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간SW중심사회 2018년 2월호
지능형 반도체는 IoT, 웨어러블 디바이스, 스마트시티, 지능형 이동체 등의 기술적 성숙도를 이끄는 부품으로 우리나라의 신성장 동력 산업 중 하나임 (후략)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다양한 형태의 계약을 자동으로 실행할 수 있는 스마트 계약이 등장하였으며, 활용을 위한 관련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음 (후략)
빅데이터 분석 기술이란 기존 데이터베이스 관리 도구의 능력을 넘어서는 대량의 정형 또는 비정형의 데이터로부터 가치를 추출하고 결과를 분석하는 기술 (후략)
▪ 주요 렌딩코인 업체 중 하나인 비트커넥트의 급작스런 서비스 중단에 따라 코인 가격 급락 및 투자자 피해가 발생함
▪ 블록체인 서비스는 암호화폐 자체가 아닌 이를 기반으로 구현될 서비스·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검증 및 세심한 검토가 요구됨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라는 용어는 케빈 애쉬턴(Kevin Ashton)이 1999년에 처음 사용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후략)
지난해 연말, SW산업진흥법 전부개정안 공청회가 열린 자리에서 필자는 SW산업진흥법의 전부개정안(이하‘ 개정안’)의 주요 내용과 의의를 설명했었다. (후략)
최근 전세계적으로 클라우드컴퓨팅이 확산되고 미국과 영국 등에서 공공부문에 클라우드컴퓨팅을 적극 도입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2015년 클라우드컴퓨팅법을 제정하여 클라우드컴퓨팅산업을 발전시키는 한편, (후략)
USG융합연구단은 여러 정부출연연구기관이 공동으로 참여하여 땅꺼짐 예측과 방지를 위한 기술을 개발하고 실증사업까지 수행했으며, 최근에는 이 기술의 활용 촉진을 위한 연구소 기업을 설립하여 기술 확산에 노력하고 있음
현대 인공지능의 눈부신 성과는 저렴한 컴퓨팅 하드웨어의 보급이 주요한 요인 중 하나이다. (후략)
▪ 바르셀로나 시의회는 공공에서 사용하는 소프트웨어 라이센스 비용 절감과 특정 공급업체 의존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상용 소프트웨어를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로 전면 대체하는 정책 추진
▪ 국내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활성화를 위해서는 윈도우를 탈피하려는 스페인의 사례와 마찬가지로 혁신을 수용할 수 있는 범부처적 결단이 수반되어야 할 것임
▪ 새로운 저전력 블루투스(BLE) 기술인 ‘블루투스5’는 최근 삼성, LG, 애플 스마트폰에 적용되고 있음
▪ 블루투스5는 전송 속도 향상, 전송 거리 향상, 다양한 비콘(Beacon) 서비스가 가능해지고, 실외에서 사물인터넷(IoT)의 연결 인프라로 활용이 가능해짐
기업 가치 1조 원 이상으로 평가받는 스타트업인 유니콘 기업이 제4차 산업혁명의 주역으로 등장하고 있으며, 특히 2014년 이후 중국 기업들의 부상이 두드러짐 (후략)
최근 애플사의‘ 아이폰’ 시리즈에서 사전 공지없이 배터리 성능에 따라 CPU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소프트웨어 기능을 적용한 사실이 발견되어 소비자들의 원성을 사고 있으며, 신형 아이폰 구 매를 유 도하기 위해서라는 소 문 속 에서 아이폰이 느 려진 것에 대한 집단적인 손해배상청구소송이 전 세계적으로 벌어지고 있음 (후략)
탈(脫)SI, 한국SW산업의 염원이다. SI를 탈출하여 나가갈 방향이 서비스화라는 것에는 개발자, SW기업, 정부 관계자 대부분이 고개를 끄덕인다. 사용자에게 주는 이점이 명확하고, 서비스공급자에 주는 이익은 매우 크기 때문이다. (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