 37   ❻ 중국, 반도체 굴기 광폭행보…'19년 메모리반도체 본격 양산 39 PART 03 단신 동향 41  1. 해외 41  2. 국내 48 PART 04 주요 통계 53    
    • 2018.07.02
    • 2126
    과학기술 ICT 동향 제119호 (원문 : http://www.msip.go.kr/web/msipContents/contentsView.do?cateId=mssw65&artId=1383533)   PART 01 주요 동향 1  1. 과학 기술 1   ❶ 미국, 데이터 과학 교육 강화 방안 발표 1   ❷ 미국, 마이크로바이옴 연구 범부처 전략계획 발표 3   ❸ 일본, 지자체 2040 전략 제시 5   ❹ 일본, 바이오 벤처 신흥시장 투자 현황 발표 7   ❺ 중국, 인공지능 반도체 스타트업 기업 증가 9   ❻ 중국, 중·미 무역마찰이 과학기술 산업에 미칠 영향 10   ❼ 독일, 2018년도 국가 혁신 프로그램 발표 12   ❽ EU, 2021~2027년 다년도 지출예산안 발표 14  2. ICT 16   ❶ 세계 주요국, 5G 주파수 경매 막 올라…상용화 가속 페달 16   ❷ AI와 접목한 헬스케어, 일상생활 속으로 침투 가속 18   ❸ 주요 ICT 기업, AI 반도체 시장을 겨냥한 연구개발 강화 20   ❹ 쇼핑도 AI 시대…음성인식 탑재된 쇼핑 서비스 활발 22   ❺ 일본, ICT 기반 미래 사회를 선도하기 위한 전략 강화 24   ❻ EU, 4차 산업혁명 시대 주도권 확보를 위한 전략 강화 26 PART 02 단신 동향 28  1. 해외 28  2. 국내 35 PART 03 주요 통계 41    
    • 2018.07.02
    • 2179
    과학기술 ICT 동향 제118호 (원문 : http://www.msip.go.kr/web/msipContents/contentsView.do?cateId=mssw65&artId=1382641)   PART 01 이슈 분석 : 신산업 분야의 글로벌 창업 동향 1 PART 02 주요 동향 12  1. 과학기술 12   ❶ 미국, 5G 선두 국가 분석 결과 발표 12   ❷ 미국, 생명의료 분야 연구자 경력 지원 방안 발표 14   ❸ 미국, 스마트시티 경쟁력 수준 분석 결과 발표 16   ❹ 일본, 이노베이션 기반 강화 방안 제안 18   ❺ 일본, 주요국 연구개발전략 보고서 발표 20   ❻ 중국, 시진핑 주석 ‘보아오’ 방안 제시 22   ❼ 중국, 지식재산권 보호를 통한 성장 주도권 확보 24   ❽ 영국, 창조산업 발전을 위한 정부-기업간 파트너십 전략 발표 26  2. ICT 28    ❶ 엣지 컴퓨팅, 4차 산업혁명 시대 중요 인프라로 가치 배가 28   ❷ ICT 경쟁력 제고 위해 AI 택한 佛, AI 허브로 부상 30   ❸ AI를 활용한 군사 무기 '킬러 로봇', 가이드라인 필요성 대두 32   ❹ 일본, 제 4차 산업혁명 대응한 'Society 5.0' 추진 가속 34   ❺ 일본, 종합과학기술 혁신회의…AI 실행전략 중점 논의 36   ❻ 중국, 드론 물류배송 합법 단계 진입…안전 문제 재검토 요구 38 PART 03 단신 동향 40  1. 해외 40  2. 국내 47 PART 04 주요 통계 52    
    • 2018.07.02
    • 2028
    과학기술 ICT 동향 제117호 (원문 : http://www.msip.go.kr/web/msipContents/contentsView.do?cateId=mssw65&artId=1381487)   PART 01 주요 동향 1  1. 과학 기술 1   ❶ 미국, 2018 글로벌 기술 혁신 보고서 발표 1   ❷ 미국, 생명과학 산업의 국제 경쟁력 유지 방안 발표 3   ❸ 일본, 아베노믹스 평가 및 생산성 향상 제안 5   ❹ 일본, 스타트업 지식재산관련 과제 및 방향성 제안 7   ❺ 중국, 중관촌 유니콘 기업 성공요인 분석 9   ❻ 중국, 지식재산권 대외양도 규정 발표 11   ❼ 독일, 혁신적 중소기업 기술 지원 동향 발표 12   ❽ EU, 개인정보보호규정이 인공지능에 미치는 영향 분석 14  2. ICT 15   ❶ 페이스북, 개인 정보 유출로 논란…보안 중요성 확대 15   ❷ 폴더블 스마트폰 상용화를 위한 업계 행보 분주 17   ❸ 우버, 첫 보행자 사망사고…자율주행 안전성 논란 증폭 19   ❹ 미국-EU 간 통상 갈등, ICT 시장에서도 공방 치열 21   ❺ 일본, 사회 인프라 사업에 ICT를 적극 활용할 방침 23   ❻ 중국, 블록체인 정부 지원 본격화…업계 움직임도 활기 25   PART 02 단신 동향 27  1. 해외 27  2. 국내 34 PART 03 주요 통계 41    
