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T통계분류체계는 기존 6개 대분류를 최근 C-P-N_D의 부문간 유기적 상호의존성이 등대되고 있는 ICT생태계를 반영하여 “정보통신방송서비스”, “정보통신방송기기”, “소프트웨어 및 디지털콘텐츠”의 3개의 대분류로 개편
ICT통계분류체계는 기존 6개 대분류를 최근 C-P-N_D의 부문간 유기적 상호의존성이 등대되고 있는 ICT생태계를 반영하여 “정보통신방송서비스”, “정보통신방송기기”, “소프트웨어 및 디지털콘텐츠”의 3개의 대분류로 개편
※ SW기업 전체 매출액은 개별 매출액 기준임
※ 2017년 수치는 조사시점(2017.10) 매출액을 기준으로 추정한 수치임
자료) 통계청 전국사업체조사(2018.4)
※ 기업 수는 패키지SW, IT서비스에 속하는 기업의 합이며, 단독사업체, 본사, 본점 기준임
자료) 한국교육개발원 취업통계연보 (2016)
※ 취업률(=취업자/취업대상자×100)은 매년 12월 31일 기준이며, 취업자는 건강보험가입취업자, 해외취업자, 농림어업종사자, 개인창작활동종사자, 1인창(사)업자, 프리랜서를 포함하며, 취업대상자는 졸업자에서 진학자, 입대자, 취업불가능자, 외국인유학생, 제외인정자를 제외
※ 응용SW : 응용소프트웨어공학과, 게임개발학과 등 186개 학과
※ 전산・컴퓨터공학 : 전산정보학과, 컴퓨터공학과, 디지털콘텐츠학과 등 315개 학과
※ 정보・통신 : 정보공학과, 전자통신공학과 등 538개 학과(‘2017년 학과(전공)분류자료집’ 참조)
자료) 한국교육개발원 취업통계연보 (2016)
※ 졸업자는 기능대학, 전문대학, 산업대학, 대학, 일반대학원 모두를 포함
※ 응용SW : 응용소프트웨어공학과, 게임개발학과 등 186개 학과
※ 전산・컴퓨터공학 : 전산정보학과, 컴퓨터공학과, 디지털콘텐츠학과 등 315개 학과
※ 정보・통신 : 정보공학과, 전자통신공학과 등 538개 학과(‘2017년 학과(전공)분류자료집’ 참조)
각국이 인공지능 기술과 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노력을 경주하는 가운데 중국 인공지능기술과 생태계의 놀라운 발전이 주목을 받고 있다. (후략)
빠른 성능의 슈퍼컴퓨터 시스템 하나를 보유했다고 해서, HPC 분야를 선도하는 것은 아니므로, 관련 분야의 원천기술의 확보가 중요 (후략)
국민 대부분이 한 번도 겪어 보지 못한 급격한 정치적 환경 변화 속에서 60일간의 짧은 대선기간을 통해 새로운 정부가 출범하였다. 그러나 대통령 당선과 동시에 임기를 시작할 수밖에 없었던 새정부는 국민들과 국정운영 방향을 공유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후략)
1995년 2월에 전자신문 칼럼에 ‘분산처리와 지방자치화’1라는 제목으로 아래와 같이 썼다. 이 제목을 뽑은 이유는 그해 6월 27일, 대한민국에서 제1회 지방선거를 치르면서 기초단체장을 뽑는 역사적 행사가 예정되었기 때문이다. (후략)
▮ 칼럼 | COLUMN
▮ 소프트웨어 산업 및 융합 동향 | TREND
▮ 소프트웨어 산업 통계 | STATISTICS