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발사된 중국 우주정거장‘ 톈궁(天宮) 1호’는 2016년 3월에 통신이 끊긴 지 거의 2년만인 2018년 4월 2일 아침 남태평양 바다에 추락하고 말았다. (후략)
2011년 발사된 중국 우주정거장‘ 톈궁(天宮) 1호’는 2016년 3월에 통신이 끊긴 지 거의 2년만인 2018년 4월 2일 아침 남태평양 바다에 추락하고 말았다. (후략)
사람 머릿수가 곧 기술 척도라 여겨온 것이 SW 업계의 해묵은 관행이다. 그래서 사람 수를 늘리는 데 혈안이 되었고 다양한 무리수가 속출했다. 한 명이라도 더 늘리기 위한 꼼수 전략이다. 개발 첫 단추를 끼운 초급 개발자가 한순간 귀한 개발자로 둔갑하는 것도 부지기수. 발주사도 속 타고, 입찰사도 속 타고. 오랜 염원이던 논란에 종지부를 직은 혜안이 도마 위에 올랐다. 그릇된 관행에 마침표는 찍힐까?
이메일 대용량 첨부파일의 경우 로그인 없이 URL만으로 누구나 다운로드가 가능합니다. 요즘 문제되는 매크로 프로그램으로 경로 (URL) 문자를 자동으로 바꾸면서 입력하면 누구든지 다운로드 됩니다. 모든분야의 중요문서의 보안이 취약합니다. 대용량 첨부파일 다운로드 현황을 사용자가 볼수 있도록 하고 로그인 없이 대용량 첨부파일 다운로드를 할수 없도록 개선이 필요할듯 합니다.
2017년 SW정책 오픈 커뮤니티 만족도 조사 결과 2017.12.14. ᄋ (응답률) 가입자 수 기준 4% ᄋ (응답자 특성) SW관련업계 종사자, 평균 경력년수 13.6년 ᄋ (설문 결과) 응답자들은 SW정책에 대해 함께 토론할 수 있는 장이 마련된 것에 대해 대체적으로 긍정적인 입장임 ᄋ (개선점 수렴) -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이슈 발굴과 홍보를 더 적극적으로 추진 - 소수의 관리자만 의견을 적다 보니 다른 회원들은 지켜보기만 할 수 있으므로, 중심회원을 관리하여 의견을 수렴하는 형태를 제언 - 카드뉴스는 간단해서 좋은데 정책/이슈를 설명하는 문서를 함께 올려서 조금 더 다각적으로 생각하고 검토하여 의견 교환이 될 수 있었으면 하며, 누구나 토론이 가능한 주제를 제시했으면 좋겠음 - 페이스북 타임라인 기능을 보완할 수 있는 방법이 있었으면 좋겠음 ᄋ (2018년 개선점 반영 추진) - 운영 홍보 전략, 중심회원 관리 및 이슈토론 콘텐츠 발굴 방안 마련 - 페이스북, 네이버 블로그로 채널 다원화 및 홈페이지 기능 추가
SW정책 오픈커뮤니티 개설을 환영합니다. 그동안 SW와 관련하여 일부 페이스북을 통해 이루어 졌으나, 양방향으로 소통 및 공유 할 수 있는 공간은 없었던 같습니다. 이제 오픈커뮤니티가 개설되었으니 많은 SW기업과 SW개발자분들이 함께 참여하고 많은 관심이 보여지길 기원합니다.
미국은, 지난해 말 망중립성 폐기를 결정했습니다. 국내에서도 망중립성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 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우리 인터넷 기업에게 망중립성은 어떤 의미일까요? 인터넷 기업 생태계의 발전을 위하여 망중립성은 유지되어야 하나요?
공감, 소통의 오픈 SW정책 커뮤니티에서는 토론을 위한 첫 주제로 '공개 소프트웨어'를 주목해 보았습니다. 공개소프트웨어는 상용소프트웨어와 대립하는 개념일까요? 정부에서 정보화사업을 할 때 공개소프트웨어의 적용을 사전 검토하도록 권고하는 정책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댓글로 의견을 달아 주세요 ^^
ㅇ 사회현안과 공중보건에서의 데이터 활용
ㅇ 의료정보기술의 현황과 SW 정책방향
해외 우수 인재를 국내로 끌어들여, 국내의 기업, 인력, 인프라를 활용해 다시 해외로 진출하게 하는 인바운드형 창업 정책(K-Startup 그랜드 챌린지 사업과 같은)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국민의 세금으로 해외 인재를 지원해 주는 것일까요? 아니면, 본글로벌 기업을 키우는 좋은 수단이 되는 것일까요?
하나의 SW를 만들어낸 많은 노력을 감안한다면 어떤 형태로든 SW기업 또는 SW개발자의 지식재산권을 보호해 줘야 합니다.특허권, 저작권으로 보호가능하다고 하는데 실제로는 그렇지 못하다는 비판도 많습니다. 핵심기술이어서 영업비밀로 유지할려고 해도 인정되기가 쉽지 않은 것 같아요. 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보호법에 따라 영업비밀로 SW를 보호하고 있는 현 제도에 대해 혹시 개선할 점은 없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