    • 2018.07.02
    • 2064
    과학기술 ICT 동향 제116호 (원문 : http://www.msip.go.kr/web/msipContents/contentsView.do?cateId=mssw65&artId=1380319)   PART 01 이슈 분석 : 차세대 성장동력, AI 반도체 동향과 시사점 1 PART 02 주요 동향 11  1. 과학기술 11   ❶ 미국, 2018 회계연도 과학기술 예산 최종 확정 11   ❷ 미국, 트럼프 정부의 혁신 보호 정책 발표 13   ❸ 일본, 중소기업 인재 확보 추진방향 제시 15   ❹ 일본, 종합이노베이션 전략 수립 17   ❺ 중국, 과학기술 조직 개편 및 신임 장관 임명 19   ❻ 중국, 국가첨단기술산업개발구 인재유치 정책 발표 20   ❼ 독일, 디지털 주권 백서 발간 22   ❽ WEF, 에너지 전환 촉진 방안 발표 24  2. ICT 26   ❶ 애그테크, 식량난을 해결할 '농업+ICT' 기술로 주목 26   ❷ 블록체인, 4차 산업혁명을 열어갈 핵심 기술로 진화 가속 28   ❸ 애플, 중국 본토 아이클라우드 계정…중국 기업으로 이전 30   ❹ 일본, 민간기업의 AI 통·번역 서비스·제품 개발 촉진 32   ❺ 일본, 미래 친환경차 보급 촉진을 위한 인프라 조성 가속 34   ❻ 중국, AI 스타트업 자금 조달…미국 추월하며 1위 36 PART 03 단신 동향 38  1. 해외 38  2. 국내 45 PART 04 주요 통계 52    
    • 2018.07.02
    • 2098
    과학기술 ICT 동향 - 제115호 원문 : http://msip.go.kr/web/msipContents/contentsView.do?cateId=mssw65&artId=1378561   PART 01 주요 동향 1  1. 과학 기술 1   ❶ 미국, 트럼프 정부 1주년 과학기술 정책 성과 발표 1   ❷ 미국, 국립과학재단 2019년 회계연도 예산 신청(안) 발표 3   ❸ 미국, 정부와 사회에 영향을 미칠 트렌드 분석 5   ❹ 일본, 4차원 사이버시티 활용 추진사업 논의 7   ❺ 중국, 2018년 정부 업무 보고 9   ❻ 중국, 중관촌 인재 20조 정책 발표 10   ❼ 중국, 5G 기술 주도권 경쟁력 강화 12   ❽ EU, 유럽 과학자의 귀국 이동성 분석 14  2. ICT 16   ❶ 자율주행 기술을 통한 새로운 이동 서비스 시장 가시화 16   ❷ 미래형 공항 서비스의 핵심 키워드로 부상하는 로봇 18   ❸ MIIT, ‘18년 10대 혁신기술 선정…IT 부문이 과반 차지 20   ❹ 일본, 빅데이터 활용 제고를 위한 인프라 조성 가속 22   ❺ 중국, 반도체 굴기 가속화…향후 애플의 행보에 주목 24   ❻ EU, 5G 상용화 대비 위한 로드맵 마련 26 PART 02 단신 동향 28  1. 해외 28  2. 국내 34 PART 03 주요 통계 41
    • 2018.07.02
    • 1890
    과학기술 ICT 동향 - 제114호 ☞ http://www.msip.go.kr/web/msipContents/contentsView.do?cateId=mssw65&artId=1378561 PART 01 이슈 분석 : 주요국 양자정보기술 지원정책 동향 1 PART 02 주요 동향 16  1. 과학 기술 16   ❶ 미국, GE 글로벌 이노베이션 바로미터 2018 발표 16   ❷ 미국, 지역별 혁신 생태계 평가 항목 제시 18   ❸ 일본, 과학기술기본계획 및 종합전략 주요과제 논의 20   ❹ 일본, 혁신적 연구개발 추진 프로그램(ImPACT) 성과 발표 22   ❺ 일본, 기후변화 영향평가에 관한 종합보고서 발표 24   ❻ EU, 미션 지향적 연구 방향 가이드라인 제시 26   ❼ EU, 연구·혁신 성과 및 정책 제안 28   ❽ OECD, 중소기업 및 창업가 자금 조달 현황 분석 30  2. ICT 32   ❶ 글로벌 IT기업, 시가총액 1조 달러 진입에 대한 이목 집중 32   ❷ 네이버, AI 플랫폼 '클로바' 생태계 확대 가속 34   ❸ 블록체인, 효율적 활용 위한 시스템 구축 논의 확대 36   ❹ 일본, 1차 산업…AI‧IoT‧드론 등을 활용해 성장 동력 확보 38   ❺ 중국, 제도 정비‧인프라 구축으로 자율주행 기술 개발 탄력 40   ❻ 중국, 대표 기업의 해외 상장 증가…자국 내 거래 허용 검토 42 PART 03 단신 동향 44  1. 해외 44  2. 국내 51 PART 04 주요 통계 58
  • 자료) SPRi SW산업실태조사(2017.12)

    • 2018.06.30
    • 3815

    SW 주요통계가 업데이트되었음을 안내드립니다.

    • 2018.06.30
    • 21881
    • 짝퉁 공장이라 불리던 심천은 최근 혁신제조의 선두주자이자 강력한 스타트업 네트워크를 갖춘 창업자의 성지로 새롭게 도약 중
    • 정부는 인재확보와 지식흡수를 위해 유수 대학의 유치, 스타트업 간 네트워크와 시너지를 창출하는 역할을 함
    • 2018.06.30
    • 22788
    • 1990년대 후반부터 정부의 중소·벤처기업에 대한 R&D 지원예산이 꾸준히 증가하여 2015년 기준 약 2.9조 원 규모이며, 이 중 IT융합분야가 가장 큰 부문(49.7%)을 차지함
    • 정부의 R&D 지원이 의도한 효과(기술적 성과, 경제적 성과 등)를 거둘 수 있도록 기업·과제 선정체계가 과학화·객관화되어야 함
    • 2018.06.30
    • 18327
    • 신경망 구조 탐색 연구는 최적의 인공신경망 구조를 도출하기 위한 방법론
    • 신경망 구조 탐색은 학습하는 방법을 학습하는 것으로, 경험적 결과에 기반한 기존의 심층학습 결과에 근접
    • 2018.06.30
    • 36673
    • 최근 임베디드SW에 대한 정의가 확장되고 있으며, 과거 단순 내장형 SW의 영역에서 사이버 물리시스템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진화
    • 각 국가별 임베디드SW의 적용수준에 차이가 있어 임베디드SW 분야의 발전을 위한 정확한 시장가치 측정이 요구됨
    • 2018.06.30
    • 26536

    이번 사건은 API가 저작권의 보호대상인지 여부와 이에 대한 복제행위가 공정이용인지에 관한 판단기준을 정립하는 매우 중요한 사건으로 저작권자의 허락 없이 API를 재구현하는 업계의 관행에 큰 영향을 줄 것으로 판단됨

    • 2018.06.29
    • 31311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새로운 질병 치료제를 개발하고, 신약 개발 프로세스를 자동화하는 다수의 기업이 출현하고 있음

    • 2018.06.29
    • 12636

    우리는 현재까지 전통적인 통계학에 의하여 추론과 예측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해왔다. 시간이 흐름에 따라 사회 현상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한 데이터의 특성에 대해 가설을 세워 확률 모델을 제안하였으며 이를 과학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론을 개발하고 준용하였다.(후략)

    • 2018.06.29
    • 13407

    세계경제포럼에서는 우리의 제4차 산업혁명 대응을 저해하는 요소로 낮은 생태계의 역동성을 지적하고 있는데, 실제로 국내 SW기업(IT서비스, 패키지SW)의 매출액 기준으로 20위 안으로는 창업한지 10년 미만인 젊은 기업이 단 한 개도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이 우리 SW기업 생태계의 낮은 역동성을 간접적으로 보여주고 있다.(후략)

    • 2018.06.29
    • 12004

    블록체인은 모든 구성원들이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 및 가치를 독자적으로 저장하고 검증하는 분산형 시스템을 의미한다. 메인프레임 컴퓨터로부터 시작해서 클라우드로 이어가는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중앙화의 흐름과는 달리, 자율적인 노드들의(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